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8

4 th The basic of RF

4 th The basic of RF. ByungJoo Kang. IMD ( Intermodulation Distortion : 혼변조 왜곡 ) Intermodulation 으로 인해 발생한 왜곡신호 혹은 그 왜곡 신호의 크기를 의미 Fundamental 과 IM3 와의 차이 두신호의 차이 값에 – 부호를 붙여서 dBc 단위로 표현 IMD 신호 자체는 낮을수록 좋다 . IMD 신호가 낮을수록 선형성이 좋다는 의미 !. IMD, P1dB, IP3 의 이해.

tauret
Download Presentation

4 th The basic of RF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ByungJoo Kang 4th The basic of RF ByungJoo Kang

  2. IMD (IntermodulationDistortion : 혼변조 왜곡) • Intermodulation으로 인해 발생한 왜곡신호 혹은 그 왜곡 신호의 크기를 의미 • Fundamental 과 IM3와의 차이 • 두신호의 차이 값에 –부호를 붙여서 dBc단위로 표현 • IMD신호 자체는 낮을수록 좋다. • IMD신호가 낮을수록 선형성이 좋다는 의미! ByungJoo Kang IMD, P1dB, IP3의 이해

  3. P1dB (1dB Gain Compression Point : 1dB 이득압축점) • Gain이 1dB 줄어든 점에서의 출력전력을 읽은 것 ByungJoo Kang IMD, P1dB, IP3의 이해

  4. IP3 (Third Order Intercept Point : 3차 교차점) • IP3 는 fundamental 과 IM3 가 같은 전력이 되어버리는 가상의 전력점 • IM3 성분의 증가율이 fundamental 신호의 전력증가율보다 높다 • 왜 IM3 는 fundamental 에 비해 빠르게 증가할까? • dB 스케일상에서 IM3 는 fundamental 에 비해 3배의 기울기를 가지고 증가 • IP3 값은 클수록 좋다! • 왜 IP3 점과 fundamental 신호와의 전력차이가 IMD/2 일까요? ByungJoo Kang IMD, P1dB, IP3의 이해

  5. IIP3와 OIP3 • IIP3 (Input IP3), OIP3 (Output IP3) • OIP3 = IIP3 + Gain • OIP3 : Drive amp, Mixer, Power Amp • IIP3 : LNA, Down Mixer ByungJoo Kang IMD, P1dB, IP3의 이해

  6. IP3의 측정 • OIP3 = Output Power + IMD/2IIP3 = OIP3 – Gain • OIP3, IIP3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IMD를 측정 • 정해진 offset을 가진 two-tone source (즉 두 개의 주파수입력)을 DUT에 입력 • two tone source의 offset 주파수는 CDMA의 경우 1.23 또는 1.25MHz의 차이를 둔 채 입력 • 출력단spectrum을 보면서, fundamental 주파수 출력전력과 IM3 출력전력 값에 marker를 찍어서 그 두 전력값을 각각 읽는다. • 두 marker의 차이, 즉 IMD를 계산 • Output Power와 IMD 값을 통해 OIP3, IIP3를 계산 • OIP3는 어떤 전력점에서 측정하더라도 이론적으로 항상 같은 값으로 유지 • OIP3 점은 이론적으로 P1dB 보다 9.6 dB 높다 ByungJoo Kang IMD, P1dB, IP3의 이해

  7. Power Amp (PA, 전력증폭기)는 어려워~ • 제작의 난이도가 높다. • 전력(W, dBm)을 출력시킬 수 있는가? • 신호의 크기 • large signal을 다루게 되는 PA에서는 3차 IMD 가 선형적으로 증가하지 않는다는 점 • 춤추는 IMD • P1dB가 20~30dBm 급 • FET보다 BJT ByungJoo Kang Power Amp와 ACPR

  8. ACPR (Adjacent Channel Power Ratio) • CDMA에서 OIP3대신 사용하는 PA의 선형성 규격 • ACP : 자기채널과 누설전력레벨과의 차이 • ACPR : 자기채널 전력은 1.23(1.25)MHz를, 옆채널 전력은 30kHz의 대역폭에서 평가 • ACPR측정 = ACP + 16dB ByungJoo Kang Power Amp와 ACPR

  9. ACLR (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 • 유럽측IMT2000 규격인 WCDMA에선 ACLR사용 • ACLR = 자기채널 – 옆 채널누설전력과의 차이 ByungJoo Kang Power Amp와 ACPR

  10. ACPR과 OIP3 • 설계상에서 ACPR을 어떻게 예측하느냐의 문제 • ACPR은 CDMA 변조된 신호입력에 의한 PA의 출력형상을 나타내야 한다. • IMD 신호와 ACPR은 정확한 연관관계가 정의되지 않는다. ByungJoo Kang Power Amp와 ACPR

  11. 선형성의 개념으로 돌아가라! • 선형성이 무엇인가를 정확히 파악하자! • 선형성은, 불필요한 신호를 억제하여 남의 신호와 서로 간섭하지 않기 위함이다. • 불필요한 신호는 Tr, Diode와 같은 비선형소자의 비선형성에 의해 발생한다. • 비선형성으로 인한 주요한 방해결과물은 IMD 신호이다. • 이 IMD 신호는 harmonic의 조합이다. ByungJoo Kang 선형성을 올리자!

  12. Low Pass Matching • 출력단에서는선형성을 위해 위와같은LPF 형태의 매칭구조를 애용 • Tr에 아무런 매칭없이 바이어스만 걸었을 때의 S21(gain) • LPF형태의 매칭단을 출력에 추가 ByungJoo Kang 선형성을 올리자!

  13. Low Pass Matching • 1.81GHz의 출력 임피던스점을 정중앙(50옴)으로 끌어옴으로써 그 주파수에서 이득이 최고가 되도록 매칭 • 출력단에서하모닉을필터링해 버릴  수 있기 때문 ByungJoo Kang 선형성을 올리자!

  14. Harmonic Termination • 선형성이 결국 하모닉과 관련되어 있으니 하모닉 주파수를 없애버리는 방법 • notch filter (Band reject/stop filter)로 응용 • S파라미터 결과는 1.8GHz의 주파수를 통과시키지 못하게 하는 공진회로 ByungJoo Kang 선형성을 올리자!

  15. Degeneration • 매우 강력한 선형성 확보 방법 • Tr의 접지단에 inductor를 달 게 되고 BJT라면 emitter에, FET라면 source에 주로 달게 된다. • 발진제거와 매칭성능 향상. Butgain감소. • Tr을 통과하는 신호들의 전체적인 level을 낮추는 역할 ByungJoo Kang 선형성을 올리자!

  16. Back Off • back off란 p1dB보다 3~5dB 낮은 지점에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선형성을 확보하는 것 • Feedback • 출력쪽에서 왜곡 또는 왜곡의 원인이되는 성분을 추출하여 입력단에서 보상시키는 방식 • Predistortion • diode의 비선형 곡선 특성을 이용하여, 고의적으로 Tr과 반대되는 비선형성을 만들어 입력 ByungJoo Kang 선형성을 올리자!

  17. Feedforward • feedback의 반대개념 • 출력신호를 일부 커플링하여추출한후, 원래의 입력 신호에서 이 커플링 신호를 빼면 fundamental은 사라지고 IMD에너지들만 -방향으로 남게 된다. 이 신호를 error amp로 뻥튀기해서 다시 출력단 끝에서 합쳐 버리면 IMD를 빼는 것처럼 되어 결국 IMD가 제거된다. ByungJoo Kang 선형성을 올리자!

  18. 선형성을 높이는 3가지 방법 • 발생된 하모닉을 제거한다 • 발생된 IMD를 역으로 보상하여 제거해준다. • 비선형 특성을 미리 보정하여 입력시킨다. ByungJoo Kang 선형성을 올리자!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