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2

이식편대 숙주질환 (Graft-versus-Host disease, GVHD)

이식편대 숙주질환 (Graft-versus-Host disease, GVHD). 권 혁 찬 혈액종양내과 , 동아암센터 동아대학교 의료원. 개 요. 조혈모세포 이식 후 골수에 생착된 새로운 세포 ( 이식편 Graft) 가 환자의 조직 ( 숙주 Host) 를 이종으로 인식하여 동종 공여자의 골수 세포가 환자의 조직 . 피부 (→ 발진 , 통증 , 가려움 , 수표현상 ), 소화기관 (→ 설사 , 출혈 ), 간 (→ 황달 , 간 기능이상 ) 등의 장기를 공격하는 것을 말한다.

kendis
Download Presentation

이식편대 숙주질환 (Graft-versus-Host disease, GVHD)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이식편대 숙주질환(Graft-versus-Host disease, GVHD) 권 혁 찬 혈액종양내과, 동아암센터 동아대학교 의료원

  2. 개 요 조혈모세포 이식 후 골수에 생착된 새로운 세포(이식편 Graft)가 환자의 조직 (숙주 Host)를 이종으로 인식하여 동종 공여자의 골수 세포가 환자의 조직. 피부(→ 발진, 통증, 가려움, 수표현상), 소화기관 (→ 설사, 출혈), 간 (→ 황달, 간 기능이상) 등의 장기를 공격하는 것을 말한다.

  3. 이식편대 숙주질환의 위험인자 • 여자 공여자가 남자 수여자에게 골수를 이식한 경우 • 이식편대 숙주질환 예방을 하지 않은 경우 • 수여자가 20세 이상 • 이식전 활동도가 좋지 않았던 경우 • 이식 후 잦은 수혈 • 특히, 조직적합성항원(HLA) 불일치, 비혈연 골수 이식 시 더욱 심각하다.

  4. 급성 vs. 만성 이식편대 숙주질환 • 급성 이식편대 숙주 질환: 피부 발진, 황달, 설사가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 100일 이내에 나타난다. • 만성이식편대 숙주 질환: 조혈모세포 이식 100일 이후에 피부, 구강, 눈, 간, 폐 등 여러 장기에서 증상이 나타난다.

  5. 급성이식편대숙주질환

  6. 발생 기전

  7. 급성이식편대숙주질환 (1) • 피부 : 가장 흔한 초기 병변 • 평균 이식 후 19 일에 나타남 (5-47일) • 손바닥, 발바닥, 귀에 발진 • 박피(desquamaion)로 진행할 수 있음

  8. 급성이식편대 숙주질환

  9. 급성이식편대숙주질환 (2) • 간 : 담도의 염증 • 황달, 간효소 수치의 상승 (Alk. P, AST/ALT ) • 간 부전은 드물다. • 감별진단 : 간정맥폐쇄질환, 감염, 약제

  10. 급성이식편대숙주질환 (3) • 소화기 : 설사, 복통, 늦게 나타남 • 내시경 : 점막의 심한 부종 (상행대장, 소장) • 상부 소화기 증상 (13%) : 나이가 많은 환자에서 흔하고 치료에 반응이 좋다.

  11. 급성 이식편대숙주질환의 중증도 정도 피부간(빌리루빈) 소화기 (설사) 1 < 25% 2-3 mg/ml500-1000 ml 2 25-50% 3.1-6.0 1000-1500 ml 3 > 50% 6.1-15.0 >1500 ml 4 물집 > 15.0 복통, 장폐쇄증

  12. 급성이식편대숙주질환의 임상적인 중증도

  13. 예방 약물의 작용기전 • 스테로이드: 염증작용, IL-1  • 사이클로스포린 A : CD4+ T 세포에 특이적 작용. • IL-2 합성, IL-2 수요체 • 작용세포들의 활성이 모두 저하된다. • MTX: 비특이적 세포 분열 억제제 • T 세포의 증식을 억제

  14. 급성 이식편대숙주질환의 치료 • Methyl-PD 2 mg/kg -> 7일 경과 후 호전 없으면 • Methyl-PD 1 g for 3 days • Mycophenolate (cellcept) 1 g bid • ATG 10 mg/kg for 4 days • FK-506 (tacrolimus) 0.06 mg/kg

  15. Methyl-pd 2mg/kg/day for 4 days

  16. 만성이식편대숙주질환

  17. 만성이식편대숙주질환 : 임상양상 • 피부 (80%) : 홍반,색소침착이상 피부경화증 (후기) • 간 : 담증체성 황달, 간효소 수치  • 눈 : 안구건조, 각막손상 • 구강 : 구강 건조, 홍반, 위축 • 폐 :폐쇄세기관지염 • 소화기 : 식도협착, 소화장애

  18. 만성이식편대 숙주질환의 분류

  19. 만성이식편대숙주질환: 위험인자 • 조직적합성항원 불일치 • 이전에 급성이식편대숙주질환이 발생한 환자 • 고령 • 나쁜 예후 인자 • 혈소판 감소 (< 10만) • 점진적으로 발생 (RR=4.1), • 피부 경화증 (RR=2.2), • 혈청 빌리루빈> 1.2mg/dl (RR=2.1), • 9개월 간 치료해도 반응이 없을 때 • 6년 생존율 : 2개 이상(20%),1개(43%),0개(70%)

  20. 치료 • 예방적 항생제, 항바이러스제, • 구강위생, 타액 및 안액점안, • 영양발란스, 썬크림, 국소스테로이드크림 • 제산제, 항 H2-제제 • 사이클로스포린 A + 스테로이드 • Thalidomide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