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0 likes | 729 Views
제 14 장. 경쟁시장에서의 기업. 완전경쟁시장 ( 제 4 장 참조 ). 다음과 같은 시장 : - 구매자와 판매자가 무수히 많을 때 - 제공되는 재화가 기능상 동일할 때 . - 시장 진입과 퇴출이 자유로울 때. 완전경쟁시장 ( 제 4 장 참조 ). 시장에서의 결과 : - 어느 한 사람 또는 기업에 의해 좌지우지되지 않는다 . - 가격이 아주 좁은 범위에서 형성된다 . 구매자와 판매자는 가격수용자일 따름. 완전경쟁 - 가격수용자.
E N D
제 14장 경쟁시장에서의 기업
완전경쟁시장 (제 4장 참조) • 다음과 같은 시장: -구매자와 판매자가 무수히 많을 때 -제공되는 재화가 기능상 동일할 때. -시장 진입과 퇴출이 자유로울 때.
완전경쟁시장 (제 4장 참조) • 시장에서의 결과 : -어느 한 사람 또는 기업에 의해 좌지우지되지 않는다. -가격이 아주 좁은 범위에서 형성된다. • 구매자와 판매자는 가격수용자일 따름.
완전경쟁 - 가격수용자 • 개별기업은 시장의 총산출량 중 아주 작은 부분을 생산할 뿐이어서 그 기업이 판매하는 생산물의 가격에 아무런 영향을 미칠 수 없다. • 그 기업은 시장에서 결정된 가격을 받아들이기만 할 뿐인 가격수용자 이다.
경쟁(시장에 있는)기업의 수입 • 기업의 총수입은 시장판매가격 곱하기 판매량 이다. TR = (P x Q) • 총수입은산출량에 비례한다(표 14-1). • 그림으로 보면: 한 단위 씩 판매가 일정한 가격으로 될 때 총수입은 일정한 비율로 증가한다.
완전경쟁시장에 있는 기업의 총수입 총수입 $25 $20 $15 $10 $ 5 수량 1 2 3 4 5
완전경쟁시장에 있는 기업의 총수입 총수입 $25 $20 시장가격이 $5일 때, 총수입은 ($5x1) = $5! $15 $10 $ 5 수량 1 2 3 4 5
다른 비용 계산방법 • 평균수입: • 한 단위 판매에 대한 기업의 수입을 표시한다. AR = TR ?Q • 완전경쟁시장에서는 평균수입은 재화의 가격과 같다.
다른 비용 계산방법 • 한계수입: • 한 단위 산출량을 늘릴 때 기업의 수입증가를 표시한다. MR = TR ? Q • 완전경쟁시장에서는 한계수입은 재화의 가격과 같다. • 그림으로 보면: 한 단위 씩 판매가 늘어날 때 총수입이 같은 금액, $5씩 증가한다!
완전경쟁시장에 있는 기업의 총수입 $ 총수입 $25 $20 $15 $10 한계수입 $ 5 수량 1 2 3 4 5
돌발 퀴즈! • 경쟁기업이 판매량을 두 배로 늘릴 때, 그 산출량과 총수입이 어떻게 될까?
이윤극대화 • 경쟁기업의 목표는 이윤극대화. Profit = TR -TC • 그림으로: 제 13장과 14장의 그림을 결합하면
이윤극대화 $ 총비용 $25 $20 $15 $10 $ 5 수량 1 2 3 4 5
이윤극대화 $ 총수입 $25 $20 총비용 $15 $10 $ 5 수량 1 2 3 4 5
이윤극대화 $ 총수입 $25 $20 총비용 $15 $10 $ 5 수량 1 2 3 4 5
이윤극대화 $ 총비용 총수입 $25 $20 Q = 3단위에서 이윤극대화! $15 $10 $ 5 수량 1 2 3 4 5
이윤극대화 $ 총비용 총수입 $25 $20 } Q = 3단위에서 이윤극대화! $15 $10 $ 5 수량 1 2 3 4 5
이윤극대화 • 수입과 비용의 차이(거리)가 최대로 되는 수량에서 이윤이 극대화된다.
경쟁(시장)기업의 비용곡선 • 제 13장의 평균비용곡선을 다시 보면 : • 한계비용곡선(MC)은 우상향한다. • 평균총비용곡선(ATC)은 U자형이다. • 한계비용곡선은 ATC의 최저점에서 평균총비용곡선을 통과한다. • 그림으로. . . (그림 14.1)
기업의 비용곡선 MC ATC AVC 비용 ($) 수량
경쟁기업의 이윤극대화 • 비용곡선 위에 기업의 평균수입(AR),한계수입 (MR) 과 같은 시장가격 선을 그어준다. • 이윤을 극대화하는 산출 수준을 확인한다.
경쟁기업의 이윤극대화 가격 MC ATC P=MR=AR AVC 수량
경쟁기업의 이윤극대화 가격 MC ATC P=MR=AR AVC 수량
경쟁기업의 이윤극대화 가격 MC ATC P=MR=AR AVC 수량 QMax
경쟁기업의 이윤극대화 가격 MC ATC P=MR=AR AVC 수량 QMax
경쟁기업의 이윤극대화 MC 가격 ATC P=MR=AR AVC 극대이윤! 수량 QMax
경쟁기업의 이윤극대화 • MR = MC일 때 이윤이 극대화된다 • A 경쟁(시장)기업은 이윤이 극대화되는 생산량 QMax에 도달할 때까지 생산량을 조절한다.
경쟁기업의 조업중단 결정 • 단기에서 • 기업이 가격수용자이기 때문에 형성되는 산출량의 수준. • 판매가격이 평균가변비용의 최저점 아래 있으면, 기업은 조업을 중단해야 한다!
조업 중단! 비용이 시장가격보다 더 클 때 MC 가격 ATC AVC P=MR=AR 수량 Q 생산 중단!
조업 중단! 비용이 시장가격보다 더 클 때 MC 가격 ATC AVC Q생산 중단! 손실! P=MR=AR 수량
경쟁(시장)기업의 조업중단 결정 • 기업이 가격수용자이기 때문에 형성되는 산출량 수준. • 판매가격이 평균총비용의 아래에 있지만 평균가변비용의 최저점 위에 있으면, 기업은 단기적으로 MR = MC되는 수량에서 생산하여야 한다. 그러면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긴 하지만, 그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단기에서의 생산MR = MC일 때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MC 가격 ATC AVC P=MR=AR 수량 Q단기
경쟁기업의 산출량 결정 • 기업이 가격수용자이기 때문에 형성되는 산출량 수준. • 판매가격이 평균총비용의 최저점 위에 있으면 기업은 MR = MC되는 수량을 생산하여야 한다. 그러면 경제학적 이윤이 발생한다
경쟁기업의 산출량 결정 MC 가격 ATC P=MR=AR AVC 수량 QMax
경쟁기업의 공급곡선 • 단기 공급: • 평균가변비용 위에 있는 한계비용곡선 부분. • 장기 공급 : • 평균총비용곡선의 최저점 위에 있는 한계비용곡선.
경쟁기업의 공급곡선 MC 가격 ATC P=MR=AR AVC P1 수량 Q1
경쟁기업의 공급곡선 MC 가격 ATC P=MR=AR AVC P2 P1 수량 Q1 Q2
경쟁기업의 공급곡선 MC 가격 ATC P3 P=MR=AR AVC P2 P1 수량 Q1 Q2 Q3
경쟁기업의 공급곡선 가격 P3 } P2 기업의 단기공급곡선 P1 수량 Q1 Q2 Q3
기업의 이윤 • 이윤 은 총수입(TR)에서 총비용(TC)을 뺀 것과 같다 • 이윤 = TR - TC • 이윤 = ([TR ?Q] - [TC ?Q]) x Q • 이윤 = (P - ATC) x Q
경쟁기업의 생산,조업중단 혹은 퇴출 결정 • 단기에서, 재화의 가격이 평균가변비용보다 낮으면 기업은 일시적으로 조업을 중단하게 된다. • 기업이 고정비용과 가변비용 모두를 회수할 수 있는 장기에서는, 가격이 평균총비용보다 낮을 때 퇴출을 결정하게 된다.
돌발 퀴즈! • 이윤극대화를 추구하는 기업이 당면하는 가격은 한계비용과 비교하면 어떤가? • 언제 조업중단을 결정하게 되나?
시장공급곡선 • 가격이 주어졌을 때, 각 기업은 가격이 한계비용과 같도록 산출량을 공급한다. • 시장에 공급되는 산출량은 개별기업들의 공급량의 합과 같다.
시장공급곡선 • 기업들은 이윤이 0으로 될 때까지 시장에 진입 혹은 퇴출하게 된다. 장기에서 가격은 평균총비용의 최저점과 같다(그림 14-7). • 기업들이 단기보다 장기에서 더 쉽게 시장에 진입/퇴출할 수 있으므로, 장기공급곡선은 단기공급곡선보다 더 탄력적이다.
요약/결론 • 기업이 경쟁시장에 있고 이윤극대화를 추구한다면, 재화의 가격은 그 재화를 만드는 한계비용과 같다. • 기업이 시장에 자유롭게 진입하고 퇴출할 수 있으면, 가격은 또한 평균총비용의 가능한 최저수준과도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