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0 likes | 613 Views
시험 안내. 개요 산업계의 정보화가 진전되면서 영업 , 재무 , 생산 등의 분야에 대한 경영분석은 물론 데이터 관리가 필수 ‘ 컴퓨터활용능력 ’ 검정 컴퓨터 사용과 사무자동화의 필수 프로그램인 스프레드시트 (SpreadSheet), 데이터베이스 (Database) 활용능력을 평가하는 국가기술자격 시험임 주관 : 대한상공회의소 홈페이지 주소 : http://www.passon.co.kr. 시험 안내. 시험 과목과 합격 기준. 시험 안내.
E N D
시험 안내 • 개요 • 산업계의 정보화가 진전되면서 영업, 재무, 생산 등의 분야에 대한 경영분석은 물론 데이터 관리가 필수 • ‘컴퓨터활용능력’ 검정 • 컴퓨터 사용과 사무자동화의 필수 프로그램인 스프레드시트(SpreadSheet), 데이터베이스(Database) 활용능력을 평가하는 국가기술자격 시험임 • 주관 : 대한상공회의소 • 홈페이지 주소 : http://www.passon.co.kr
시험 안내 • 시험과목과 합격 기준
시험 안내 • 실기 수험용 프로그램 (2009년 1월 1일 부터) • 현행 : office 2000, office 2002(XP), office 2003 • 변경 : office 2003, office 2007 • 필기시험은 office 2003 버전으로 출제
학습목표 • 컴퓨터의 원리 및 개념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종류 및 개념 • 컴퓨터 본체의 내부 구성 • 컴퓨터 발전과정 • 자료의 표현과 처리
목차 • 컴퓨터 개요 • 컴퓨터 구성 • 컴퓨터 발전과정 • 컴퓨터의 자료 표현과 처리
컴퓨터 개요 • 컴퓨터의 정의 • 자료에 대하여 일련의 조작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필요로 하는 정보를 얻는 기계장치 • 복잡한 계산을 빠른 시간에 수행할 수 있는 장치 • ‘EDPS (Electronic Data Processing System) : 전자적 데이터 처리 장치’ 또는 ‘ADPS (Automatic Data Processing System) : 자동 데이터 처리 장치’ 라고도 함 개별적이고 의미 없는 자료를 입력 일련의 조작 처리 컴퓨터 사용 필요로 하는 정보 출력
컴퓨터 개요 • 컴퓨터 특징 • 신속성 : 유용한 정보의 빠른 처리 가능 • 정확성(신뢰성) : 오차를 최소화하여 정확한 결과 출력 • 대량성 : 많은 양의 자료 처리 가능 • 호환성 : 다른 매체나 컴퓨터의 자료와 공유하여 처리 가능 • 자동성 : 입력 자료 처리시 사람의 개입 없이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으로 처리 • 범용성 :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 • 컴퓨터 용도 • 유무선 통신망 기반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 보고서 작성, 사무 처리, 학습 보조, 금융 업무, 엔터테인먼트 등
[용어 한마디] • 유비쿼터스(Ubiquitous) • ‘도처에 널려 있다’, ‘언제 어디서나 동시에 존재한다’ 라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개념 • 현실 공간 전반에 컴퓨터들이 존재하고, 이들 사이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나 서비스를 즉시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의미 • IT • Information Technology, 정보 기술 • 초고속 인터넷, 이동 통신, 광통신, 홈 네트워크 등 통신 기술과 컴퓨터, 소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 멀티미디어 등 정보 기술의 융합에 따른 정보 통신 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이 핵심
컴퓨터 개요 • 컴퓨터의 구성 • 하드웨어 • CPU(중앙처리장치)와 기억장치 등의 기계와 각종 부품으로 구성된 부분 • 소프트웨어 • 하드웨어들의 원활한 작동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과 이런 프로그램들이 사용하는 데이터의 집합체
컴퓨터 하드웨어 • 하드웨어 • 눈에 보이는 유형의 존재 • 입력 장치, 출력 장치, 본체 • 입력 장치 • 데이터를 컴퓨터에서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장치 • 키보드, 마우스
컴퓨터 하드웨어 • 출력 장치 • 컴퓨터에서 처리된 결과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장치 • 모니터, 프린터
컴퓨터 하드웨어 • 본체 • 실제 데이터 처리를 위해 필요한 장치와 부품을 모아 놓은 컴퓨터 몸체 부분 • 본체 내부 • 메인보드, Power Supply, ODD(Optical Disk Drive), CPU, RAM, 하드디스크, 각종 카드(video, network, sound) 부품 등으로 구성
컴퓨터 하드웨어 • 본체 내부(계속) • 하드웨어 기본 구성 장치 vs. 본체 내부 장치 • 중앙처리장치 - CPU • 주기억장치 – RAM, ROM • 보조기억장치 - 하드디스크
컴퓨터 하드웨어 • 본체 내부(계속) • 컴퓨터 저장장치의 기억 용량 단위 • 1Byte(바이트) = 8bit(비트) • 1KB(킬로바이트) = 210Byte = 약 1000Byte = 약 103Byte • 1MB(메가바이트) = 220Byte = 약 1000KB = 약 106Byte • 1GB(기가바이트) = 230Byte = 약 1000MB = 약 109Byte • 1TB(테라바이트) = 240Byte = 약 1000GB = 약 1012Byte • 1PB(페타바이트) = 250Byte = 약 1000TB = 약 1015Byte 소용량 대용량
컴퓨터 하드웨어 • 본체 내부(계속) • 컴퓨터의 처리 속도 단위 • ms(밀리초) = 10-3 sec • μs(마이크로초) = 10-6 sec • ns(나노초) = 10-9 sec • ps(피코초) = 10-12 sec • fs(펨토초) = 10-15 sec • as(아토초) = 10-18 sec 저속 고속
컴퓨터 하드웨어 • 본체 앞면
컴퓨터 하드웨어 • 본체 뒷면(계속)
컴퓨터 소프트웨어 • 소프트웨어 • 목적하는 기능 수행을 위해 하드웨어를 지시, 통제하는 프로그램 • 컴퓨터가 인식하고 실행할 수 있는 명령어들을 조합하여 논리적으로 표현함. • 시스템 S/W, 응용 S/W • 시스템 S/W • 운영체제(OS) • 대표적인 기능으로 사용자와 하드웨어간의 매개체 역할을 하면서 하드웨어 리소스 스케쥴링함. • 윈도우 계열(윈도우XP,윈도우2003 ), LINUX
컴퓨터 소프트웨어 • 운영체제 기능 • 사용자와 하드웨어간의 인터페이스 제공 •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 입출력 지원 • 프로세서, 메모리, 주변 장치, 파일 등의 스케줄링 • 프로그램간의 데이터 공유 지원 • 멀티태스킹(Multitasking) 지원 • 컴퓨터 오류 처리 • 응용 S/W • 사용자의 특정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작성된 프로그램 • 워드프로세서, 오피스, 그래픽 툴, 동영상 및 사운드 재생 등
컴퓨터의 기능 • 컴퓨터의 5가지 중요 기능 • 입력기능 • 컴퓨터 외부의 자료를 유효한 정보로 처리하기 위해 컴퓨터 내부로 전달하는 것 • 사람들이 사용하는 문자, 기호, 그림, 영상 등을 컴퓨터 내부에서 사용하는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기능 • 스캐너, 키보드, 마우스 등 • 기억기능 • 작업된 결과물들을 임시 장소에 저장하는 곳, 즉 하드웨어를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이나 컴퓨터 내부로 입력된 자료, 처리중인 자료, 처리된 결과 등을 기억시키기 위한 것 • 주기억장치나 보조기억장치가 담당
컴퓨터의 기능 • 컴퓨터의 5가지 중요 기능 • 제어기능 • 필요할 때만 작업을 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기능 • 컴퓨터를 구성하는 각종 하드웨어들이 유기적으로 결합해서 동작할 수 있는 기능으로서 입력, 출력, 연산, 기억장치 등을 전체적으로 통제하는 기능 • 연산기능 • 입력된 자료를 유효한 정보로 처리하도록 하는데 있어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과 같은 사칙연산이나 참, 거짓을 판별하는 논리연산을 이용해서 데이터의 이동과 처리를 하는 과정 • 출력기능 • 모니터나 프린터를 통해 결과물을 출력하는 기능 • 입력된 자료와 처리된 정보를 컴퓨터 내부에서 사용하는 신호에서 사람이 알아볼 수 있는 문자나 영상 등으로 변환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것
문제 • 다음 중 컴퓨터의 처리 시간 단위가 빠는 것에서 느린 순서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 • ps – as – fs – ns – ms - µs • as – fs – ps – ns –µs - ms • ms –µs – ns – ps – fs - as • fs – ns – ps –µs – as – ms • 다음 중 컴퓨터의 기억 용량 단위를 작은 것에서 큰 순서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 KB – MB – GB – TB – PB • KB – MB – TB – PB – GB • KB – MB – PB – GB – TB • KB – MB – GB – PB – TB • 컴퓨터의 처리속도 단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ms = 10-3sec • µs = 10-6sec • fs = 10-9sec • ps = 10-12sec • 자료와 정보를 잘 비교하여 설명한 것은? • 정보는 자료를 일반적 상황에서 평가한 것이다. • 정보는 자료를 특정하게 처리하여 유용한 형태로 가공한 것이다 • 정보와 자료가치의 크기는 절대적이다 • 자료와 정보는 어떠한 위치와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없다.
문제 • 다음 중 컴퓨터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입력 : 컴퓨터 외부의 데이터를 장치를 통해 컴퓨터 내부로 읽어오는 기능이다. • 출력 : 컴퓨터가 처리한 결과를 장치를 통해 사람들에게 보여주는 기능이다. • 저장 : 컴퓨터에 데이터나 프로그램들을 기억하는 기능이다. • 연산 : 입력, 출력, 기억들을 제어하고 감독하는 기능이다. • 컴퓨터의 특징을 나타내는 다음 용어들 중 “다른 컴퓨터나 매체에서 작성한 자료도 공유하여 처리할 수 있다”는 의미로 가장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은? • 다중성 (Multitasking) • 범용성 (General-purpose) • 신뢰성 (Reliability) • 호환성 (Compatibility) • 컴퓨터에 대한 다음 설명 중 바르지 않은 것은? • 전자적 데이터 처리 장치(EDPS) 또는 자동 데이터 처리 장치(ADPS) 라고도 한다. • GIGO (Garbage in Garbage Out) 란 컴퓨터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처리할 때 사용되는 말로 입력 데이터가 나쁘면 출력 결과도 좋지 않다는 의미이다. • 컴퓨터의 5대 중요 기능은 입력기능, 기억기능, 제어기능, 통신기능, 출력기능을 말한다. • 컴퓨터에는 신속성, 정확성, 대량성, 범용성, 호환성 등의 특징이 있다.
컴퓨터의 발전과정 • 기계식 계산기 • BC2600 : 주판 • 중국, 17세기 이전에 계산을 위한 도구로 사용 • 1642 : 기계식 계산기 • 프랑스의 철학자 파스칼이 세계 최초의 기계식 계산기를 개발 • 톱니바퀴의 원리 이용 • 덧셈, 뺄셈 연산이 가능 • 1673 : 라이프니츠 계산기 • 파스칼의 계산기를 개량 •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이 가능한 계산기 발명 • 1823 : 차분기관 • 찰스 바베지 • 기계식으로 삼각함수 계산, 미분/적분이 가능
컴퓨터의 발전과정 • 1834 : 해석기관 • 찰스 바베지 • 기억, 연산, 제어, 입출력 등의 기능을 갖춘 현재 컴퓨터의 모체가 됨 • 1890 : 천공카드 시스템 (PCS) • 홀러리스에 의해 개발 • 국세징수를 위한 인구조사에 사용, 오늘날의 일괄처리 방식의 효시 • 1944 : MARK-l • 미국의 에이컨 교수가 IBM지원으로 개발 • 최초의 기계식 자동 계산기 • 기계식 계산기에서 발전한 형태로 기계식 자동 계산기라 할 수 있음 • 연산의 제어는 천공된 종이테이프를 사용, 자동축차방식으로 처리되는 완전한 자동 계산기
컴퓨터의 발전과정 • 전자식 계산기 • 1946 : ENIAC • 에커트와 머큘리 교수에 의해 개발 • 세계 최초의 전자식 계산기 • 진공관 18800로 구성 • 프로그램 외장방식 사용 • 1949 : EDSAC • 영국 켐브리지 대학의 윌키스 교수에 의해 개발 • 세계 최초의 프로그램 내장방식을 도입한 전자계산기 • 2진법 적용 • 1951 : UNIVAC-l • 에커트와 머큘리 교수에 의해 개발 • 세계 최초의 상업용 전자계산기 • 프로그램 내장방식 사용
컴퓨터의 발전과정 • 1952 : EDVAC • 폰노이만이 제안한 프로그램 내장방식을 이용하여 만든 전자 계산기 • 2진 연산 방식 사용, 2진법 채택 • 프로그램 내장 방식 • 프로그램과 자료를 기억장치에 기억시켜 놓고, 처리할 순서대로 하나씩 중앙처리장치로 옮겨서 실행하는 방식으로 작업을 처리하는 컴퓨터 구조, 오늘날 모든 컴퓨터에 적용되는 방식 • 폰 노이만이 제안 • 장점 : 외장 방식에 비해 오류 수정이 쉽고, 한 번 입력된 프로그램은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사용 가능
컴퓨터의 그 밖에 분류 • 컴퓨터의 분류
컴퓨터의 그 밖에 분류 • 처리 데이터의 형태에 따른 분류 • 디지털 컴퓨터 • 불연속적인 데이터(숫자, 문자)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고, 2진수 형태로 코드화하여 처리하는 컴퓨터로 숫자, 문자 형태로 출력 •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범용컴퓨터 • 프로그래밍이 필요하고 논리회로 형태이며 연산속도 느림 • 단점-온도, 습도, 전압, 전류 등 연속적인 물리 량을 데이터로 받아서 처리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음 • 아날로그 컴퓨터 • 연속적인 물리량(전류, 전압, 온도)을 입력으로 받아 처리하는 컴퓨터 • 처리 결과를 곡선, 그래프 형태로 출력 • 프로그램이 필요 없고 증폭회로 형태이며 연산 속도 빠름 • 특수 목적용으로만 주로 사용 • 하이브리드 컴퓨터 • 디지털 컴퓨터와 아날로그 컴퓨터의 장점을 혼합하여 만든 컴퓨터 • 신속한 처리와 저렴한 가격, 정확성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A/D와 D/A변환기 내장
컴퓨터의 그 밖에 분류 • 처리 능력에 따른 분류
컴퓨터의 그 밖에 분류 • 사용 목적에 따른 분류 • 범용 컴퓨터 (General purpose computer) • 사무자동화, 과학계산 등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컴퓨터 • 다목적 컴퓨터 • 전용 컴퓨터 • 공장 기계 제어, 가전제품 제어 등 특정한 분야에만 사용되는 컴퓨터 • 특수목적 컴퓨터
정보처리 • 정보처리의 개념 • 정보를 나타내는 자료를 처리하고 그 처리된 자료의 의미를 결정하는 것을 말함 • 컴퓨터가 하는 일 • 작업 데이터(자료) : 컴퓨터에 입력되는 기초 자료, 가공되지 않은 상태의 문자나 수치 • 처리 : 유효한 정보로 만들기 위해 컴퓨터가 수행하는 일련의 작업 • 정보 : 입력된 자료가 컴퓨터의 처리과정을 통해 출력되면서 가치 있고 유효한 것 • 즉, 컴퓨터가 하는 일은 정보처리임
정보처리 • 자료의 표현 단위 데이터베이스 파일 레코드 필드 워드 바이트 니블 비트 연관된 파일들을 모아 계층적 구조를 갖는 자료의 단위 레코드들의 집합, 프로그램 구성 기본단위, 정보저장단위 필드들의 집합, 자료처리의 기본단위, 논리/물리 레코드 파일 구성의 최소 단위, 여러 개의 워드가 모여 구성 4byte, 명령처리 기본단위, Half-Word=2byte, Full-word=4byte, Double-Word=8byte 8bit, 문자를 표현하는 최소 단위, 1byte=8bit 256가지 정보표현 1개의 니블은 4bit로 구성 1bit, 정보를 표현하는 최소 단위, 0과 1로 구성
정보처리 • 정보처리 시스템의 분류 • 비집중 처리 시스템 • 초기의 시스템 형태로 각 지점에서 독립적으로 처리하는 시스템 방식 • 집중처리 시스템 • 네트워크 기술 발달, 각 지점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중앙 컴퓨터와 연결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처리 • 처리 결과를 중앙컴퓨터에 모아서 관리 • 중앙집중으로 과부하 발생, 유지 비용 과다, 데이터 증가에 따른 시스템 용량 부족 • 분산 처리 시스템 • 집중처리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 • 데이터를 지역적으로 분산 처리, 클라이언트/서버(Client/Server )System • 유연성, 확장성, 신뢰성 우수 • 컴퓨터 성능향상 및 소형화
정보처리 • 정보처리 시스템의 분류(계속) • 일괄처리 시스템 • 일정기간 일정량 만큼 자료를 모은 후에 한번에 일괄처리 • 인구조사나 국세조사에 사용 • 일괄처리 시스템의 효시 -> 천공카드 시스템 • 컴퓨터 시스템의 효율은 높아지지만 처리 결과를 즉시 받아볼 수 없음 • 실시간 처리(Real Time Processing) • 데이터가 발생할 때마다 컴퓨터로 처리하여 그 결과를 즉시 나타내도록 하는 방식 • 예를 들어 은행의 On-line 예금 • 시분할 시스템 (Time-Sharing System) • CPU의 처리 시간을 분할 • 다수의 단말기에서 요청하는 작업을 동시처리 • CPU의 처리 속도가 빨라짐으로써 가능 • 다중처리 시스템 : 두 개 이상의 CPU를 가지고 동시에 여러 작업을 처리하는 것
정보처리 • 정보처리 시스템의 분류(정리) • 데이터 전송 방식에 따른 분류 • 온라인 : 데이터가 발생한 단말기와 데이터를 처리할 컴퓨터가 통신회선을 통해 직접 연결된 상태, 예) 은행업무 및 좌석예약 등 • 오프라인 : 단말기가 중앙 처리장치에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고 사람이나 저장매체 등이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식 • 데이터 처리 방식에 따른 분류 • 일괄 처리 • 실시간 처리 • 중앙 컴퓨터의 활용에 따른 분류 • 비집중 처리 시스템 • 집중 처리 시스템 • 분산 처리 시스템
컴퓨터 관련 질병 • VDT 증후군 • 모니터와 키보드 사용으로 전자파에 장시간 노출되어 얻게 되는 질병 • 컴퓨터 이용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전문직 종사자들에게 주로 발병하는 일종의 직업병 • 시력장애, 임신/출산 장애, 두통, 스트레스 등이 포함 • CVS (Computer Vision Syndrome : 컴퓨터시각증후군) • 컴퓨터 모니터나 VDT에 장시간 노출됨으로써 안과 계통에 생기는 질환을 의미 • 눈이 건조하거나 흐릿하게 보이거나 초점을 맞출 수 없는 경우
문제 • 최초의 전자계산기 ENIAC에서 사용된 프로그램 방식은? • 프로그램 내장방식 • 어셈블리어 방식 • 외부프로그램 방식 • 고급언어 방식 • 다음 중 최초의 상업용 전자계산기는 어느 것인가? • UNIVAC-I • IBM/370 • EDVAC • ENIVAC • 컴퓨터의 세대별 특징이 잘못 연결된 것은? • 1세대 - 진공관 ,하드웨어 중심 • 2세대 – 트랜지스터(TR), 소프트웨어중심 • 3세대 – 집적회로(IC), 시분할처리(TSS)실현 • 4세대 – 고밀도 집적회로(LSI), 다중프로그래밍 도입 • 다음 중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 범용 컴퓨터는 아날로그 신호를 취급하기 때문에 정밀도가 제한적이다. • 아날로그 신호는 시간에 따라 크기가 연속적으로 변하는 정보를 말한다. • 디지털 신호는 시간에 따라 이산적으로 변하는 정보를 말한다. • 아날로그 신호는 연속된 곡선이나 직선 그래프로 표현할 수 있다.
문제 • 다음 설명 중 올바르지 않은 것은 어느 것인가? • 컴퓨터의 정보처리는 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중앙처리장치를 사용하여 처리하고, 그 결과를 출력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컴퓨터를 이용한 과학 기술적 계산 응용은 주로 과학이나 공학에서 많이 쓰이는 복잡한 함수의 계산에 이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 컴퓨터를 이용한 사무 자동화 응용은 수치적 계산 능력의 이용보다도 컴퓨터의 문자 처리 능력과 대단히 많은 양의 정보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 컴퓨터는 성능에 따라 아날로그 컴퓨터, 디지털 컴퓨터, 하이브리드 컴퓨터로 분류할 수 있다. • 처리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른 컴퓨터의 분류가 아닌 것은? • 하이브리드 컴퓨터 • 디지털 컴퓨터 • 슈퍼 컴퓨터 • 아날로그 컴퓨터 • 자료 구성 단위를 논리적 단위 부분으로 올바르게 묶은 것은? • 비트, 바이트, 워드, 필드 • 바이트, 워드, 필드, 레코드 • 워드, 필드, 레코드, 파일 • 필드, 레코드, 파일, 데이터베이스
문제 • 다음은 자료의 표현 단위이다. 작은 것부터 큰 순서로 표시된 것은? • 바이트 –워드 –필드 –레코드 • 바이트 –필드 –레코드 –워드 • 바이트 –워드 –레코드 –필드 • 워드 –바이트 –필드 - 레코드 • 다음 중 문자를 표현하는 코드 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BCD 코드 : 64가지 문자를 표현할 수 있으나 영문 소문자는 표현 불가능하다. • Unicode : 세계 각국의 언어를 3바이트 체계로 통일한 국제 표준 코드이다. • ASCII 코드 : 128가지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으며, 주로 데이터 통신용이나 PC에서 많이 사용된다. • EBCDIC 코드 : BCD 코드를 확장한 코드 체계로 256가지 문자를 표현할 수 있다. • 십진수 33.25를 이진수로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 100001.01 • 100010.1 • 100101.01 • 11001.1 • 여러 대의 컴퓨터들에 의해 작업들을 나누어 처리하여 그 내용이나 결과를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호 교환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은 무엇인가? • 오프라인 시스템 ② 일괄 처리 시스템 ③ 집중 처리 시스템 ④ 분산 처리 시스템
문제 • 컴퓨터는 취급하는 데이터의 형태에 따라 아날로그 컴퓨터와 디지털 컴퓨터로 분류할 수 있다. 다음 중 디지털 컴퓨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데이터가 각 자리마다 0혹은 1의 비트로 표현된 이산적인 데이터를 처리한다. • 데이터 처리를 위한 명령어들로 구성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된다. • 온도, 무게 등과 같이 연속적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된다. • 산술 및 논리 연산을 처리하는 회로에 기반을 둔 범용 컴퓨터로 이용한다. • 다음 중 컴퓨터를 분류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컴퓨터의 모양에 따른 분류 • 처리하는 데이터의 형태에 의한 분류 • 사용 목적에 따른 분류 • 컴퓨터 규모에 따른 분류 • 다음 중 프로그램 내장형 컴퓨터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 폰 노이만(Von Neumann)이 제안하였다. • 프로그램의일부를 반복 사용하는 서브루틴이나 루프의 구현이 비경제적이다. • 프로그램 실행시에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주기억장치에 기억시켜 사용한다. • 오늘날 사용하는 대부분의 컴퓨터는 프로그램 내장형 컴퓨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