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0 likes | 630 Views
제 7 회 디지털도서관 컨퍼런스 “ 디지털 환경에서의 새로운 정보유통 패러다임 ” . 과학기술 정보서비스의 새로운 방안. 2004. 11. 19.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황혜경 hkhwang@kisti.re.kr. ≪ 차 례 ≫. I. 과학기술정보 개요. II. 기관저장소 개요. Ⅲ. 해외동향. IV. 국내동향. V. 국내 과학기술정보 공유활성화를 위한 추진전략. VI. 제 언. I. 과학기술정보개요. Industrial Society. Information Society.
E N D
제 7회 디지털도서관 컨퍼런스 “디지털 환경에서의 새로운 정보유통 패러다임” 과학기술 정보서비스의 새로운 방안 2004. 11. 19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황혜경 hkhwang@kisti.re.kr
≪ 차 례 ≫ I. 과학기술정보 개요 II. 기관저장소 개요 Ⅲ. 해외동향 IV. 국내동향 V. 국내 과학기술정보 공유활성화를 위한 추진전략 VI. 제 언
Industrial Society Information Society Knowledge Society 사회의 핵심 요소 변화 지식과 지적 자산관리를 위한 지식 기술 정보 관리 및 정보통신기술 자본, 노동력, 토지 사회적 변화 동향 <출처: 윤정선. 2004. 지식교류활성화 전략 연구. 한국과학기술인프라 워크숍>.
과학기술 정보의 특징 • 누적성과 비누적성 • 지식의 누적성과 비누적성의 양면적 성격 • 공통성(universality) • 국가, 정치적, 사회적, 언어적 제한을 초월한 보편적 지식 • 과학기술에 의해 생성된 객관적 지식의 기록 • 속보성(currency) • 최신자료에 대한 긴급한 요구 • 최신정보의 활용을 통한 미래 연구계획의 방향설정 • 실험실 홈페이지, 웹하드, e-Prints 아카이브, 각종 비공식 커뮤니티 • 노화현상(obsolescence) • 정보의 빠른 노화현상 • 과학기술정보는 출판 후 오랜 시간이 경과할 수록 인용빈도 저하 • <출처 : 사공 철, 구자영, 김석영, 이춘실 공저 . 1997. 과학기술정보의 이해.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연구정보 생성완료 Preprint 논문작성 기관 저장소 논문 제출 학술지 논문투고 논문 가시성과 영향력 확대 동료연구자의 논문심사 12-18 Months 심사결과에 따른 논문 수정 논문게재 확정 후 학술지 출판 도서관, 정보센터의 학술지 구독, 논문 배포 논문인용을 통한 영향력지수 발생 과학기술 연구결과의 전달변화 <출처 : Brody, T. and S. Harnad. 2001. The Research-Impact Cycle. http://www.ecs.soton.ac.uk/~harnad/Temp/openaccess.ppt>.
기관저장소 개념 • 소속 연구원들이 생산한 연구성과물을 생성, 수집, 조직하여 이용자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커뮤니티기반의 학술데이터베이스 • 디지털컬렉션 이자 인터넷서고(Crow 2002) • 소속 커뮤니티의 연구성과물을 수집, 관리, 유통시키는 일련의 서비스(Lynch 2003)
기관저장소 특징 • 다양한 디지털콘텐트 • 텍스트, 멀티미디어, 각종 데이터셋, 학습자료 • 커뮤니티기반 • 기관 중심 • 정보공유 • 장기보존 및 영속성 • 공개소프트웨어(일반적으로) • Dspace, Eprints
기관저장소 핵심기능 • 논문제출기능 • 메타데이터 관리기능 • 메타데이터 변환, 자동문서변환 • 접근통제기능 • 디지털저작권관리(DRM), 시스템관리자 • 검색 메카니즘 지원 • 인터넷 탐색엔진을 통한 검색지원 • 장기보존기능 • 콘텐트 마이그레이션지원, 장기보존용 파일 변환기, 식별자체계지원(CNRI Handles, DOI) 출처: Gibbons, Susan. 2004. “Establishing an Institutional Repository”. Library Technology Report, July/Aug
기관저장소 장점 • 학술커뮤니케이션 위기의 대안 • 디지털문서의 장기보존 • 디지털 문서 보존책무가 연구자 개인차원에서 기관차원으로 이동 • 기관 효율성 향상 • 분산화된 정보 배포방식의 중앙집중화로 경제성 향상 • 연구성과의 배포방식의 효율화 • E-mail, 우편발송 → 기관저장소 • 기술적, 경제적 장벽 없는 자유로운 정보공유 • 기관의 위상과 학문적 위치평가의 지표 • 기관의 연구, 학술활동에 대한 홍보 및 전시효과 • 연구성과의 광범위한 배포
기관저장소 구축시 고려사항 • 기관의 정책 및 조직문화에 대한 이해 • 유지관리를 위한 재정적 지원 • 디지털문서 보존계획 및 범위 • 커뮤니티에 대한 이해 • 연구자들의 자발적 참여 유도 • 연구자들의 연구수행 패턴, 학문주제별 학술활동의 분석 • 연구자의 요구분석 • 저작활동 지원을 위한 저작시스템고려 • 문헌의 버전 관리, 협동저작지원 • 법적 문제 • 이해당사자간의 법적 분쟁 가능성 방지 • 정보공유라이센스 고려 • 지적재산권 정책의 성문화 • 국제표준 적용 • OAI-PMH, OAIS 참조모형, METS • 이용자편의성 고려 • 투고자료 포맷유형, 논문투고구조, 버전 관리, 권한관리기 • 기존시스템과의 호환성 및 확장성, 배치반입 및 배치반출기능 • 검색엔진, 이용자통계
OAIster를 통한 현황분석 • OAI service provider인 OAIster 분석 • University of Michigan, University Libraries, Digital Library Production Service(DLPS) • 2004년 9월 2일 현재, 347개 기관으로부터 3,488,842 레코드 제공 • 사이트 당 레코드 분포 다양성 발견 • 5건 미만에서 265,462건(Cite Base) <출처: Mark Ware Consulting Ltd. 2004. Pathfinder Research on Web-based Repositories, Final Report>
OAIster를 통한 현황분석 • OAI repositories 정보자원 유형분석 • 45개 표본 집단 선정 • 42,700건의 문헌(CERN 제외) • 평균수록문헌 수 : 1,250건 • 정보유형 • 22% e-prints (preprints, postprints) • 20% theses and dissertations • 58% other documents • 주제분야 • 물리학, 수학, 컴퓨터공학, 경제학이 주류 • 임상의학, 약학은 제외
MIT 공과대학교 Dspace • 개 요 • MIT 대학 도서관이 HP와 공동으로 개발한 디지털 서고(Digital Repository)시스템 • 대학 구성원들이 생산한 연구 및 강의콘텐트를 도서관에서 관리하기 위함 • 2000년 3월 착수하여 2002년 11월 공개프로그램형식으로 발표 • 주요 특징 • 커뮤니티기반의 기관저장소 • 각종 국제표준 준수 • OAI-PMH지원, METS반출기능, 고유식별자를 위한 CNRI 핸들기능, OpenURL 연계기능 • 다양한 디지털 포맷 및 콘텐트 유형지원 •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타입 • Article, preprints, working papers, technical reports, conference papers, books, theses, data sets, computer programs, visual simulations • 디지털 보존 • 디지털 아이템의 장기적 저장 및 관리기능 제공 • 각 아이템에 고유식별자(persistent identifier) 부여하여 검색보장 • 콘텐트 제공자에게 보존지원수준(preservation support levels) 제시하여 제출파일의 보존 가능성 인식하도록 함 • - 보존 허용 3단계 레벨 제정 : 지원(supported), 인정(known), 지원불가(unsupported)
MIT 공과대학교 Dspace • 수록 정보자원 • 연속간행물 발표논문, 출판전배포기사(preprints), 보고서, 워킹페이퍼, 전자논문, 연구실험 데이터,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파일, 기타 도서관장서, 웹페이지 • 정보시스템 모델구조 • 로컬검색기능, 논문제출기능, 메타데이터기능, OAI 서버기능 https://dspace.mit.edu/index.jsp
오하이오주립대학교 Knowledge Bank • 개 요 • 강의, 원격교육 및 연구자원 통합관리를 위하여 오하이오주립대학교에서 개발 • OhioLINK, Chemical Abstract Services, OSU Libraries, MIT libraries • 수록 정보자원 • Course-related content • 강의웹사이트, 전자지정자료, 강의계획서, 퀴즈, 강의노트, 오디오/비디오 강좌, 프리젠테이션 • Research material • 각종 데이터, 방법론, 연구결과물 • 디지털 컬렉션 • 학술논문, 단행본, 워킹페이퍼, 출판전배포기사, email discussions, e-portfolios • 학내 행사 및 각종 서비스 • 홍보자료, 팜플렛, 교정 안내도, 각종 스포츠프로그램, 웹사이트 • 행정관리 • 학생등록명부, 급여 및 직원관리, 외주관리정보
오하이오주립대학교 Knowledge Bank https://kb.osu.edu/index.jsp
막스프랑크연구회 eDoc 프로젝트 • eDoc Server • 추진 배경 • 오픈액세스에 대한 베를린선언(Berlin Declaration, 2003. 10.22)에 기초하여 과학 및 인문학분야 기초연구소의 정보공개를 공식채택 • 정보공개를 위한 MPS의 전략적 모델 • MPS는 학자와 과학자들이 기관이나 주제별로 운영하는 컬렉션에 연구성과물을 직접제출(Self-Archiving)하여 인터넷으로 배포하도록 독려 • 주제 영역 • Chemistry-Physics-Technology Section • Biology-Medicine Section • Humanities Section • 목 적 • MPS내의 다양한 커뮤니티를 위한 중앙집중형 서비스와 시스템 제공 • eDoc 은 과학기술분야 학술정보 유통에 있어 각 주제영역의 다양한 전통과 습관고려 • 모든 연구소에서 사용하는 공통기능과 연구소 및 주제영역의 특정한 요구에 부합하는 인터페이스 제공
막스프랑크연구회 eDoc 프로젝트 • 각종 관리기능 지원 • 웹기반 논문제출, 메타데이터 업로딩, 품질공정과정, 원문접근수준관리 • 다양한 문서형식 지원 • PDF권장 (RTF, LaTex, HTML 모두 수용) • Endnote, BibTex, XML로부터 데이터 추출 기능 • OAI 인터페이스 • 수록 정보자원 • 학술지 연구논문, 단행본 각 장, 학술회의 논문, 강의/코스웨어, 포스터, 회담(talks at events), 특허, 데이터셋, 소프트웨어, 멀티미디어, 전문가의견서, 시리즈 등 • 이미지, 텍스트 스캔자료, 데이터셋 등 원자료 수집하여 보존 • MPG eDoc Server의 품질공정과정 • Moderator, eDoc manager로서의 사서의 역할 • 연구기관별 논문제출원칙 적용
논문제출과정 논문승인과정 논문배포과정 컬렉션 관리자 논문수정 요청 및 게재불가 공 개 범 위 논문 수락 메타데이터, 파일포맷 검토 논문 배포 • - 공공 • MPG • 특정 전문가집단 • MPG 인턴 논문투고자 (저자) 2차 관리자 논문제출 논문배포 논문공개수준 결정 논문수락 내용평가 수정논문 요청 논문 검증자 막스프랑크연구회 eDoc 프로젝트 • eDoc 업무흐름도 <출처 > Max Plank Society. 2004. How to get started with eDoc? http://edoc.mpg.de/.
JISC FAIR Project • 개 요 • Joint Information Systems Committee(JISC)에서 주관하는 FAIR (Focus on Access to Institutional Resources)프로젝트 • 기관에서 생산된 정보자원의 공유 활성화를 위한 방안에 관한 연구프로젝트 • 프로젝트 • DAEDALUS 2002. 8 – 2005. 7 (예정) • ePrints UK 2002.8 – 2004. 7 • RoMEO 2002. 8 -2003. 7 • SHERPA 2002. 11 – 2005.10 (예정) • TARDis 2002. 8 – 2005. 1 (예정)
“지식정보자원관리법” 제정 • 급속하게 생성되고 있는 다양한 지식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이를 공유하고 활용하기 위한 기반마련을 위하여 지식정보자원관리법을 근거로 지식정보자원관리 사업 추진 • [법률제6232호 신규제정 2000. 01. 28.] • 과학기술, 교육학술, 문화, 역사부문에서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추진 • 1999년도 – 2000년 지식정보연계활용체제 구축사업 • 2001년도 – 2003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 http://itprogram.nca.or.kr/ • 국가지식정보통합검색시스템 사이트운영 • http://www.knowledge.go.kr/intro/KPjtHistory.jsp
2003년 • 문화분야 • 문화관광부에서의 “국가문화유산종합정보시스템 구축”사업 추진(2000.3-2003.8) • 국립중앙박물관 등 58개 박물관에 표준 유물기본 정보를 등록·관리할 수 있는 표준유물관리시스템개발 및 보급 • 과학기술분야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국가연구개발보고서 자동수집 및 서비스시스템 개발 보급 • 정보통신분야 • 정보통신연구진흥원에서 정보통신분야 연구보고서 등록 및 관리시스템(K-Register) 개발 보급예정 • 교육학술분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 학술 및 학위논문 자동생성·유통시스템(dCollection) 개발하여 대학 및 유관기관에 시범 보급 • 산업분야 • 산업연구원(KIET)에서 23개 정부출연 연구기관(경제사회연구회 산하 14개, 인문사회연구회 산하 9개 연구기관)의 연구결과물(연구보고서, 정기간행물)에 대한 IKIS 자동생성시스템을 개발
2004년 • LG상남도서관 전자논문기증 코너운영 • http://www.lg.or.kr/frame/index_treatise_main.html • 정보공유라이센스 공식선포(10월) • 정보공유연대의 정보공유라이선스 4가지 유형 개발 및 배포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국내학회지 원문무료제공 • 1996년부터 현재 230여 개 국내 학회 650여종의 과학기술분야 학술지 원문제공 • 논문투고관리시스템(ACOMS)의 무상보급
V. 국내 과학기술정보 공유 활성화를 위한 추진전략
학술정보유통의 변화에 대한 전세계 움직임은 초기단계 • Open Access형 출판, Self-Archiving 모델 구축의 초기단계 • Open Access 지지성명 발표를 통한 각종 캠페인 고조 • 세계적 지명도나 명성이 아직 확립되지 않은 상황 • 국내 오픈액세스의 세계 선도적 위상정립 가능성 • 국내 인터넷 발달, 선진국수준의 컴퓨터 보급률 • 활발한 인터넷 및 모바일 사용, 능동적 사용자 정서 • 학계, 도서관계 학술정보공동활용에 대한 인식고취 • 국내학자들의 세계적 연구활동의 기반조성 • 범국가적인 차원의 국가 R&D 연구 지원정책 관심집중
학술정보유통 단계별 국내 현황 • 정보생성단계의 취약성 • D/B 구축 및 운영의 경험 상당수준 보유 • 인터넷 문화 및 서비스 수준의 강점 • 추진전략 • 제1전략 : 정보의 양적 성장 우선 • 정보 생성/수집과정에서의 혁신적 OPEN을 통한 최대 정보 확보 • 정보의 검증 및 DB화 과정의 원칙적 OPEN을 통한 최대 정보 확보 • 제2전략 : 세계 최고 수준의 정보서비스를 통한 성장 • 다량 정보에 대한 최고수준의 이용자 접근성 /편리성 확립 • 민간 서비스 마케팅 기법의 도입을 통한 적극적인 사용자 확보 추구 • 제3전략 : 최고수준의 이용활성화를 통하여 정보 생성단계의 획기적 발전 견인 • 정보의 양과 서비스 이용의 활성화가 자연스럽게 정보생산을 견인하는 토대로 작용 제1 및 제2 전략 추진을 통한 세계 선도적 Open Access Repository 구축
最大의 정보생성 수집 자유로운 접근 最高 의 이용도 국 내 유력 기관/단체 일반 연구자 OA 포털 제도적 장치 O A D/B KISTI 생성정보 해 외 OA Repositories OA Archival DB 유력 기관/단체 일반 연구자 추진전략체계도 • 보고서 검증의 OPEN • D/B 호환, 표준화 정보 이용기관 선택과 집중 포 상 제 • 민간포털 서비스 도입 • 이용자 편의성 • 이용자 인센티브 • 최고의 활용도 - 최다 페이지 뷰 - 최다 다운로드 정부지원보고서 기초&기본토대 제휴 & 공유 정보 이용자 》量的 성장이 質的 성장을 견인《 정보의 확대 재생산
생성 ·수집 단계 • 수집 범위 • 주제분야 : 국내외 과학기술·의학·경영·경제 주력 • 자료유형 : 지식창조를 위한 커뮤니케이션과정에서 요구되는 정보 • 연구논문, 학술지 논문 보충자료(실험결과, 통계데이터), 출판전배포기사, 기술보고서, 학위논문, 프리젠테이션 파일, 각종 멀티미디어자료, 세미나, 원격강의자료, 사실정보 등 • 파일포맷 : 모두 수용(HWP, Word, PDF 등) • 기관저장소 Pilot Project • 협력기관과의 공동프로젝트 수행 • KISTI 내부 정보자원의 수집집중화 • 연구보고서, 세미나 워크숍자료, 분석보고서, 사실정보, 기관지 논문 및 논문보충자료 • 권위있는 주제기반 저장소와의 제휴를 통한 信忍度 촉진 • 소수의 우수 저장소 발굴 및 협력방안 • 인센티브의 집중화 • 국가 R&D 종합정보시스템을 통한 국가연구보고서 수집 • 개인차원의 자유기고 양성화 • 개인연구자의 자유기고 유도
데이터베이스화 단계 • 선정기준 및 제작지침 작성을 통한 일관성 유지 • 표준화된 메타데이터, 분류체계 적용 • DB관리의 일원화 • 이용활성화를 위한 최소한의 규제 • 정보공유라이센스 채택 • 정보생산자의 요구 파악하여 생성 주체별, 맞춤식 DB화 • 저작시스템 지원 • Version 관리기능, 협동저작관리기능, 참고문헌관리기능 등 • 이용자에 의한 Open 평가유도 • KISTI : 메타데이터 평가 • 이용자 오픈평가와 전문가 평가병행
홍보 및 서비스 단계 • 정보공유 인식확산을 위한 홍보 • Open Access 지지성명 • 관련 세미나 개최 및 홍보를 통한 캠페인 • 관련기관과의 유기적 협력체제 유지 • - KOAI 사무국운영, OA 협의체 가입, 국내 포럼 운영 • 기관과 개인의 WIN-WIN 전략 모색 • 기관과 개인의 목표간의 합의점 도출 • - 개인에게 직간접적인 인센티브제공 • - 승진, 보너스, 스타 학자 탄생 • 이용자의 접근 용이성 및 이용빈도 극대화 주력 • 우수 저자, 우수 이용자 인센티브 제공 • - 최다 논문투고상 • - 최다 인용논문의 저자상
VI. 제 언 • 국내 학자들의 세계적 연구활동의 기반 조성 • Open Access 기반 구축을 통해 국내 과학자들의 정보표현의 기회 및 인지도 확대가능 • 전세계 연구정보의 자유로운 접근과 이용을 통한 국내 학자 및 연구자들의 지식창조 수준향상 • 연구정보의 생성 및 공유활성화를 통한 국가발전 유도 • 국내외적으로 생산 수집된 다량의 연구정보자원을 전국민이 공유하고 활용함으로써, 직·간접적으로 무궁무진한 경제적 · 문화적 가치가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