340 likes | 583 Views
제 9 장 하역 및 포장관리. 제 1 절 하역관리 제 2 절 포장관리. 강의 목적과 목표. 본 장은 운송 및 보관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하역과 상품의 보호와 함께 마케팅적 역할을 수행하는 포장의 표준화와 적정화를 통해 물류전반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관리내용을 이해하는데 있다 본 장을 학습한 후 학습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 하역의 구성요소 및 분류를 이해 하역의 원칙을 이해 하역장비의 구분과 사용용도를 이해 포장의 분류와 기능을 이해 . 포장의 표준화 기법과 효과를 이해
E N D
제9장하역 및 포장관리 제1절 하역관리 제2절 포장관리
강의 목적과 목표 • 본 장은 운송 및 보관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하역과 상품의 보호와 함께 마케팅적 역할을 수행하는 포장의 표준화와 적정화를 통해 물류전반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관리내용을 이해하는데 있다 • 본 장을 학습한 후 학습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 하역의 구성요소 및 분류를 이해 • 하역의 원칙을 이해 • 하역장비의 구분과 사용용도를 이해 • 포장의 분류와 기능을 이해. • 포장의 표준화 기법과 효과를 이해 • 물류포장의 미래변화를 이해
Main Questions • 특정 하역 상황별 적용될 수 있는 하역장비와 용도를 설명 • 자동화 하역장비와 인력중심 장비의 장단점은 무엇이 있을까? • 포장의 표준화가 다른 물류활동에 미치는 연관성은 무엇인지? • 물류포장은 과연 낭비적인 요소인가? • 물류포장 미래에 어떠한 형태가 도출가능 할 것인가?
제1절 하역관리 • 하역의 기초 • 하역의 개념 • 물류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화물의 적재, 양하, 운반, 입·출고, 분류 등의 작업 및 이에 부수적인 작업 • 수송, 보관의 전후에는 반드시 하역작업이 수반되기 때문에 하역의 합리화는 물류프로세스의 전체적인 합리화에 중요한 요소
2) 하역의 구성요소 적하준비 적하와 양하 배분 하역의 구성요소 운반 피킹 적재
납품하역 : 물류거점으로 가지고 들어온 것을 차에서 내려서 받아들이는 하역 • 운반하역 : 거점에서의 이동 • 납품구색하역 : 출하를 위해 상품구색을 갖추는 작업 • 출하하역 : 수배송을 위해 차에 싣는 작업 1 • 인력하역 : 사람의 손, 간단한 보조구를 사람이 사용 • 기계하역 : 컨베이어 및 지게차 등을 사용 • 자동하역 : 입체자동창고, 자동분류기 등 기계나 컴퓨터가 중심 2 • 연속운반방식의 기기 : 컨베이어 • 일괄운반방식의 기기 : 지게차 • 보조적인 기기 : 겹사다리 • 시스템화 된 기기 : 자동분류기 • 차량 및 시설의 일부 기기 : Dock Leveller 또는 Dolly 등 3 3) 하역의 분류 하역장소 작업주체 하역기기
4) 하역의 원칙 설비계획 단위화 안전 기계화 장비유지 취급균형-작업의 고른배분 표준화
공간활용 • 이외에도 • 최소취급의 원칙 • 이적성의 원칙 • 사중체감의 원칙 • 예방정비의 원칙 • 폐기의 원칙 등이 있음 연속작업 수평직선 장비 탄력성 운반속도 중력이용
2. 하역방식 • 컨테이너 운송 (1) 항만하역장비의 분류 장비의 분류기준 항만하역장비의 분류
(2) 컨테이너 하역장비 ① 컨테이너 정의 및 구분 • 컨테이너란? • 화물의 보관을 위한 격실이 형성되도록 둘러싸여 있고(전부 또는 일부) 그 내부용적이 1㎥ 이상으로서, 내구성을 가지고 반복사용에 적합할 정도로 견고하며, 화물의 적출이 용이하도록 설계되고 또한 해륙공의 운송수단에 적재·운송이 가능해야 함은 물론, 운송수단 간에 환적이 용이하도록 특별 설계된 수송용기 • 컨테이너의 구분(용도별) • Ventilation Container • C/A(Control Atmosphere) Container
② 컨테이너 이송 및 하역관련 장비 • 컨테이너 이송 및 하역관련 장비 • 샤시(chassis)는 컨테이너의 육상수송용으로 개발된 장비로서, 차축, 차륜, 스프링장치, 제동장치 등을 갖춘 무동력 피견인차
2) 항공운송 • 항공운송(air transportation)은 항공기의 기복(機腹, plane’s space)을 이용, 사람 또는 화물을, 한 공항으로부터, 공로(空路, air route)를 통하여 다른 공항까지 장소적으로 이동하는 서비스(운송) • 제교역물품의 항공기에 의한 운송은 현재 1%(중량기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대부분(99.5% 이상)이 해상운송에 의존하고 있지만오늘날은 세계가 일일생활권화되면서 신속한 운송이 요구되는 화물이 증가 • 항공기술의 발달로 항공기가 대형화되고 화물전용기의 취항도 늘어나면서 어느 정도의 대량운송도 가능 • 항공운송관련 하역장비와 관련하여 화물위 단위화를 위한 용기, 즉 단위탑재용기(ULD)가 보편화되고 이에 따른 하역장비가 활용 • (1) 단위탑재용기 • ① 팔레트 • 항공기용 팔레트(Aircraft Pallet)는 금속(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된 평판으로서, 그 위에 화물을 특정의 항공기의 내부모양에 맞도록 적재작업을 한 후5) Net 등으로 화물을 고정시킨다. 이렇게 작업된 팔레트를 항공기 화물실에 탑재하여 바닥에 고정
② 컨테이너 • 항공기용 컨테이너(Aircraft Container)는 항공기 화물실의 형상(contour)에 맞도록 제작한 단위탑재용기 • 컨테이너는 적재 화물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지고 있어야 하나, 자체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그 재질은 주로 알루미늄이나 유리섬유(fiberglass)로 제작 • ③ 특수 ULD • 특수 ULD로는 자동차 운반용인 Car Transporter, 소 또는 말 운송용인 Horse Stall, Cattle Pen, 의류 운반용인 GOH(garment on hanger) 컨테이너, 식품 등 온도조절(냉장, 냉동)을 요하는 물품의 운송용 컨테이너 그리고 Non Aircraft ULD로서 애완동물용 Kennel, Cage 등
(2) 항공화물하역장비 • ① 항공기 화물 탑재 하기장비 • 항공기에 화물을 탑재 또는 하기하는 장비로는 첫째 ULD를 탑재 또는 하기하는 장비로 Main Deck Loader와 Lower Deck Loader가 있고,ULD화되지 않은 화물을 탑재 또는 하기하는 장비로 Self-propelled Conveyor가 있음 • ② 터미널 내 수평이동 장비 • 터미널 내에서 ULD화물을 운반하는 장비로는 자체구동력이 있는 Transporter, 자체 구동력이 없는 Dolly와 이를 끌어 이동하는 견인차(tug car)등 ③ 항공화물을 장치하는 시설 ④ 항공화물장치장 내의 조업장비 ⑤ 항공화물터미널과 장치장의 자동화시스템
제2절 포장관리 • 포장의 개요 • 포장의 개념 • (1) 포장의 정의 • 포장은 물품을 수송·보관함에 있어서 가치 또는 상태를 보존하기 위해서 적절한 재료, 용기 등을 물품에 가하는 기술 또는 상태를 의미 • ① 낱포장 • 물품 개개의 포장을 말하며, 물품의 상품가치를 높이기 위해 또는 물품을 보호하기 위해 적절한 재료, 용기 등을 물품에 가하는 기술 또는 가한 상태를 의미. 또는 단위포장이라 함 • ② 속포장 • 포장화물 내부의 포장을 말하며 물, 습기, 광열, 충격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재료, 용기 등을 물품에 가하는 기술 및 가한 상태를 의미. 또는 내부포장이라 함 • ③ 겉포장 • 포장화물의 외부의 포장을 말하며 물품을 상자, 자루, 통 따위의 용기에 넣거나 또는 용기를 넣지 아니한 채 결속하고 기호, 표식 등을 가하는 기술 및 가한 상태를 의미또는 외부포장이라 함
2. 포장의 표준화와 적정화 • 포장의 표준화 • 포장표준화는 물적유통 전반을 조성해주는 활동으로서 물류비의 절감을 목적으로 함과 동시에 유통업자, 포장재 생산업자, 사용자, 소비자 등에 이르기까지 그 효과가 전달될 수 있도록 국가적, 국제적으로 추진 • 포장의 표준화는 포장재료의 표준화, 포장기법의 표준화, 포장치수의 표준화, 포장강도의 표준화로 분류 • 포장표준화는 생산·유통되고 있는 각종 포장용기의 규격을 검토, 분석하여 표준화, 규격화 함으로써 물류의 합리화를 도모하는 데 그 목적 또는 외부포장이라 함
포장표준화의 효과를 살펴보면, ① 포장설계를 간소화함으로써 포장비, 포장재료비, 포장작업비 등을 절감하고, ② 보관·수송·하역의 효율화로 물류비를 절감하고, ③ 판매시 이용의 효율화로 판매효율이 향상되며, ④ 제품가격의 인하효과로 시장에서의 경쟁력이 강화. 또한 포장재료를 합리적으로 사용하여 포장폐기물의 감소효과를 고려할 수 있음
2) 포장치수의 표준화 • 포장모듈화 • ①포장모듈의 정의 • 하역, 보관, 수·배송 등의 합리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포장의 표준화와 규격화 • 유니트로드 치수를 표준화하기 위해서는 수송기관으로서의 트럭, 해상 컨테이너, 철도 컨테이너 및 화차와의 치수에 정합성을 갖도록 한다는 것 • ②포장모듈화의 저해요소 • 일관팔레트화의 부진 • 상품형태가 모듈화에 부적합 • 제품의 다양화, 경쟁의 격화로 제품의 종류가 증가하고 판매지향형의 경향 • 기존의 생산설비, 물류시설을 변경해야 함 • 경영자들의 모듈의 중요성 인식의 부족 등
3) 포장의 적정화 • 적정포장이란 합리적이고 공정한 포장을 의미하는데, 공업포장(수송포장)에서는 유통과정에 있어서의 진동, 충격, 압축 및 온·습도 등에 의해 물품의 파손, 손상이 생겨서 물품의 가치 및 상태가 저하되지 않도록 유통의 실태에 맞는 포장을 의미 • 적정포장을 행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조건을 생산자측, 물류업측, 판매자측 및 소비자측의 입장에 따라 다름 생산자측 조건 물류업자측 조건 판매자측 조건 소비자측 조건 • 만족감의 제공 • 개봉 또는 재포장의 • 용이함 • 포장 후 처리의 용이함 • (재이용 포함) • 하역의 용이함과 위험방지 • 표준화에 의한 • 유니트로드화 가능성 • 포장강도의 안정 • 표시마크의 용이성 • 수송수단의 적합성 • 물류과정에서의 도난방지 • 개봉 또는 재포장이 • 용이함 • 내용 표시의 명확성 • 소비자의 감각에 부합된 • 디자인 • 제품의 적정한 보호 • 보다 저렴한 포장비 • 기업의 이미지 상승효과 • 작업의 라인화·자동화 • 가능성
제2절 포장관리 • 3. 물류포장의 미래 • 환경포장의 추진 • (1) 환경포장의 개념 • 포장의 고유한 목적과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포장재료를 보다 적게 사용하여 재생 및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환경친화성을 확보하는 활동 (2) 환경포장의 활동 (3) 포장의 환경성 개선 추진방향
Summary • 하역관리 • 포장관리 ☞ 물류포장의 미래에 대하여 전망해 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