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2

환경 보전생산 EPM ( E nvironment P roductivity M anagement) 을 통한 생산혁신 컨설팅

환경 보전생산 EPM ( E nvironment P roductivity M anagement) 을 통한 생산혁신 컨설팅. 2011. 07. 1. 전사적 환경경영 (TEM) 과 환경 보전생산 (EPM). 전사적 환경경영활동과 생산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환경 보전생산으로 최소의 투입으로 최대 효과를 창출. 환경창조 향상경영 : 미래 지향 생존기업 (Environmental Creation Management). 환경경영 활동. Sustainability management. CSR

rene
Download Presentation

환경 보전생산 EPM ( E nvironment P roductivity M anagement) 을 통한 생산혁신 컨설팅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환경 보전생산 EPM(EnvironmentProductivityManagement) 을 통한 생산혁신 컨설팅 2011. 07.

  2. 1. 전사적 환경경영(TEM)과 환경 보전생산(EPM) 전사적 환경경영활동과 생산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환경 보전생산으로 최소의 투입으로 최대 효과를 창출 환경창조 향상경영 : 미래 지향 생존기업 (Environmental Creation Management) 환경경영 활동 Sustainability management 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SRI (Socially Responsible Investment ) 전사적 환경경영(TEM) 환경 보전생산(EPM) 기업, 단체의 최고경영자로부터 전 사원이 환경 경영에 적극 참여하고, 기존의 경제적 측면에 사회적 기업 경영 효과 창출을 통한 기업 가치를 극대화 하고 지속 가능한 경영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적인 최적의 경영활동 • 환경경영과 생산성을 동시에 달성하는 활동 방식 • 환경경영 전략의 핵심적 방식으로 목표달성 극대화 • 대응 전략으로, 최적 투입/최적 생산/최소 소비/ • 최소 폐기로, 기업의 생산활동과 직결 되는 효율적인 •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활동 Practical Use Technique 5MI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 저감 5R전략 MFCA (환경원가관리) 3P 1. Reformulation 2. Redesign 3. Reuse 4. Reduce 5. Recycle • MFCA • (Material Flow Cost Accounting) • 1. Plant • 2. People • 3. Profit 1. Money(원가) 2. Machine 3. Material 4. Man 5. Information • 온실가스감축활동/ • 기후변화협약 • CDM/인벤토리 구축 /인증거래등록 등 • 제조 공정 에너지 / 자원 저감 활동 • 5R / 신 재생에너지 관련

  3. 2. 전사적 환경경영(TEM : Total Environment Management)의 개요 기업에게 주어지는 다양한 환경적 도전에 효과적으로 대응해 가면서, 궁극적으로는 국내외경쟁 기업들과의 차별화를 통한 환경경영적 측면에서의 비교우위를 확보하는 기업의 목표를 달성하는 활동 전사적 환경경영의 필요성 TEM (PDCA Cycle) : 지속 개선 활동 • 환경방침 설정 • 환경부하활동상황파악 및 평가 • 환경 관련 법규 등의 정리 • 환경목표 및 활동계획의 책정 • 대표자를 포함하는전체 평가 • : 개선과제 도출 반영 • 고객의 환경 피해의식 고조 • 기업책임의 사회적 요구 • 기업의 존폐 문제 등극 • 문제의 복구기간 장기 소요 • 문제 해결의 투자 금액과다 • 국내외 협약 규제 법규 강화 • 자원의 기업 부담 급증 Plan 환경경영에 대한 방침목표 결정 환경경영의 당면과제 Action 정기적 시스템 개선 전사적 환경경영 활동 Do 목표달성을 위한 조직체제 정비 실시 운용 • 환경경영의 다양성 대응 최적전략 • - 현상도전 • - 이상도전 • - 극한도전 대응 전략 Check 운영 상황/ 목표달성 상황파악/ 평가개선/점검시정 • 실시 체제 구축 • 교육 훈련 실시 • 실시 운영 • 환경 변화 사태 • 준비 대응 • 조직상황 확인 및 • 문제점 시정 • 환경 관련 문서 및 • 기록 관리

  4. 3. 환경 보전생산(EPM : Environment Productivity Management)의 개요 제조.생산 활동의 환경 부하 / 활동의 필요성 환경보전생산의 활동에 있어 생산 부문은 환경문제와 관련 절대적 크기를 갖는다. 표기 내용은 기업 내 일상생활에서 발생 하는 크기는 제외한 표기이다. 자연 현상이나 천재 지변에 관한 환경문제는 기업의 지역이나 계절적 요인의 제품생산 등 생산 제품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유한다. 제품의 개당 환경 부하율 지수는 일반적으로 원료 이송 투입 부문이 59 생산 부문이 259 완성품의 소비자 단계 51의 일반적 지수이다 제조 생산 부문의 환경 부하 제조 생산 활동 직.간접 관리 개발 설계 구매.조달 상품 1 EA / 환경 부하율 원료 생산 제조 부하 물류 59 259 51

  5. 4. 환경 보전생산(EPM)의 Image 1.EPM 활동 대상 2.효율적 대응 활동 경영 전략 E P M System image E P M • ☞환경 경영 전략 • 이윤창출 전략 수립 추진 • 미래지향사고(CSR)전략수립 • 국내외 변화대응 (협약 등) • 환경경쟁력 제고/ 이미지제고 • ☞인재양성 • 단계적 교육훈련/SKILL향상 • 선진 사례 학습 • 다양한 기법 학습 훈련 • 부문 전문가 양성 • ☞설비 기술 투자 • 최적 효율성 극대화 설비도입 • 자사 활용 설비 개발 • 기존 설비 활용 최대화 • 불요 불급 설비 재고 • ☞자원 • 최소투입 최대산출: Balance • 실적 / 목표 관리 • 폐기물 최적화 • 5R 활동 전개 /온실가스 감축 • 구매 조달 시스템 정비 고객/시장/영업 개발/설계/기획 조달 공급 (자원) 투입 생산 / 사용 배출 / 운송 폐기/회수/ 재생

  6. 5. 환경 보전생산(EPM)의목표 ☞ 기업에게 주어지는 다양한 환경적 도전에 효과적으로 대응해 가면서 궁극적으로는 국내외경쟁 기업들과의 차별화를 통한 환경 경영적 측면에서의 비교우위를 확보 ☞ 기업 내 환경 보전생산 활동으로 생산부문의 낭비제거 및 원가절감을 통해 기업의 목표를 달성 기회 선점 – 사전예방 대응 환경경영의 기회창출- 환경성 환경 친화적 생산/서비스체제 이행 • 문제 해결 사후처리 – 초보자형 • RISK 관리 대중 요법 – 소방수형 • 원류대응 사전예방 • 지구환경 보전 기회선점- 전략적 기업형 • 새로운 경쟁우위 요소 -기업경영의 목적 =이윤극대화 -이윤극대화 방안=경쟁우의 확보 -경쟁우위 원천= 가격 ㅡ> 품질 ㅡ> 환경성 • 환경성 확보전략 수단 -환경 경영 (Environmental Management) • 진정한 의미의 고객감동 -고객감동=가격+품질+환경만족 • 내구력 개선 • 재생 가능한 부품 • 환경 친화적 제품 • 부품 구성의 변경 등 제품 기본 (현재수준) • 대기, 수질오염 방지 • 에너지 절약 • 폐기물 발생 최소화 제조활동 • 효율성 개선 • 체계적 공정관리 • 개선된 부품 취급 등 생산공정 기회선점 대응 (향후 방향) 원재료 • 환경친화적 원료 사용 • 재생원료 사용 확대 • 원재료 투입 감소 등

  7. 6. 환경 보전생산(EPM)의 현황과 방안 경영 측면 인재 / 전문가 추진 방법론 지식 설비 ∙ 기술력

  8. 7. 환경 보전생산(EPM)의세부추진 전략 제품 • 내구력 개선 • 재생 가능한 부품 • 환경 친화적 제품 • 부품 구성의 변경 등 제조활동 환경 친화적 생산/ 서비스체제 이행 • 대기, 수질오염 방지 • 에너지 절약 • 폐기물 발생 최소화 생산공정 원재료 • 효율성 개선 • 체계적 공정관리 • 개선된 부품 취급 등 • 환경친화적 원료 사용 • 재생원료 사용 확대 • 원재료 투입 감소 등 새로운 경쟁 우위요소 환경성 확보 전략 진정한 의미의 고객감동 환경경영의 기회창출 : 환경성 • 목적: 이윤극대화 • 이윤극대화 방안 : • 경쟁우위 확보 • 경쟁우위 원천 : • 가격< 품질<환경성 • 환경 생산 전략 • 환경경영 • 고객감동= • 가격+품질+환경만족 현재 수준 향후 기본 방향 활동결과 기회 선점 : 사전예방 대응 • 문제 해결 사후 처리 : 초보자형 • Risk 관리 대중 요법 : 소방수 형 • 원류 대응 : 사전예방 • 지구 환경 보전 : 기회선점 • 전략적 기업형 • 지속가능경영 실현 • 환경생산시스템 정착 • 기업 경쟁력 선점 • 사회적 기업 /환경창조 기업 경영

  9. 8. 환경 보전생산(EPM)의세부추진 방안 현황 NEEDS 파악 종합/부문 진단-방안대책수립 향상.개선 방안활동 환경경영체계 구축 -개선향상 이익창출 변화대응시스템 구축 체계 유지 관리 대책 방안 체계 시스템 관리 표준화

  10. 9. 환경 보전생산(EPM) 컨설팅 사례 A사(자동차 부품업체) 사례

  11. 9. 환경 보전생산(EPM) 컨설팅 사례 J사 사례 K사 사례

  12. 9. 환경 보전생산(EPM) 컨설팅 사례 자동차 부품 용접가공 공정에 의한 산업폐기물 저감 ○ <용접에 불꽃은 당연> 이라는 상식을 재 검토, 용접공정에서 발생하는 불꽃 금속가루의 저감도전 ○ 저감 도전 결과 , 폐기물의 발생1/6될 뿐만 아니라, 소비 전력량의 저감에 의한 에너지 절약을 달성. ○ 대책의 과정에서, 생산 공정의 설계 변경 등을 실시 생산 효율도 향상 공정에 있어서의 용접 시「스팟 레스」를 철저히 하기 위해, 대책 프로젝트를 설치, 발생원 대책으로부터 공정의 설계 변경까지 시행을 반복, 공장 전체로 전개. Spotless conversion은, 품질·생산상 중요한 껏 뿐 아니고, 에너지 절약과 폐기물(철의 비산 쓰레기)의 대폭 저감으로 연결된다. 타일 건재 제조 공정 ○ 생산 loss 재 등의 재 이용에 , 공장의 0 emission 달성. ○ 제품의 불 균일성을 부가가치로 하는 발상의 전환에 의해서, 리사이클 제품의 대폭적인 매상 증가를 달성 <타일 건재「지오크라시코」>이 상품은, 재생재로서 생산 로스재나 공장의 생산과정 등으로 발생하는 하수 오니 소각재를 활용한 리사이클 상품. 여러 가지의 폐재의 리사이클품을 위해, 성분이 불균일, 표면의 거칠기 가감이나 색조, 색상이 무너지는 상태 등, 동일타일이 없다. 그 감촉이 오히려 부가가치가 되어, 지금은 공장의 출하량의 50%를 차지하기까지 되었다. (일경 에콜로지 2002년 11월호) <재생 원료 활용 프로젝트의 배경> 종래, 타일 생산은, 로스율이 10%넘는 것은 드물지 않았다. 한편 폐재 이용실험에 , 10%의 재생 재 혼입율을 실현하는 것도 어려운 상황에 있었다. 재생재 혼입율을 높이면, 제품의 로스율은 한층 상승하는 딜레마가 있었다. 그러한 가운데, 제품의 불 균일를 반대로 살려, 하나의 부가가치로서 판매를 시작하는 것이 검토되어 제품화한 것이「지오크라시코」이다. <리사이클의 효과> 지금까지 매립하고 있던 생산 로스재나 하수오니 소각재를 재이용한 타일 건재를 개발. 재생재의 혼입율을 50~80%로 높이는 한편, 로스율의 대폭 억제에 성공. 1997년의 발매 이후, 출하량을 늘려, 2000년에는 흑자를 달성했다. 또, 사업소내에서의 생산 로스를 유효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 virgin재의 이용량을 큰폭으로 줄여, 1 m2근접의 원재료비를 32%삭감하는 것에 성공했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