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 likes | 441 Views
환경과 행복 이정전 (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우리는 행복한가 ( 한길사 ). 목차. 서론 소득과 행복 행복의 역설 행복의 역설에 대한 다양한 설명 환경과 행복 결론. 행복의 결정요인. 행복 : 근본가치 행복 환경 소득. 소득과 행복 미국의 예 1. 미국의 예 2. 행복관련 주요 지표의 동반하락. 결혼생활 만족도 ↘ 직장생활 만족도 ↘ 주거환경 만족도 ↘
E N D
환경과 행복 이정전(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우리는 행복한가(한길사)
목차 • 서론 • 소득과 행복 • 행복의 역설 • 행복의 역설에 대한 다양한 설명 • 환경과 행복 • 결론
행복의 결정요인 행복: 근본가치 행복 환경 소득
소득과 행복 미국의 예1
행복관련 주요 지표의 동반하락 • 결혼생활 만족도 ↘ • 직장생활 만족도 ↘ • 주거환경 만족도 ↘ • “물질적 풍요가 역사상 최고에 이르렀지만,인생의 허무함을 느끼는 사람의 수 역시 최고에 이르렀다.” 엘 고어
행복한 나라와 불행한 나라 • A 그룹: 잘 살면서 행복한 나라 네델란드, 북구의 나라, 스위스, 미국 • B그룹: 못 살면서 행복한 나라 인도네시아,콜롬비아, 베트남, 필리핀 • C그룹: 못 살면서 불행한 나라 불가리아, 짐바브웨, 파키스탄 • 일본과 우리나라
◇ 선진국의 실상 행복의 역설: 소득수준의 향상이 국민을 더 행복하게 하지는 않는다 문제의 제기 ◇ 우리 사회(모든 나라): 금전적․물질적 목표를 중심으로 짜여진 사회 • 참여정부 국정목표: 1인당 국민소득 2만 불 • 비전 2030: 2030년까지 5만 불, 세계 제8위 경제대국, 생활의 질 10위(2007년, 40위) ◇ 근본적 질문 • 2 만 불 선을 넘어서면 어떻게 되는가? 소득증대 → 생활의 질 ↑ → 행복 ? ◇경제성장에 대한 반성: 경제성장의 득과 실? Smart Growth
행복의 역설 • 지난 반세기: 행복에 대한 연구의 홍수 자연과학자들이 주도 • 이스털린(Easterlin)의 역설 개인소득의 증대 → 개인의 행복 국민소득의 증대 →ⅹ국민의 행복 • 후속이론들 이스털린의 역설을 일부 부정 개인소득의 증대 → ⅹ개인의 행복 결별점(Decoupling Point) 적응(습관화)과 포부형성
행복 역설에 대한 다양한 설명 ⊙상대성 이론 소득수준의 향상 → 남과의 비교 • 실험 1: 다음 두 가지 중 어느 것을 선호? 선택①: 당신의 월급은 400만원이고 다른 모든 사람의 월급은 800만원인 상황 선택②: 당신의 월급은 200만원이고 다른 모든 사람의 월급은 100만원인 상황 ☞ 다수가 ② 선택 [나의 소득 증가, 남의 소득 증가] → ⅹ 행복↑ ⇒ 1인당 국민소득 증가 → 국민의 행복감 불변
상대성 이론의 사례들 (1)올림픽 은메달리스트와 동메달리스트 (2)구 동독 국민의 행복지수 (3)미국 여성노동자의 행복지수 ⇒소득, 소비의 영역: ‘남과의 비교’가 유난히 심함 남과의 비교: 행복감을 떨어뜨리는 주된 요인 우리의 현실(선진국의 현실) [소득수준↑ , 경쟁의 격화] → 남과의 비교가 점점 더 중요 경쟁격화 → 스트레스 : 불행의 주된 요인 지위재의 비중↑: Luxury Fever, “사치의 나라”, 사교육 열풍 ☻행복의 비결: 남과 나를 자꾸 비교하지 말라
모든 영역에서 남과의 비교가 심한 것은 아님 실험 2: 다음 두 가지 중에서 어느 것을 선호? 선택①: 당신의 휴가는 한 달, 다른 모든 사람의 휴가는 두 달 선택②: 당신의 휴가는 보름, 다른 모든 사람의 휴가는 1주일 • 다수가 ① 선택 • ⇒ 여가를 즐김에 있어서는 남을 크게 의식하지 않음 • ☞ 환경정책에 중요한 시사점
⊙욕망 부풀리기 이론 행복방정식 소비 • 행복 = _________ 욕망 • 세속철학 → 소비증대를 권장 • 금욕철학 → 욕망억제를 권장 자본주의와 세속철학: 찰떡 궁합 ↗ 행복일정 • 자본주의 → [소비↑,욕망↑] ↘ 환경파괴
⊙적응이론(디딜방아 이론) 소득의 증가: 사람들이 쉽게 적응함 포부형성 가진 것↑ → 가지고 싶은 것↑ (정비례) ⇒ 현실에 만족하지 못함 상품소비의 증가: 쉽게 적응, 쉽게 물림 적응 ⇒ 행복감이 금방 사라짐 대량생산상품: 편리함, 편안함 제공 편리함, 편안함 → 권태, 무료함 ※자본주의의 약점: 편리함 공급에 효율적, 권태 해소에 비효율적
행복의 종류 √ 돈으로 살 수 있는 행복 특징: 한계효용체감현상 √ 돈으로 살 수 없는 행복 사랑, 우정, 화목, 존경, 명예 등 (사람들이 가장 가지고 싶어하는 것들) 특징: 한계효용체증의 현상 선진국 사회: 돈으로 살 수 있는 행복이 포화상태에 이름 ☞행복의 역설
환경과 행복 • 일반상품: 수요의 소득탄력성 낮음 • 환경: 수요의 소득탄력성 매우 높음 ⇒ 소득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환경에 대한 수요는 상대적으로 크게 늘어날 것임 • 소득수준의 전반적 향상 ☞ 환경 수요 > 일반상품 수요 수요가 크다는 것 ⇒ 행복창출이 큼 ⇒ 단순한 소득증대보다는 환경친화적 경제성장이 국민에게 더 큰 행복을 가져다 줌
◇상대성 이론의 시사점 ①소득, 상품소비의 영역: 남과의 비교가 심함 소득, 소비의 전반적 증가가 국민의 행복지수를 크게 높이지 못함 ②환경의 영역: 남과의 비교가 심하지 않음 전반적 환경개선 → 국민의 행복지수↑ 단순한 소득,소비의 증대보다는 환경친화적 경제성장의 필요성 ◇적응이론의 시사점 일반상품: 쉽게 물림, 대량생산상품 → 권태 환경:쉽게 물리지 않음, 엄청난 다양성 ⇒ 환경은 지속적 행복의 원천
행복을 위한 사회적 선택 ◇ 선택 묶음 1 A사회: 국민들이 50평짜리 주택에 살고 있음. 매일 직장까지 교통혼잡을 뚫고 한 시간 통근해야 함. B사회: 국민들이 35평짜리 주택에 살고 있음. 매일 직장까지 대중교통 수단으로 15분에 출근함. • 미국, 우리나라 : A 사회 지향 ◇선택 묶음 2 A사회: 큰 주택, 크고 화려한 자동차, 정교한 가전제품을 생산하느라고 제대로 운동할 틈도 없고 가족 및 친구들과 어울릴 틈도 없이 정신 없이 움직이는 사회, B사회: 작은 집에 살며, 자동차를 덜 타고, 단순한 가전제품을 사용하고 있지만, 환경과 스포츠를 자주 즐기고 가족 및 친구들과 자주 어울리면서 여유 있게 사는 사회
행복을 결정하는 주된 요인 • 환경 → 행복 • “Big Five” (U.S. General Social Survey) ➀가족관계 ➁재정상태 ➂일(work) ➃공동체(community)와 친구 ➄건강 ※우리나라의 경우, 건강이 첫 번째임 • 환경 → 건강 → 행복
결론 • 행복을 의무로 삼는 사회 행복한 사람: 남을 더 잘 배려, 더 협동적, 더 많은 봉사활동, 더 많은 기부 불행한 사람: 그럴 마음의 여유를 갖지 못함 ⇒ 사회구성원 각각이 행복 → 더 좋은 사회 “행복은 개인의 권리이자 의무” • 진정 행복을 추구하는 사회 (GNP에서 GNH로) 낭비적 소비 억제 환경파괴적 경제개발 억제 무모한 경제성장 지양 ⇒ 환경파괴↓ → 지속가능발전 √ 개인의 행복추구 한계 → 사회적(국제적) 공조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