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 likes | 453 Views
주기억 장치 /Memory. 메모리의 종류. 읽기만 가능한 ROM 과 읽기 쓰기가 가능한 RAM 으로 구별. ROM/RAM 특징. ■ ROM(Read Only Memory) 비 휘발성 메모리로 전원이 차단 되어도 데이터를 상실하지 않음 . 사용하는 용도가 제한적 . 주로 기본 적인 시스템 프로그램이 들어 있음 . ( 컴퓨터의 BIOS, 휴대폰 , MP3, 가전제품 등 ). PROM. 1. ROM 의 종류 1) Mask ROM 초기 제조 시 데이터를 저장 . 재사용 불가 .
E N D
메모리의 종류 • 읽기만 가능한 ROM과 읽기 쓰기가 가능한 RAM으로 구별. ROM/RAM 특징 • ■ROM(Read Only Memory) • 비 휘발성 메모리로 전원이 차단 되어도 데이터를 상실하지 않음. • 사용하는 용도가 제한적. • 주로 기본 적인 시스템 프로그램이 들어 있음. • (컴퓨터의 BIOS, 휴대폰, MP3, 가전제품 등)
PROM 1. ROM의 종류 1) Mask ROM 초기 제조 시 데이터를 저장. 재사용 불가. 2)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외선을 쏘아 데이터 삭제 및 기록 가능. 3) EPROM(Erasable PROM) 가장 널리 사용. 여러 번 기록 및 삭제 가능. 4) EEPROM(Electirically Erasable PROM) 전기적인 신호를 이용한 기록 및 삭제.
■ RAM(Read Write Memory) • 읽기와 쓰기 가능. • 컴퓨터의 메인 메모리(RAM)에 적용.(주기억장치) • 휘발성 메모리로 컴퓨터의 전원이 OFF되면 저장된 정보가 사라짐. •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한 재충전이 필요.) ▲ 메모리의 기능 • CPU에서 작업한 내용을 임시적으로 저장. • 용량이 크고 빠를 수록 좋다. • PC에 사용되는 메모리는 흔히 ‘RAM(램)’이라고 함.
그래픽 카드 ns HDD CPU DATA 기타 Memory ▲ 램의 사용과정 • CPU가 처리해야 할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소. (주기억 장치) • CPU가 좀더 빠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HDD에서 데이터를 미리 옮겨 • 놓는다. (모든 처리할 데이터와 처리한 데이터는 램을 거쳐서 주변 장치에 전송) • 램의 속도는 나노세컨드(ns) 단위로 표현 = 10억분의 1초 • (속도는 숫자가 낮을 수록 빠르다.)
RAS 행(Row) Cell(셀) 열(Column) CAS ■ RAM의 종류 • 동작 방식에 따라 DRAM과 SRAM으로 나뉜다. • 1. DRAM(Dynamic RAM) • 컴퓨터의 1과 0으로 표현 되는 디지털 신호를 콘덴서라는 반도체에 저장하는 원 리 (전기가 흐르는 상태와 흐르지 않는 상태) • 현 상태를 유지(저장)하는 시간이 매우 짧아 리플래시 작업을 계속 해야 함. • (콘덴서가 저장할 수 있는 시간 1/500~1/10초 정도) • 무수히 많은 콘덴서의 메모리 셀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 ① CPU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CAS, RAS 신호를 램으로 보내 필요한 정보를 읽어 온다. (각 셀에 CPU에 위치를 알려주는 어 드레스 라인과, 데이터 라인으로 연결 됨.) ② 가로 좌표(RAS)를 먼저 지정한 다음 세로 좌표(CAS)를 지정해 어떤 셀에 있는 데이터 를 읽어올지 알려준다. ③ 신호가 들어오면 1, 들어 오지 않으면 0
2. SRAM(Static RAM) S는 Static(정적) : 전압이 컴퓨터의 전원을 끌 때까지 그대로 유지 된다는 말.
30핀 SIMM 72핀 SIMM ■ DRAM의 종류 1. FPM DRAM(Fast Page Mode DRAM) 286에서 초기 펜티엄 까지 사용. 2. EDO DRAM(Enhanced Data Output RAM) •펜티엄 이전에 사용된 메모리. •장착 방식 : SIMM(Single In Line Memory Module) 30핀 SIMM 72핀 SIMM
클럭 사이클 클럭 • 3. SDRAM(Synchronous DRAM) • 펜티엄 후반부터 적용된 메모리. • 마이크로프로세서(CPU)와 동기화 된 DRAM. • 프로세서와 메모리간의 동기화로 수행 할 수 있는 명령어 개수 증가. • DIMM 타입의 64Bit 168핀으로 구성. SDRAM
DIMM(Dual In Line Memory Module) 메모리 전송속도 = 클럭 X 버스폭(Byte)
클럭 사이클 클럭 SDRAM DDR SDRAM • 3. DDR SDRAM(Double Data Rate SDRAM) • SDRAM에 비해 두 배의 데이터를 주고 받는 메모리. • (1클럭당 두 번의 데이터 전송) • 메모리 클럭 • PC2100(266MHz), PC2300(333MHz), PC3200(400MHz) • DIMM타입의 184핀 64Bit • Dual Channel 지원.
400MHz 800MHz 칩 400MHz 듀얼 채널 • ※ Dual Channel • 펜티엄4 중반에 나온 방식. • 메모리 대역폭을 2배로 증가. • 메인보드 칩셋에서 지원해야 한다. • 2개의 램을 한 조로 이루어 장착.
4. RDRAM(Rambus Dynamic RAM) • 펜티엄 4 전용 메모리. • 기본 적으로 듀얼 채널을 지원(2개 램이 한 조) • RIMM타입의 184핀 16Bit • 반드시 한 쌍을 구입 장착(두개가 한쌍)
5. DDR II 메모리 DDR II 램의 사양
기타 메모리 • 고급형 메모리 • ECC 메모리와 레지스터드 메모리 • 1. ECC(Error Correcting Code) SDRAM • 가운데가 칩으로 채워져 있다. • 양면 메모리라면 18개의 메모리 칩이 장착된다. • 2. 레지스터드(Registered) SDRAM • 서버용으로 개발된 메모리 • 메모리 칩 외에 아래쪽에 몇 가지 부가적인 칩(=레지스터)이 달려 있다. • 레지스터에서 메모리를 제어하기 때문에 고용량의 메모리를 만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