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4

기업이론과 기업 진화 - 신제도학파의 패러다임 -

기업이론과 기업 진화 - 신제도학파의 패러다임 -. 2002. 1 좌 승 희 한 국 경 제 연 구 원 장. 경제발전 전략 메트릭스. *) 지난 30 여년의 패러다임 / 부작용 : 정경유착 , 반재벌 정서 , 승복하지 않는 패자 양산 ** ) 정부의 역할은 경쟁에서의 패자를 위한 안전망을 제공하는 것임. Fortune 500 대 기업의 국별 분포. < 기업전체 > 1 인당 GDP 순위와 Fortune 500 대기업 보유순위 (Correlation=0.61482)

akira
Download Presentation

기업이론과 기업 진화 - 신제도학파의 패러다임 -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기업이론과 기업진화-신제도학파의 패러다임- 2002. 1 좌 승 희 한 국 경 제 연 구 원 장

  2. 경제발전 전략 메트릭스 *) 지난 30여년의 패러다임/부작용: 정경유착, 반재벌 정서, 승복하지 않는 패자 양산 **) 정부의 역할은 경쟁에서의 패자를 위한 안전망을 제공하는 것임.

  3. Fortune 500대 기업의 국별 분포

  4. <기업전체> • 1인당 GDP순위와 Fortune 500대기업 보유순위(Correlation=0.61482) PerGDP순위 = 6.55064 + 0.56340 Fortune500순위 (2.27197) (0.14454) (2.88)** (3.90)** R2= 0.3780 n=27 <제조업> • 1인당 GDP순위와 Fortune 500대기업 보유순위(Correlation=0.58023) PerGDP순위 = 6.15897 + 0.56911 Fortune500순위 (2.54069) (0.15977) (2.42)* (3.56)* R2= 0.3367 n=27 <금융업> • 1인당 GDP순위와 Fortune 500대기업 보유순위(Correlation=0.47151) PerGDP순위 = 8.72893 + 0.40779 Fortune500순위 (2.40308) (0.15254) (3.63)** (2.67)* R2= 0.2223 n=27

  5. 신제도학파 기업이론 전통적 기업이론 Coase (1937) Smith (1776) BPW (1982) Transaction Costs(TC) 이론: 신제도학파 기업이론 규모의 경제 (분업전문화의 기초) 범위의 경제 (다각화) 정보불완전성 강조 생산함수 기업이론 기업은 연쇄계약(Nexus of Contract) 관계 경제발전론 Alchian & Demsetz(1972) Williamson(1975,1985) Grossman&Hart(1986), etc Schumpeter (1942) Hayek (1968) D.North (1990) 경제발전론 기업지배구조이론 Y=f(K,L;T) 창조적 파괴 (기업가 역할 강조) 발견과정으로 서의 경쟁 (자생적 질서) 신제도학파 경제발전론 Agency Theory Jensen & Meckling(1976), etc K.L,T의 증가가 경제발전 (상호 Conflict) TC기업이론: 시장불완전성↑ →TC↑ →기업규모↑ 신제도학파 경제발전론: 제도불확실↑→TC↑→기업규모↓ 기업지배구조이론(Corporate Governance Theory)과 경제발전론의 통합 필요 기업이론과 경제발전론의 전개

  6. 경제학에서의 기업이란?(1) • 전통 경제학에서의 기업은 재화와 용역의 공급자로서 단순 생산공장에 불과⇒기업의내부조직 행태와 운용 메커니즘 설명 못함. • 거래비용 경제학은 불완전 정보에서 연유하는 거래비용에서 기업의 존재이유를 규명⇒기업을 각종 계약의 연쇄관계로 이해⇒국가간 기업행태의 차이 설명 못함.

  7. 경제학에서의 기업이란?(2)

  8. 시장과 기업의 차이 시사점: 1) 시장효율성↑ → 거래비용↓→ “기업”에 대한 수요↓ 2) 정부개입에 의한 시장운영의 명령체계화나 기업경영의 민주적 합의 및 수평적 관계화는 각각의 기능을 무력화할 가능성

  9. 진화론적 기업이론 • 기업은 자원의 관리조직이며 기업이론은 그 관리방식의 진화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기업이론은 국가간 기업행태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통해 국가간 경제발전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함.

  10. 개 인 조 직 ·집 단 제 도 (경기규칙: 문화, 가치관, 관행, 실정법, 실정법의 집행) 사회시스템의 구성 • 개인은 조직집단을 만들어 성공하려고 노력 • 개인과 조직집단은 자신들이 만들어 낸 제도의 제약속에서 생활. 개인과 조직 집단의 특성은 제도적 특성에서 나옴. • 제도중 문화, 가치관, 관행은 비공식적 제도, 실정법과 실정법의 집행여부는 공 식적 제도

  11. 이사회/주총 CEO 기업행태 기업행태를 결정하는 외생변수 문화, 가치, 관습, 관행 • 경기규칙 • (Rules of the game) • 거래비용은 기업에 • 의해 내부화 불가능 정 치 (법, 제도, 특히 재산권 제도) 정 부 (법 제도 집행, 각종 명령, 거시경제정책, 미시경제정책) 제품(생산물)시장 요소시장 • 경기의 운용 • (Play of the game) • 거래비용은 기업에 • 의해 내부화 가능 직접금융 (자본시장, 회사채 시장) 간접금융 (은행) CEO시장 노동시장 • 기업은 사회의 최종적 종속변수로서 사회의 모든 요구를 수용하고 만족시키는 • 기업만이 성공(생존) 가능

  12. <시장규율방식> 생산물 시장 소비자의 감시 경쟁기업간 견제 요소시장 기 업 은행대출 시장 (은행의 감시: 은행법 등) <내부규율방식> 주식시장 (M&A, 적대적 인수: 상법, 증권거래법 등) 외국인 직접투자 Holding Company 시장개방 CEO 구조조정 본부 기조실 노동시장 (노사관계 제도) 진입 자유화 경영인 시장 이사회 주 총 경쟁촉진 정책 효율적 퇴출제도 정부정책, 정치, 문화, 관행 기업지배구조 모형 • 기업은 소비자, 채권자, 주주, 동료 경영인, 노조 등으로부터의 견제속에서 • 경쟁력이 높아짐

  13. 문화, 금융제도와 기업행태

  14. 기업 부채구조, 자본구조는 금융제도의 산물인데, 기업구조 개선하여 금융건전성 높이겠다는 정책은 외생·내생변수의 구분을 못하는 사고임. 금융제도와 구조의 개선없이 기업의 부채·자본구조 개선은 어려운 과제임. • catch-up economy는 자본축적이 미흡한 상태에서 은행을 통한 저축동원과 기업투자 지원정책으로 경제발전→이에 따라 은행중심의 금융제도가 형성됨: 독일, 일본, 한국.

  15. 외생변수, 내생변수 그리고 정부역할 • 정부의 역할은 외생변수(경제환경여건)를 적절히 관리하는데 한정. 기업등 경제주체는 주어진 외생변수 조건하에서 내생변수를 결정

  16. 국민경제운영에 있어서의 외생변수와 내생변수 구분

  17. 규제정책에 대한 최근의 논란 배경 • 과거: 정부의 기업에 대한 지원과 보호속에 기업경영도 규제⇒기업의 규제 순응⇒성공 보장 • 최근: 정부의 자원관리 능력 한계 봉착⇒관치금융 어려워 부실기업 재생 못시킴⇒과거처럼 정부지침 따라도 성공 보장 안됨⇒따라서 기업경영에 대한 정부규제에 기업의 저항이 보다 강해지고 있음.

  18. 기업 경영컨설팅과 국가공공정책의 차이 • 기업경영⇒실패/성공은 병가지상사 • 국가정책⇒반드시 성공해야/다양성에 기초한 차별화가 기본 • 획일적 경영규제⇒자칫 실패하면 국가장래 타격⇒따라서 기 업들이 다양한 전략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되 실패하는 기업과 성공하는 기업을 엄격히 차별화하는 장치 마련⇒일부 기업이 실패하더라도 성공하는 기업들에 의해 국가경제 발전

  19. 기업경영과 국가정책의 혼돈 사례 • 200%부채비율 규제, 일률적인 출자총액한도 규제, 일률적인 전문화 유도, 일률적으로 기업경영의 방향을 규제하는 모든 정책 • OECD 기업지배구조 가이드라인(1999)

  20. 정부, 시장 그리고 기업

  21. 외 생 변 수 진입자유화, 퇴출제도, 시장개방, 소비자주권 강화, 외국인직접투자 환경개선, 경쟁촉진 정책/공정거래법 개정 내 생 변 수 결합(연결)재무제표 작성/회계법인의 책임강화, 의무공개매수제도 폐지, 적대적 M&A제도, 소액주주권 강화, 지배주주 책임강화, 대표소송제, 선정당사자 제도/집단소송제도 조직구조 지주회사(금지 및 허 용), 기조실(폐지), 구조조정본부 내부통제제도 사외이사제도 감사위원회 집중투표제 관치금융 해소, 건전감독 강화, 동일인(동일계열) 여 신한도, 대출심사 강화(상 호지급보증허용 여부 등), 금리차등화 투자 및 재무행태 빅딜정책, 전문화 (유도), 다각화 (규제), M&A여부 200% 부채비율(규제) 상호지급보증 (규제) 출자총액(규제) 내부거래(규제) 소유구조 소유경영분리 여부 상호출자(규제) 노사관계의 재정립 CEO시장 기업정책지도(地圖) • 기업의 내생변수에 대한 지나친 규제는 기업경영을 제약하고 경영환경 변화에 대응한 • 기업의 효과적인 대응을 어렵게 함. • 정부의 역할은 외생변수를 강화시키는 역할에 한정되어야 함. • 비유: 결혼의 성립과 이혼, 재산권의 소속여부에 대한 규칙은 정부가 정하되 가정생활의 내용에 대해서는 관여하지 말아야.

  22. 경제위기 이후의 경영투명성과 기업지배구조 정책

  23. 한국 금융제도와 기업진화의 장기비젼(1) • 1980년대 • 미국식 “주식시장/소유경영분리 기업경영방식” 보다 일본식 “은행중심” 경영이 우월하다는 주장이 우세 • 미국의 주식시장은 너무 단기투자 지향⇒기업의 장기투자 저해 • 1990~ • 미국의 구조조정 성공 후 미국식 금융기업경영이 global standard화 됨 • 일본의 경제는 주식시장 중심으로 전환 노력중이나 용이하지 않음

  24. 투자자 역할 제한적 겸업금융기관 개 인 저 축 자 상업은행 투자은행 증권, 보험 주식시장 예금자 투자자 주주 채권자 주주 주주 기 업 간접금융을 중시하는 경영형태 직접금융을 중시하는 경영형태  (Open-ended Policy) 한국 금융제도와 기업진화의 장기비젼(2)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