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 likes | 256 Views
태양관측 고속영상분광기 (Fast Imaging Solar Spectrograph, FISS). ③. ⑤. 빅베어 태양천문대 / 태양관측망원경 (BBSO/New Solar Telescope, NST). space. ④. space (scan). ①. ②. ③. 뉴저지 공과대학 , 서울대학교 , 한국천문연구원이 참여하여 빅베어 태양 천문대에 세계에서 가장 큰 태양망원경을 건설하고 있다 . 이 망원경은 주경의 지름이 1.6m 이며 500nm 에서 0.14” 의 분해능을 가진다
E N D
태양관측 고속영상분광기 (Fast Imaging Solar Spectrograph, FISS) ③ ⑤ 빅베어 태양천문대/태양관측망원경 (BBSO/NewSolar Telescope, NST) space ④ space (scan) ① ② ③ 뉴저지 공과대학, 서울대학교, 한국천문연구원이 참여하여 빅베어 태양 천문대에 세계에서 가장 큰 태양망원경을 건설하고 있다. 이 망원경은 주경의 지름이 1.6m 이며 500nm 에서 0.14”의 분해능을 가진다 이 망원경으로 주로 광구에서 보이는 미세한 구조들(흑점, 쌀알무늬, 자기다발등)에 대한 연구를 할 수 있다. 여기에 국내에서 제작한 분광기를 설치하여 채층에서 보이는 현상들에 대해서 자세히 연구하고자 한다 ② space ③ space ① wavelength (scan) ② ① wavelength Big Bear Solar Observatory 태양관측 고속영상분광기(FISS) 한국천문연구원과 공동으로 개발하고있는 태양관측 고속영상분광기(Fast Imaging Solar Spectrograph, FISS)가 NST에 설치될 예정이다. 망원경에서 모아진 빛이 분광실로 내려오면서 능동/적응광학을 적용한 대기의 효과가 제거된 빛을 받아 FISS에서 분광관측을 수행한다. FISS는 분광실의 벽면에 설치된다. FISS의 가장 큰 특징은 두 개의 서로 다른 파장으로 동시에 한 대상을 관측할 수 있는 것이다. 서로 다른 파장의 빛으로 동시에 관측하여 관측대상의 여러 물리량들을 알아낼 수 있다. 또한 영상관측과 분광관측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기기이다. 영상분광(Imaging Spectroscopy)의 두 가지 방법 • 필터를 사용하는 방식 • 하나의 파장에서 영상을 얻은 후 필터의 파장을 바꾸어 반복적으로 데이터를 얻는 방법이다. 필터를 사용하면 넓은 영역의 데이터를 같은 시간에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필터로 바꿀 수 있는 파장의 한계 때문에 충분한 분광정보를 얻기 어렵다 • 슬릿을 사용하는 방식 • 슬릿의 위치를 움직여가면서 데이터를 얻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관측대상의 분광정보를 자세히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어느 한 지역을 모두 스캔하기 위해서는 필터를 사용하는 방식에 비해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 FISS는 슬릿을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 빠른 검출기와 스캐너를 사용하여 분광모드일때는 60초, 영상모드일때 10초 에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① ② FISS 구성요소/배치 ① 스캐너 슬릿에 들어가는 태양면의 위치를 옮겨주는 역할을 한다 ② 슬릿 ③ 콜리메이터/카메라 거울 슬릿을 통해 들어온 빛을 평행광으로 만드는 역할과, 에셸격자에서 나온 빛을 검출기에 들어가도록 모아주는 역할을 한다 ④ 에셸격자 콜리메이터에서 평행광의 빛이 들오면 회절/간섭 효과를 일으키며 차수별로 빛이 분리된다. ⑤ 검출기(CCD) 분광된 빛을 저장하는 부분이다 ⑥차수 분리 필터 격자를 통해 나온 빛은 여러 차수가 겹쳐져서 나오기 때문에 원하는 않는 파장의 빛을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⑥ ④ ⑤ ③ 기기구동/관측프로그램 기기구동/관측프로그램은 Labwindows/CVI 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이 프로그램은 Ansi C 가포함되어 있으며 쉽게 사용자 환경을 구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FISS의각 구성요소들 중에서 구동/제어가 가능한 부분들이 모두 CVI를 사용하여 만들고 있으며 각 프로그램들을 취합하여 FISS전체를 제어하고 관측할 수 있는 통합 관측 프로그램을 만들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