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 likes | 571 Views
CASE 1. 1 조 신경호 , 최창운 , 채안나 강문정 , 정주연 , 최우진. CASE 1. 구급차로 응급실을 내원한 56 세 남자 조선족 김씨는 3 일 전부터 epigastric pain, melena , headache 가 있었으며 본원으로 오기 전 타병원에서 PRC 1pack 을 transfusion 하고 오셨다 . 내원 당시 BP 102/63mmHg, P 84 회 /min, R 16 회 /min, T 37℃, SPO2 96% 였다 .
E N D
CASE 1 1조 신경호, 최창운, 채안나 강문정, 정주연, 최우진
CASE 1 • 구급차로 응급실을 내원한 56세 남자 조선족 김씨는 3일 전부터 epigastric pain, melena, headache가 있었으며 본원으로 오기 전 타병원에서 PRC 1pack을 transfusion하고 오셨다. 내원 당시 BP 102/63mmHg, P 84회/min, R 16회/min, T 37℃, SPO2 96%였다. • 의식 상태는 alert하였으며 과거력으로 고혈압을 10년 전 진단받았으나 중국에서 약을 가져와서 드신다고 하였다. 2년 전부터 일할 때 관절이 아파서 진통제 2~3일에 1회 복용하고 계심. 모세혈관 사정 시 순환이 지연되고 있었으며 피부는 창백하였으며 오심, 구토 등 위장관계 증상을 호소하였다.
CASE 1 • 응급실 검사 결과 Hb 7.3, WBC 8.97*10³/ml, RBC 2.59*10⁶/ml, PLT 1.77*10⁵/ml • BUN 48mg/dl, creatinine 1.8mg/dl, albumin 3.3g/이, Na 141mEq/l, K 4.0mEq/l, AST41unit, ALT 19unit • chest X-ray: no active lesion • ECG: sinus rhythm, normal • Impression: #1. anemia • #2. R/O upper GI bleeding
1) 상부 위장관 출혈을 알 수 있는 사정 자료들을 나열하라. (위의 자료에 나와 있는 것과 대상자에게서 나타나지 않은 자료들도 모두 포함하라) • ① 대상자에게서 나타난 자료 • - 상복부 통증, 흑색변, 두통, 오심 구토 등 위장관계 증상, BUN : 48mg/dL • ②대상자에게서 나타나지 않은 자료 • - 토혈, 잠혈 • - 위장관 내 다량의 혈액으로 인한 복부팽만, 경련, 설사, 복명 • - 500ml 이상 혈액 상실 시 : 체위성 저혈압, 실신, 오심, 갈증, 발한 • - 전체 혈액의 40% 가까이 상실 시 : 저혈량성 쇼크(창백, 축축한 피부, 저혈압, 빈맥)
2) 위의 사정자료 중 정상범위에서 벗어난 것을 찾고 의미를 기술하라.
간호진단 • 약물 복용과 관련된 지식부족 • 오심, 구토로 인한 영양 불균형 위험성 • 건강상실의 가능성, 신체의 변화, 통증과 관련된 불안 • 상부위장관 출혈, 관절이상과 관련된 통증
약물 복용과 관련된 지식부족 • 사정 • 고혈압 약 복용(10년전부터), 진통제복용(2년전부터) • 목표 • 1. 대상자는 약물의 작용, 목적, 부작용에 대해 알고 있다. • 2 . 대상자는 약물의 부작용에 대해 적절한 대처반응을 알고, 스스로 할 수 있다.
약물 복용과 관련된 지식부족 • 중재: • 1. 약물의 목적과 작용에 대해 교육한다. • 2. 약물의 부작용에 대해 교육한다. • -관절염 치료에 사용하는 진통소염제 아스피린은 상부 위장관 출혈 부작용이 있다. • -칼슘길항제는 심장근력약화→심장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팔다리 정상적 세포분열 →관절염 • -이뇨제는 장기간 사용 시 신장 기능 약해지고, 무릎 관절염, 탈수현상, 순환혈액 감소, 영양 손실.
약물 복용과 관련된 지식부족 • 중재: • 3. 약물치료에 대해 설명한다. • -위장관 출혈 부작용이 없는 진통제인 acetaminophen(tylenol)에 대해 설명. • -위장관 보호제인 misoprostol와 함께 복용하는 해야 하는 것을 설명. • -고혈압 약을 줄이기 위한 꾸준한 식이관리, 운동, 생활습관 변화에 대한 정보제공. • 4. 부작용 발생 시 취할 적절한 조치에 관해 교육한다. • 5. 약물과 음식의 상호작용에 대해 알려준다. • 6. 퇴원 전 대상자에게 약물의 작용, 목적, 부작용 등에 관한 서면자료를 제공한다.
오심, 구토로 인한 영양 불균형 위험성 • 사정 • 오심, 구토 • 목표 • 1. 대상자는 식사 시 오심, 구토로 인한 불편감이 없다. • 2. 대상자는 영양 불균형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오심, 구토로 인한 영양 불균형 위험성 • 중재 • 1. 지속적으로 영양 상태를 사정한다. • 2. 연식이나 유동식을 소량씩 자주 섭취하도록 한다. • 3. 필요시 오심, 구토를 감소시키는 약물을 투여한다. • 4. 불편감을 일으키는 음식은 피하도록 한다.
건강상실의 가능성, 신체의 변화, 통증과 관련된 불안 • 사정: • 대상자는 상복부와 관절의 통증, 두통을 느껴왔고, 오심, 구토 등 위장관계 증상을 호소함으로써 자신의 신체상의 변화를 인지하여 불안감을 느낄 수 있다. • 목표 • 1. 대상자는 불안상태를 솔직하게 표현한다. • 2. 대상자는 불안한 양상을 나타내지 않는다. • 3. 대상자는 편안하게 대화한다. • 4. 대상자는 적응을 도와주는 지지적 기제를 이용할 줄 안다.
건강상실의 가능성, 신체의 변화, 통증과 관련된 불안 • 중재 • 1. 환자의 불안수준을 사정한다. • 2. 환자가 특별히 두려워하는 것이 무엇인지 확인하여 치료적인 반응을 보인다. • 3. 대화를 통해 질병에 관한 두려움과 걱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한다. • 4. 환자에게 침착하고 확신감을 주는 태도로 환자의 증상에 대한 진단과 치료 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 5. 안정감을 주고 두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자와 함께 있어주도록 한다. • 6. 안전하고 조용한 환경을 제공한다. • 7. 이완요법을 사용한다. • 8. 불안이 감소하지 않을 경우, 의사의 처방대로 진정제 등 불안을 감소시키는 약물 을 투여한다.
상부위장관 출혈, 관절이상과 관련된 통증 • 사정 • 3일전부터 두통, 2년 전부터 일할 때 관절이 아파서 진통제 2~3일에 1회 복용, 상부 위장관 출혈 • 목표 • 1. 대상자가 통증이 없고, 편안하다고 말한다. • 2. 대상자의 진통제 요구 횟수가 감소한다. • 3. 대상자가 통증조절방법을 말한다.
상부위장관 출혈, 관절이상과 관련된 통증 • 중재 • 1. 통증을 사정하고 온냉요법 및 마사지법을 수행한뒤 방법을 알려준다. • 2. 그리고 무리한 신체활동을 자제하는 것을 권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