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0 likes | 1.18k Views
제 2 장 문제 정의. “ 문제 ” 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 문제는 현재 상태 A 에서 개선된 상태 B 로 변환 가능한 상황을 말한다 문제의 두 가지 면 = 어려움 ( 위험 ) 과 기회 ( 도전 ). 창의적 문제 해결 과정. 문제 정의의 중요성. 무엇이 진짜 문제인가 ? 낙타 이야기 문제정의에 따라서 해결책의 질이 달라진다 예 2.1: 고래 뱃속의 잠수부 문제 문제 정의문이 진짜 문제를 정의하는데 실패한 경우 예 2.2: 배 아픈 학생 예 2.3: 물침대 이야기. 9. 1/2.
E N D
제 2 장 문제 정의 “문제”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 문제는 현재 상태 A에서 개선된 상태 B로 변환 가능한 상황을 말한다 • 문제의 두 가지 면 = 어려움(위험)과 기회(도전) http://itsys.hansung.ac.kr
창의적 문제 해결 과정 http://itsys.hansung.ac.kr
문제 정의의 중요성 • 무엇이 진짜 문제인가? • 낙타 이야기 • 문제정의에 따라서 해결책의 질이 달라진다 • 예 2.1: 고래 뱃속의 잠수부 문제 • 문제 정의문이 진짜 문제를 정의하는데 실패한 경우 • 예 2.2: 배 아픈 학생 • 예 2.3: 물침대 이야기 http://itsys.hansung.ac.kr
9 1/2 1/2 8 1/2 1/3 1/3 18 17 6 5 2/3 1/9 1/9 2 1 8/9 무엇이 진짜 문제인가? • 낙타 이야기 “진짜”문제는 아버지의 계산이 맞아떨어지지 않는 것이다. http://itsys.hansung.ac.kr
문제정의에 따라서 해결책의 질이 달라진다 http://itsys.hansung.ac.kr
진짜 문제를 정의하는데 실패한 문제 정의문 http://itsys.hansung.ac.kr
진짜 문제를 정의하는데 실패한 문제 정의문 (계속) http://itsys.hansung.ac.kr
진짜 문제를 정의하는데 실패한 문제 정의문 (계속) http://itsys.hansung.ac.kr
“진짜 문제”를 정의하는 법 (1) 문제의 현재 상태 A와 개선된 상태 B를 정의한다. (2) “문제 정의문 작성 요령”에 맞게 최초의 문제 정의문을 작성한다. (3) 최초 작성된 문제 정의문을 다시 작성해 본다. • 바꾸어 말하기 • 정반대로 정의하기 • 초점을 넓혀라: 좀 더 넓은 문맥에서 문제를 재정의 하라. • 초점의 방향 전환: 대담하게 의식적으로 초점을 변경하라. • “왜?”라고 질문하라. http://itsys.hansung.ac.kr
문제 정의문 작성 요령 • 1) 문법에 맞는 문장을 작성하라. • - 문장이 문법에 맞지 않으면 문장의 의미가 정확히 전달되지 • 않는다. • 2) 문장을 간결하게 작성하라 • 너무 긴 문장은 도리어 문제의 핵심을 정확히 전달하는데 방해가 된다. • 문제 정의문은 간결하고 명확하게 작성하고, 부차적인 제한조건이나 설명들은 따로 문장으로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3) 부정문 보다는 긍정문으로 작성하라. • 4) 수동형보다는 능동형 문장이 더 좋다. http://itsys.hansung.ac.kr
초기 문제정의문의 오류 가능성 • 초점이 없는 경우: 정의가 너무 모호하거나 넓다. 예) "작업장의 컴퓨터에 대해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하는가?" 이런 문장은 문제를 정의해주지 않는다. • 초점의 방향을 잘못 설정한 경우: 정의가 너무 좁다. 예) 문제 정의의 어려움에서 이미 서술한 “배탈” 문제와 “물침대” 문제 • 정의문이 가정에 근거한 경우 예) "철수의 성적이 떨어지고 있다. 어떻게 더 열심히 공부하도록 만들 수 있을까?" • 정의문이 해결책에 근거한 경우 예1: “무중력 상태에서 우주인들이 볼펜을 사용할 수가 없다.” 필기 방식을 볼펜을 사용한다는 해결책이 문제 정의문에 들어있다. 연필과 같은 다른 해결책이 문제 정의문에 의해서 제외되었다. 예2: “우주 왕복선에서 백열전구가 잘 깨어진다.” 우주왕복선에 백열전구가 꼭 필요한가? http://itsys.hansung.ac.kr
문제 정의문을 다시 작성하기 • 바꾸어 말하기 • “무중력 상태에서 우주인들이 볼펜을 사용할 수 없다” • “무중력 상태에서 우주인들이 사용할 수 있는 필기도구를 개발한다. ” • 정반대로 정의하기 • 종업원들이 야유회에 많이 참석하도록 하는 방법이 무엇일까? • 종업원들이 야유회에 참석을 많이 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법이 무엇인가? • 초점을 넓히기 • 직업을 바꾸어야 하나? • 어떻게 직업의 안정성(Job security)을 얻을 수 있나? http://itsys.hansung.ac.kr
문제 정의문을 다시 작성하기 (계속) • 초점의 방향전환 • 어떻게 판매를 촉진할 수 있는가? • 어떻게 비용을 줄일 수 있는가? • 창의성을 많이 요구 • “왜”라고 질문하기 • "왜"라고 질문하고 그 대답에 기초하여 문제 정의문을 새롭게 만들어라. http://itsys.hansung.ac.kr
문제 정의문을 다시 작성하기 (계속) http://itsys.hansung.ac.kr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문제정의과정 (1) 팀을 정하라. (2) 문제 주제를 선택하라. (3) 문제의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라. • 좋은 주제, 문제 넓힘 발산적 연쇄 질문 • 해결방안 위해 문제를 작은 단위로 나눔 수렴적 연쇄 질문 (4) 정보와 소비자 데이터를 수집하라. (5) 정보를 분석하라. 파레토 도를 만들어라. 브리핑을 준비하라. (6) 문제 정의문 개발 : 긍정적인 문장으로 쓰도록 한다. http://itsys.hansung.ac.kr
문제 정의 과정에서 도움이 되는 방법들 • QFD(Quality Function Deployment) • Benchmarking • 설문조사와 파레토 도 • 원인결과도 • 수렴적/발산적 연쇄질문 * 각 방법의 자세한 사항은 책을 참조할 것 http://itsys.hansung.ac.kr
상황적 문제 해결 • 알려진 공식에 값을 대입하는 문제해결 방법(plug-and-chug)과 가장 대비되는 개념 • 예1) 몇 대의 버스가 필요한가? http://itsys.hansung.ac.kr
상황적 문제 해결(트럭 경제학) C= 50 + S/8 + 1000/S d(C)= 1/8 - 1000/S2 S= 89.4427 mph http://itsys.hansung.ac.kr
문제정의문 작성 실습 • 우리대학교의 경쟁력 강화 방안에 대하여 문제 정의를 한다. • 문제정의문을 작성하라. • 문제정의문 작성법에 따라 문제정의문을 다듬어라. • 최종의 문제정의문을 작성하라. • 과정을 요약 기록하라. http://itsys.hansung.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