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5

인터넷과 정보화 사회

1. 인터넷과 정보화 사회. 학습목표 역사적 측면에서 정보화 사회의 의의를 살펴본다 . 정보화 사회의 특징을 알아본다 . 패러다임의 개념을 이해하고 디지털 사회의 패러다임을 알아본다 . 인터넷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동향을 살펴본다 . 내용 정보화 사회의 도래 정보화 사회의 특징 디지털 패러다임 디지털 경제의 특성 정보혁명의 촉매 , 인터넷. 1. 정보화 사회의 도래. 정보화 사회 인류사회는 수협사회 , 농업사회 , 산업사회를 거쳐 정보화 사회로 전환

joylyn
Download Presentation

인터넷과 정보화 사회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1 인터넷과 정보화 사회

  2. 학습목표 • 역사적 측면에서 정보화 사회의 의의를 살펴본다. • 정보화 사회의 특징을 알아본다. • 패러다임의 개념을 이해하고 디지털 사회의 패러다임을 알아본다. • 인터넷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동향을 살펴본다. • 내용 • 정보화 사회의 도래 • 정보화 사회의 특징 • 디지털 패러다임 • 디지털 경제의 특성 • 정보혁명의 촉매, 인터넷

  3. 1. 정보화 사회의 도래 • 정보화 사회 • 인류사회는 수협사회, 농업사회, 산업사회를 거쳐 정보화 사회로 전환 • 특히, 1969년 탄생된 인터넷의 기술적인 발전과 확산은 인류사회를 산업사회와 전혀 다른 패러다임이 존재하는 정보화 사회로 진화시켰다. • 정보혁명은 원시 수렵사회를 농경사회로 전환시킨 농업혁명, 농경사회를 산업사회로 변화시긴 산업 혁명에 버금가는 새로운 혁명으로 자리매김하였다. • 이 새로운 혁명은 ‘정보혁명‘, ‘인터넷 혁명‘ 또는 ‘디지털 혁명’으로 명명되고 있음. • 앨빈 토플러는 농업혁명을 제1의 물결, 산업혁명을 ‘제2의 물결’이라고 명명하였으며, 제3의 물결을 ‘정보혁명’이라고 정의하였다.

  4. 1. 정보화 사회의 도래 • 정보혁명의 배경

  5. 1. 정보화 사회의 도래 • 정보혁명의 배경 • 급속한 과학 기술의 발달 • 급속한 과학기술의 발달이 지식 및 정보의 중요성을 한층 부각시켰다. • 정보기술을 경영혁신으로 활용(BPR 등) • 정보의 가치를 인정한 기업이 자본, 인력, 설비, 원자재 등 기존의 핵심자원과 함께 정보를 기업운영을 위한 필수적인 자원으로 인식하였다. • BPR이란 경영혁신 기법을 가지고 다양한 정보기술을 적극 도입하였다. • 대량생산에서 다품종 소량생산에 대한 시장의 요구 • 고객 개개인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킬 수 없어 다품종 소량 생산을 지양하게 되었다. • 개인의 정보 욕구의 변화 • 획일적인 정보제공은 정보 이용자들의 다양한 정보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었다.

  6. 1. 정보화 사회의 도래 • 정보의 개념 • 정보(Information)? • 데이터(data)보다 한 차원 진화된 용어로 사용자에게 유용한 형태로 가공되어진 것이다. • 정보의 가치 • 정확성(신뢰성) : 정보는 정확한 자료를 근거로 실수나 오류가 없어야 한다. • 적시성 : 정보가 의사결정자에게 의미를 갖도록 적시에 제공되어야 한다. • 충분성 : 정보가 빠짐이 없이 충분하여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 결정성 : 의사결정의 효익보다 정보수집의 비용이 적어야 한다. • 관련성 : 정보는 의사결정자의 의사결정에 관련이 있는 것이어야 한다. • 입증가능성 : 정보는 언제든지 입증 가능해야 한다.

  7. 1. 정보화 사회의 도래 • 지식의 개념 • 지식이란 ‘검증된 진리’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른 인간의 인지적 활동이 축적되어 생성된다. • 정보나 데이터가 사용자의 인식, 해석, 분석 및 이해 등의 인지적 활동을 거치면서 경험(Experience)이나 상황(Context)과 결합함으로써 보다 가치 부가적이고 활용 라이프사이클이 긴 지식이 창출된다. • 노나까 교수의 지식의 발전 과정 • 저서 ‘지식 창출 기업’ • 조직 내의 암묵적 지식(Tacit Knowledge)과 명시적 지식(Explicit Knowledge)은 사회화(Socialization), 외재화(Externalization), 결합화Combination), 내재화(Internalization) 등의 상호전환 과정을 거치면서 개인 지식에서 팀 및 조직 지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8. 1. 정보화 사회의 도래 • 지식의 종류 • 암묵지(TacitKnowledge) • 말/언어로 표현할 수 없는 주관적인 지식, 분절화되지 않은 감정적 색채를 가진 개인적이며 경험적인 지식(Analog 지식). • 인식 양식에서 일일이 기술할 수 없는 초 언어적 지식으로 직관적인 인식과정(창조의 인지) 및 e-mail이나 말로 전달되는 비공식적인 관행이나 주관적인 경험/직관 등을 말한다. • 형식지(Explicit Knowledge) • 언어화/형식화가 가능한 객관적인 지식, 말로 표현이 가능하고 분절화된 명시적 지식(Digital 지식). • 인식 양식에서 비판적이고 실증적인 합리성에 바탕을 둔 인식과정으로, 명확한 기술과 논리적 추론 및 계산해서 생기는 인식(추상과 조작의 인지) 및 회사의 경영에 의해 검증된 내용으로 회사 내의 문서나DB에 저장된 정보를 말한다.

  9. 미래학자들의 견해 앨빈토플러 존 내이스비트 정보화 사회 다니엘 벨 오브라이언 마크포렛 2. 정보화 사회의 특징 • 정보화 사회를 예견한 매리학자들

  10. 2. 정보화 사회의 특징 • 앨빈토플러의 정보화 사회 • 정보와 지식이 새로운 부 창출의 원동력이다. • 대량 생산을 탈피하여 탄력적 주문 생산, 즉 탈대량화 생산으로 변화한다. • 산업사회의 생산요소(토지, 노동, 원료 및 자본)는 기호화된 지식이 이를 대체함에 따라 그 중요성이 감소한다. • 금속화폐나 지폐 대신에 전자적 정보가 교환 수단이 된다. • 재화 및 서비스는 모듈화하여 표준이 요구되는 시스템을 구성한다. 이 때문에 표준의 기초가 되는 정보를 장악하기 위한 경쟁이 일어난다. • 거대한 관료체제는 탈대량화한 소규모의 작업단위 또는 매트릭스 조직, 태스크포스팀, 위원회 조직 등과 같은 ‘애드호크라시(Adhocracy)’에 의해 대체된다. • 조직 단위의 수와 다양성이 늘어간다. 이러한 단위들이 늘어나고 그들 간의 업무처리가 많아질수록 더 많은 정보가 생성되고 전달되어야 한다. • 고객은 단순히 구매자로서가 아니라 생산 공정에 필수적인 시장 및 설계상의 정보를 제공한다. • 소비자와 생산자가 ‘생산소비자(Prosumer)’로 융합된다.

  11. 2. 정보화 사회의 특징 • 존 네이스비츠의 메가트랜드(Megatrende) • 존 네이스비트(John Naisbitt)는 오늘날의 인류사회를 탈공업사회로 규정하고 개개인의 의식발달에 보다 가치를 갖게 될 것이라고 예견했다. 그는 기존 산업사회의 발전에 따른 비인간화, 자연파괴 등의 역기능에 대한 반성으로 개인 욕구가 중시되고 생태적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발전 방향을 추구하게 될 것이라 하였으며, 이러한 변화를 대변혁(Megatrends)이라 정의하였다. • 존 네이스비트가 정의한 현재의 변화 특성 10가지 • 산업사회에서 정보화 사회로 • 인위적 기술사회에서 고도기술사회로 • 국가경제체제에서 세계경제체제로 • 단기정책에서 장기정책으로 • 중앙집권체제에서 지방분권체제로

  12. 2. 정보화 사회의 특징 • 존 네이스비트가 정의한 현재의 변화 특성 10가지 • 제도적 복지사회에서 자조·자력의 사회로 • 대의민주주의에서 참여민주주의로 • 위계 체제에서 네트워크 체제로 • 북의 시대에서 남의 시대로 • 양자택일 사회에서 다원선택 사회로

  13. 2. 정보화 사회의 특징 • 다니엘 벨의 후기 산업사회 • 다니엘 벨(Daniel Bell)은 그의 저서『후기 산업사회의 도래(The Coming of the Post Industrial Society)』에서 산업사회와는 전혀 다른 패러다임(Paradigm)의 탈산업사회를 예견하였다. • 산업사회와 탈산업사회 비교

  14. 3. 디지털 패러다임 • 패러다임 • 패러다임이란 단어를 미국의 사회학자 토마스 쿤(Kuhn)은 ‘한 시대를 지배하는 사고와 인식의 체계’로 정의하였다. • 자연과학에서 패러다임의 대표적인 예로는 뉴턴의 역학론,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 다윈의 진화론, 창조론 등이 있다. • 각각의 패러다임 내에서는 이론적 기반이 확실하며 논리적으로 설명이 가능하나 각각의 패러다임간의 상대 비교는 서로의 인식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무의미하다. • 디지털의 개념 • 디지털은 ‘손가락’이란 뜻의 라틴어 디지트(Digit)에서 유래되었다. 이는 모양으로 표시되는 아날로그에 비해 분명하게 하나 둘 셋을 셀 수 있다는 의미로 만들어진 말이다. 예컨대 각각의 눈금과 수치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막대그래프가 디지털 형태라면 아날로그는 정확히 수치를 파악하기 어려운 곡선그래프에 비유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는 보통 ‘0’과 ‘1’로 표시되는데 전기적으로는 +5V와 0V로 표시되며 높고 낮음에 비유되기도 한다. • 디지털 신호를 사용하면 수학적으로 계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신호를 압축하거나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는 노이즈(잡음)에 강하여 고품질의 음악이나 영상을 전송·재생할 수 있다.

  15. 3. 디지털 패러다임 • 디지털 패러다임 시공을 초월한 상거래 디지털 패러다임 글로벌한 경쟁환경 산업간 장벽의 해체 부의 재분배 부익부 빈익빈

  16. 3. 디지털 패러다임 • 디지털 패러다임 • 시공을 초월한 상거래 • 산업사회에서는 소비자와 생산자가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서만 상거래가 가능했지만, 디지털 환경에서는 공간(국경, 지역)과 시간을 초월한다. • 생산자와 소비자가 서로 원하는 시간에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접촉할 수 있다. • 글로벌한 경쟁 환경 • 인터넷의 글로벌한 특성상 디지털 패러다임이 지배하는 새로운 사회에서는 모든 상행위가 글로벌한 경쟁을 벌여야 한다. • 산업간 장벽의 해체 •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란 컴퓨팅(Computing),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콘텐츠(Contents)가 하나로 합쳐진 복합 기기의 등장을 의미한다. • 이러한 복합 기기의 등장으로 산업간 벽이 허물어지고 산업간 정보를 공유하는 형태로 발전되고 있다.

  17. 3. 디지털 패러다임 • 디지털 패러다임 • e-비즈니스 탄생의 원동력 • 인터넷의 기하급수적인 성장은 인터넷과 관련된 새로운 산업인 전자상거래를 포함한 e-비즈니스를 탄생시켰다. • 부의 재분배 • 인터넷의 발달은 부의 재분배를 이루었다. 미국의 경우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시스코(Cisco), 제너럴일렉트릭(GE) 등의디지털 산업 기업들이 지속적으로 발전하여미국의 대표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는 디지털 패러다임이 지배하는 새로운 사회가 도래했음을 실증하고 있다. • 부익부 빈익빈 • 인터넷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없어서 e-비즈니스 동종 기업 간의 차별화가 없으면 1위 기업이 그 산업의 독점적 지위를 누릴 수 있다.

  18. 4. 디지털 경제의 특징 • 디지털 경제 • 디지털 경제(Digital Economy)란 디지털 패러다임이 지배하는 사회의 경제란 의미로 풀이할 수 있다. • 디지털 경제의 특징 네트워크 외부성(메트칼프의 법칙) 길더의 법칙 무어의 법칙

  19. 4. 디지털 경제의 특징 • 메트칼프의 법칙 • 망외부성이란 어느 한 경제 주체가 자신에게 최선의 선택을 할 때, 다른 경제 주체에 경제적인 반대급부 없이 그 영향이 주어지는 현상이다. 손해를 가져오면 부(-)의 망 외부성이라고 하고, 이익을 주면 정(+)의 망 외부성 혹은 그냥 망 외부성이란 용어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에서는 정의 망 외부성이 존재한다. • 메트칼프의 법칙이란 네트워크의 효용은 네트워크 내의 사람 수의 제곱 비례로 증가한다는 것이다. : [그림 1-1]

  20. 4. 디지털 경제의 특징 • 무어의 법칙 • 무어의 법칙은 인텔(Intel) 창업자 중 한 사람인 무어(Moor)가 주장한 것으로, 컴퓨터 반도체 칩의 성능은 18개월마다 2배로 증가하고 가격은 반으로 줄어든다는 법칙이다. • 무어의 법칙은 컴퓨터 메모리와 저장 장치 등의 디지털 부문에 거의 다 적용되고 있다. • 무어의 법칙이 시사하는 바는 대부분의 디지털 기기들이 무어의 법칙이 적용되어 점차 점차 고성능화되고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어 대중화된다는 것이다. : [표 1-3]

  21. 4. 디지털 경제의 특징 • 길더의 법칙 • 조지 길더(George Gilder)는 1990년대부터 정보지식사회를 꿰뚫어보는 혜안과 통찰력으로 전 세계에‘길더 효과’를 일으켰을 만큼 세계에서 손꼽히는 디지털 분야 석학 중 한 명이다. • 그는 『마이크로코즘』(한국경제신문사, 1991), 『텔레코즘』(청림출판, 2004) 등의 저술을 통해 인터넷의 연결성을 기업혁신과 사회발전의 중요한 핵심 요인이라고 역설하였다. • 텔레코즘(Telecosm)이란 ‘각각의 컴퓨터 속에 있는 CPU(중앙처리장치)의 성능보다 컴퓨터들이 연결되었을 때 발생하는 힘이 더 중요하다’는 뜻으로, 길더가 내놓은 차세대 기술 패러다임이다.  • 길더는 앞으로 10년 동안 통신시스템의 대역폭이 12개월마다 3배씩 증가한다고 했다. 이를 길더의 법칙이라고 한다. • 길더의 법칙이 시사하는 바는 인터넷을 통한 정보 전달의 대역폭이 매년 3배씩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인터넷 사용자 증가와 DVD 등 많은 용량을 차지하는 정보재의 증가가 인터넷 속도를 저하시키지 않을 것이며 오히려 관련 산업을 발달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22. 5. 정보혁명의 촉매, 인터넷 • 인터넷의 개념 • 인터넷은 Inter Network의 약자. • 전 세계에 연결된 수많은 컴퓨터와 다른 네트워크 상의 사용자들이 접속되어 있는 컴퓨터 통신망으로써 네트워크의 네트워크라고 할 수 있음. • 인터넷을 한마디로 정의하면 ‘TCP/IP 프로토콜(Protocol)을 사용하는 글로벌 네트워크(Global Network)’라고 할 수 있음. • 프로토콜이란 통신 규약으로 번역되는데, 컴퓨터 통신 상호간의 표준화된 약속을 의미한다. 컴퓨터끼리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 인터넷은 수많은 프로토콜 중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와 IP(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다. • 네트워크는 컴퓨터 단말기들이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하는 정보통신용어다. • 지역을 묶는 네트워크인 LAN(Local Area Network)과 광역의 컴퓨터들이 연결되어 있는WAN(Wide Area Network)으로 구분된다. 인터넷은 글로벌 네트워크로써 일종의 WAN이라고 할 수 있다.

  23. 5. 정보혁명의 촉매, 인터넷 • 인터넷의 역사 • 1969년 인터넷은 미국 국방성의 컴퓨터 통신망인 ARPANET으로 탄생했다.

  24. 5. 정보혁명의 촉매, 인터넷 • 인터넷 주요 서비스 • TELNET • 초기의 인터넷 서비스이다. 원격지에서 컴퓨터를 접속할 수 있는 서비스로써 우리나라 말로는 ‘원격접속서비스’다. • 인터넷의 초기 사용자들은 Telnet을 이용하여 외부 컴퓨터를 이용하였는데 아직도 인터넷 서비스로 사용되고 있다.  • Telnet을 이용해 특정 컴퓨터를 사용하려면 특정한 컴퓨터에 접속하여 사용허가(Log In)를 받아야 한다.

  25. 5. 정보혁명의 촉매, 인터넷 • TELNET • 윈도우에서도 Telnet을 사용할 수 있는데, 다음 그림은 천리안에서 Telnet에 접속한 화면이다. • DNS가 없을 때에는 숫자로 되어 있는 IP 주소로 접속했다. 지금은 해당 도메인(Domain) 주소를 입력하여 접속하면 된다. 윈도우 ‘시작’ 버튼의 ‘실행’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그림 1-2]처럼 ‘Telnet 주소’를 기입하면 된다.

  26. 5. 정보혁명의 촉매, 인터넷 • 인터넷 주요 서비스 • FTP(File Transfer Protocol) • 인터넷 환경에서 파일을 송수신할 때 사용되는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이다. • 현재는 윈도우를 지원하는 FTP 전용 프로그램들을 인터넷을 통해 쉽게 구할 수 있다. 취향에 맞는 FTP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설치하고 실행하면 쉽게 FTP 서비스를 사용하여 원하는 파일을 다운로드(Download)하고 업로드(Upload)할 수 있다. • 다운로드, 업로드의 개념은 바로 FTP 서비스에서 유래된 것이다. • 다운로드는 파일을 다른 사람의 컴퓨터에서 내 컴퓨터로 가져오는 것이고, 업로드는 내 파일을 다른 사람의 컴퓨터로 보내는 것을 의미한다. • 다운로드, 업로드 모두 나의 파일과 다른 컴퓨터의 파일을 복사만 할 뿐 지우지는 않는다. • FTP는 WWW, e-mail과 더불어 현재도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인터넷 서비스 중 하나다.

  27. 5. 정보혁명의 촉매, 인터넷 • 인터넷 주요 서비스 • 이메일 • e-mail은 인터넷을 통해 서로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다. • 서로 메시지를 주고받으려면 네트워크상에 상대방이 같은 시간에 접속해 있어야 하는데 종이 편지처럼 아무 때나 보내고 받기 위해 우체국 같은 장치가 필요했다. • 이를 메일 서버라 하고 24시간 대기 중인(전원을 끄지 않는) 컴퓨터로 용도에 따라 보내는 메일 서버(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와 받는 메일 서버(POP, Post Office Protocol)로 구분한다. • 서버라는 표현은 클라이언트/서버(Client/Server) 시스템에서 유래된 용어로써 서버는 제공자, 클라이언트는 사용자의 의미다. • 일반적으로 항상 켜놓아야 하는 용도의 컴퓨터를 서버라고 명명한다. 즉 컴퓨터는 크게 용도에 따라 두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서버, 다른 하나는 클라이언트다. • 서버는 e-mail 서버, FTP 서버, 웹 서버 등이 있으며 항상 켜놓아야 한다. 항상 켜놓아야 하기 때문에 성능이 좋은 컴퓨터를 사용하고 안정된 운영체제(OS)를 장착해야 한다.

  28. 5. 정보혁명의 촉매, 인터넷 • 인터넷 주소체계 • IPv4 •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모든 컴퓨터는 숫자로 표현되는 IP(Internet Protocol) 주소가 있다. IP 주소는 32비트의 2진수 체계이나, 사람이 사용할 때에는 4개의 10진수(0~255)가 “.” 부호로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사용된다(예, 128.12.36.147). IP 주소는 이론적으로 '256 x 256 x 256 x 256‘개인 4,294,967,296개의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다. • IPv6 • 세계 인구가 50억이 넘으니 42억 개의 IP로는 부족해 새로운 IP 주소가 나왔다(IPv6). • IPv6란 현재 사용하고 있는 IPv4의 주소길이(32비트)를 4배 확장하여 IETF가 1996년에 표준화한 128비트 차세대 인터넷 주소 체계다. IPv6 주소는 128비트체계로 구성 되어 있으며, 표현방법은 128비트를 16비트씩 8부분으로 나누어 각 부분을 콜론(colon, ":")으로 구분하여 표현하며, 각 구분은 16진수로 표현한다. • 128비트 주소체계인 IPv6는 최대 1조개 이상의 주소를 마련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IPv6가 쓰이면 장차 일상생활에 사용하는 모든 전자제품, 작게는 전자제품의 일부 회로가 서로 다른 IP주소를 갖게 된다.

  29. 5. 정보혁명의 촉매, 인터넷 • 도메인 체계 • DNS(Domain Name Server/System) : [그림 1-4] • 특정 네트워크에 속한 특정 호스트에 접속하기 위해 일일이 숫자로 된 IP 주소를 기억하지 않고 도메인 네임만으로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도메인 네임을 IP 주소로 전환시켜 주는 시스템이다.

  30. 5. 정보혁명의 촉매, 인터넷 • 도메인 체계 • 도메인명 • IP 주소는 숫자로 되어 있어 사람들이 암기하여 사용하기가 불편하다. 이러한 불편을 없애기 위하여DNS(Domain Name Server)라는 시스템을 통해 사람들이 사용하는 문자로 된 주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나라별 도메인 이름 기관 성격을 나타내는 도메인 이름

  31. 5. 정보혁명의 촉매, 인터넷 • 한국인터넷 진흥원 • 인터넷 관련 각종 통계를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사이트는 한국인터넷진흥원(WWW.KISA.OR.KR)이다.

  32. SUMMARY • 인류사회는 수렵시대, 농업사회, 산업사회를 거쳐 정보화 사회로 전환되었다.  • 정보화의 진전은 컴퓨터와 네트워크 통신기술의 발달, 특히 인터넷의 발달에 기인하고 있고, 정보의 형태가 ‘0’과 ‘1’의 디지털 신호 형태이기 때문에 정보혁명을 ‘디지털 혁명’이라고도 한다.  • 정보(information)란 '데이터'보다 한 차원 진화된 용어로 사용자에게 유용한 형태로 가공되어진 것이다.  • 패러다임이란 단어는 미국의 사회학자 토마스 쿤(Kuhn)이 ‘한 시대를 지배하는 사고와 인식의 체계’로 정의하였다.  • 전화, 인터넷과 같이 네트워크 형태의 기술은 사용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효용이 감소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에게 더욱 더 많은 가치를 제공하게 되는 네트워크 외부성을 갖고 있다.  • 무어의 법칙은 인텔(Intel) 창업자 중 한 사람인 무어가 주장한 것으로 컴퓨터 반도체 칩이 18개월 정도에 성능은 2배로 증가하고, 가격은 반으로 줄어든다는 법칙이다. 

  33. SUMMARY • 길더는 향후 10년 동안 통신 시스템의 대역폭이 12개월마다 3배씩 증가한다고 했다. 이를 길더의 법칙이라고 한다.  • 인터넷을 정의하면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글로벌 네트워크’라고 할 수 있다. • IP주소는 숫자로 되어 있어 사람들이 암기하여 사용하기 불편하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DNS(Domain Name Server)라는 시스템을 통해 사람들이 사용하는 문자의 주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IPv6란 현재 사용하고 있는 IPv4의 인터넷 주소 길이(32비트)를 4배 확장한 128비트 차세대 인터넷주소 체계다. 

  34. 토론 및 과제 다음 키워드와 관련된 기사를 검색하고, 검색된 기사를 참조하여 토론 및 과제를 해 보자. • 토론 • 산업사회와 다른 디지털 사회의 특징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 정보화 사회가 되면서 바뀐 삶의 방식에 대해 토의해 보자. • 텔레코즘이란 무엇인가? • 과제 • 정보화 사회가 되어 성공한 우리나라의 기업인 3인을 조사하여 수업시간에 발표하라. • 인터넷의 급속한 확산에 따른 순기능과 역기능에 대해 조사하라. • 다음의 단어들은 현대사회를 살아가는데 꼭 알아야 할 단어들이다. 각각 5줄로 요약하라. • 1) CEO 2) 스톡옵션 3) 실리콘벨리 4) 애플 5) 시장가치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