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0 likes | 734 Views
마케팅 ( 부품의 모듈화 ). 담당교수 : 김기찬 교수님 제출일 :2001.05.29 조원 : 경영 2 김형원 행정 2 안범수 영문 2 팽미경 경영 3 문명길 경영 4 김기로. 개 요. 1. 서론 : 문제의 제기 및 연구의 목적 2. 본론 : 2.1. 기존연구 , 주장들 2.2 연구의 가설 및 연구모형 2.3. 실증적 연구 1) 자료수집방법 2) 수집자료의 특성
E N D
마케팅(부품의 모듈화) 담당교수: 김기찬 교수님 제출일:2001.05.29 조원: 경영2 김형원 행정2 안범수 영문2 팽미경 경영3 문명길 경영4 김기로
개 요 1. 서론: 문제의 제기 및 연구의 목적 2. 본론: 2.1. 기존연구,주장들 2.2 연구의 가설 및 연구모형 2.3. 실증적 연구 1) 자료수집방법 2) 수집자료의 특성 3) 자료의 해석 및 가설검증결과 4) 실증연구의 전략적 시사점 3.결론 4.참고문헌
서 론(문제의 제기 및 연구목적) 비용절감 측면 고려 수요보다 공급이 많은 과잉생산 부품업체의 영세성 완성업체의 부담 90 년대 초 전세계 자동차 업계는 생존을 위한 경쟁력 강화와 경기 침체에 대비하여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실시 비용절감과 품질개선이라는 두 가지 경쟁력 강화 요인을 얻고자 모듈화 도입을 적극 검토하기 시작 자동차 산업 발전방향 => 완성차 & 부품 일반적으로 자동차라는 완성형태를 중심으로 모든 관점이 집중 내부를 구성하는 부품이라는 관점을 간과하려는 경향 부품업체와 협력 부품의 모듈화
기존 연구 및 주장(모듈화의 필요성) 비용절감 - 기존의 원가절감 방식 한계상황 - 조립 외주화로 인건비 절감 필요 - 부품의 통합, 기능의 공용화로 원가절감 추진 - 개발기간 단축을 통한 간접비용 축소 제품개발기간 단축 - OEM조직의 대형화 - 조직내 업무의 세분화로 속도감 결여 - 대담한 개념의 전환 및 제안 곤란 - 라이프사이클 및 소비자 욕구의 변화 기간 단축 모듈화추진 역할의 과감한 이관 연구개발 투자의 확대 -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 및 인력의 집중화 부각 - 환경. 안전. 정보통신 분야등 개발투자 집중화 부각 - 첨단신기술 집중투자 필요 신규튜자 및 리스크 절감 필요 시설투자의 절감 - 개발비용 부담의 절감 - 투자 위험성 축소
기존 연구 및 주장(모듈화 추진단계) 단품공급 단순조립 업체 관리 설계참여 구매권 업체 선정권 모듈단위 발주 조립업무 단계 설계 및 업체관리 단계 통합 MODULE 단계 개요 단품 공급업체로부터 부품을 공급 받아 단순 조립후 공급 (부품공급은 OEM에서 담당) 효과 관리 COST 및 고정비용 축소 자재보관창고 축소 품질 보증업무 이관 개요 단품 업체를 관리하며, 설계에 참여하여 공동개발하며, 물류 등의 책임을 담당 효과 설계 기간의 단축 물류관리비용 절감 목표원가관리로 수익성 증대 품질향상 개요 MODULE단위 수주를 통한설계, 개발, 시험, 제조 및 품질 등의 제반 사항을 책 임지고 수행 효과 최종조립 인원 30~50%감소 R&D, 생산, 물류등의 비용절감 작업범위 축소 및 자동화로 품질 향상 공장의 시설 투자 및 고정비용의 절감 구미지역의 MODULE화 완성은 2010년 정도로 예상 원가 절감되고, 생산성 및 품질이 개선된 해외 MAKER와 경쟁에 대응할 준비 필요 (MODULE화 적극 추진, 장기거래 발주방식 추진) 부품업체의 규모/기술 전문화/특화육성과 MODULE화 전담업체 육성 시급
기존 연구 및 주장(모듈화 적용효과) 모듈화 적용 효과 향후 5년~10년후, 모듈화로 인한 자동차산업계 효과 전망(북미) 내 용 추세 효 과 조립효율 향상 증가 부품업체 R&D 비용 평균 R&D 비율은 매출의 3~6% 예상 모듈화 개발 합리화 원가절감 부품업체 수 감소 25~40% 감소 예상 감소 조립공장 작업자 수 품질개선 30~60% 감소 예상 원 가 감소 25% 절감 예상 INTERNET 구매에 따른 소비자 요구 다양화 대응을 위해서는 모듈화 필수(생산자 중심 시장 -> 소비자 중심 시장) 완성차메이커는 모듈화로 개발기간 단축, 부품수 및 조립공정 감소, 물류 원가절감 등의 장점을 누릴 수 있음. 모듈화 문제점 모듈 자체의 블랙박스化, 부품업체에 대한 통제 상실 (부품업체의 영향력 증가), 노하우 외부 유출, 품질보증문제(최종적 책임소재 불분명) 대형/전문 모듈 전담 업체 필요 부품업체의 모듈 공급능력 및 역량 의문 (오히려 품질저하 또는 비용증가할 수도 있음)
기존 연구 및 주장(자동차 부품산업 현황) 자동차 산업의 단기간 고속 성장 -기술 및 설비 해외 의존 다품종 소량생산의 부품중심 발전 -국내 부품산업의 고비용 저효율 부품 업체의 영세성 독자기술 개발력 부재 가격 구조의 악화 IMF 사태 발생 -기업재무구조 부실화 완성자 메이커 중심의 발전 -부품산업의 기술적 기반 부재 완성차 품질 및 가격경쟁력 약화
연구의 가설 및 연구모형(모듈화 순환과정) 품질개선 모 듈 화 비 용 절 감 조립공정단축 부품수 감소 가설: 모듈화를 통한 비용절감 효과Customization을 이룩할 수 있다. 부품경쟁력강화 R&D 지속적경쟁우위 호환성
실증적 연구(자료 수집 과정) • 1차 자료 • 면접법을 통해 습득 • ⇒현대 모비스 방문 2001.05.15 • Auto Tech 정수경 차장님 • 김현종 과장님과 면담실시 2차 자료 참고 문헌 : 클락 스피드 모터스 라인 2~5월 현대 모비스 자료 협조 논 문: web.lexis-nexis.com www.adconsultants.co.kr 자동차 부품 모듈화의 동향과 대책. By 오종범. 대우차 실증적 연구(수집 자료의 특성) 자료는 아직 정확히 정의 되어진 것이 없는 상태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 지고 있는 상황이다.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면접법을 통해서 실시 하였다.
자료의 해석(모듈화 순환과정) 품질개선 정보유출 모 듈 화 비 용 절 감 조립공정단축 부품수 감소 통제의 어려움 부품경쟁력강화 부가가치저하 R&D 지속적경쟁우위 대형전문 모둘업체 호환성
품질개선 IT - 부품 설계, 정보 공유와 개발 부품 모듈의 브랜드화 불량률 감소 품질 개선 한 부분의 집중화 된 연구 (전문화) 조립 기술 향상 JIS(just in sequence)
조립 공정 감소 직 서열 방식 부품의 set화 조립 공정 감소 부품의 재고 감소 IT를 이용한 부품 설계 개발 단시간의 정보 공유
부품 수 감소 부품의 단순화 부품 수감소 부품의 공용화
R & D 기술개발 경쟁력 강화 R & D 모듈화 확대 IT의 확산 이익 창출
부품 경쟁력 강화 부품 기술 향상 Know -How 부품 경쟁력 강화 품질 개선 개발기간 단축
호 환 성 부품의 브랜드화 부품의 set화 호환성 부품의 튜닝화 Inside
모듈화 장점 원 가 절 감 품 질 향 상 -모듈 단위 동시 설계 -단품에서 모듈단위 품질보증 -부품 및 조립공수 축소 -부품 공용화 및 단순화 -구성부품 중량 및 수량 축소 -생산 라인 단순화로 노무비 및 경비 절감 품 질 비 용 운 반 일 정 단 축 기 타 효 과 -플랫폼 공용화로 모델 다양화 -JIT 공급으로 재고 최소화 물류 단순화 -SYSTEM INTEGRATOR 육성 - 부품 설계의 개발을 동시 수행 -설계업무 이관으로 조직 슬림화 -개발기간 단축으로 소비자 욕구 대응 국제 경쟁력 강화
모듈화의 단점 IT를 통한 정보공유 정보유출 정보유출 불안정한 IT 통제의 어려움 블랙박스 화 통제의 어려움 부가가치저하 비 용 협력관계구축 대형전문 모듈업체
모듈화의 단점 역할 이전 정보유출 부가가치 저하 부품업체의 역량 부실 통제의 어려움 부품업체 기술육성 재정능력 부가가치저하 대형/전문모듈업체 생산 및 설계 system 이해능력 대형전문 모듈업체 협력업체 관리능력
전략적 시사점(부품업체의 과제와 방안) 단품 생산, 단순조립 기술에서 핵심부품, 시스템 기술의 도입 유도 -시스템 모듈 기술 도입 -북미. 유럽 등의 영업망 확대 -우호적 기술이전 가능 업체와의전 략 적 제 휴 무분별한 도입에 따른 해외 자본 종속에서 외자도입의 장점(기술이전.해외영업권) 극대화 경영권 미확보로 인한 단순 생산 기지화에서 경영권 확보로 국내기업화 유도 국내소형업체와 해외 대형업체간의 불평등 제휴관계 발생 관리 국내 소규모 동종 업체간 흡수 통합 필요
전략적 시사점 완성차 업체: 설계와 개발의 일부 모듈화 생산 라인의 모듈체제로 전환부품업체: 단품의 가공, 생산기술 육성 재료기술, 품질관리 기술 모듈화는 정보의 공유에 따른 보안 유지가 필수 이다.따라서, 완성업체와 부품업체 간의 SCM이 이루어 져 야 하고, Supply Chain을 통한 상호 유대관계와 고객 의 특성에 맞는 모듈화를 실시함으로써 비용절감과 고객화 효과를 이룩할 수 있다.
한부분의 집중화된 연구 조립기술 향상 IT부품설계, 정보공유와 개발 불량율 감소 JIS(just in sequence) IT를 이용한 부품설계개발 직서열 방식 부품모듈의 브랜드 부품의 set 부품의 재고감소 품질개선 비 용 절 감 모 듈 화 조립공정단축 부품수 감소 부품기술향상 Know-how 비용감소, Customazition 개발기간단축 부품 수 감소 1 부품의 공용화 품질개선 기술개발 부품경쟁력강화 IT 확산 R&D 결론 지속적경쟁우위 경쟁력 강화 호환성 모듈화 확대 이익창출 부품의 튜닝화 부품의 브랜드화 부품의 SET화 INSIDE
참고 문헌 참고 문헌 : 클락 스피드 찰스 파인 교수. 민미디어. 2000.01.15모터스 라인 2001.02월~05월 현대 모비스 자료 협조 .2001.05.15 논 문 : web.lexis-nexis.com www.adconsultants.co.kr 자동차 부품 모듈화의 동향과 대책. By 오종범. 대우차 통계청 자료 참고
주요 모듈제품의 구성 냉.온방 시스템 (에어컨. 송풍장치) 조향시스템 (기어 박스 등) + + 안전 시스템 (에어백) 현가 시스템 (쇽업소버 등) + + 오디오 시스템 제어 시스템 (디스크. 캘리퍼) 섀시 모듈 + 운전석 모듈 + 전자 시스템 (제어장치) 파워트레인 시스템 (CV조인트) + + 인스트루먼트 패널 기타 구성품 + 기타 구성품 (각종 관. 끈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