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0 likes | 717 Views
Sustainable Construction. CHAPTER 2. Background. High-performance green building delivery system. • Three major forces ( 세가지 주요영향력 ) - 지구생태계 파괴 가속화 - 천연자원에 대한 수요의 증가 - 친환경 건축 운동은 환경친화적인 접근법을 채택한 제조업 , 관광 업 , 농업 , 의학 그리고 공공부문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들과 동 일한 맥락
E N D
Sustainable Construction CHAPTER 2 Background
High-performance green building delivery system •Three major forces (세가지 주요영향력) - 지구생태계 파괴 가속화 - 천연자원에 대한 수요의 증가 - 친환경 건축 운동은 환경친화적인 접근법을 채택한 제조업, 관광 업, 농업, 의학 그리고 공공부문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들과 동 일한 맥락 ex.. 제록스 사, ELV(유럽의 폐 자동차 처리 지침), 포드 자동차
※ 강철은 높게 재활용되는 우수한 자재이며,몇몇의 건물에 사용된 강철은 거의 100퍼센트 손쉽게 재활용 가능하다.
•Basic Concepts and Vocabulary (기본개념과 어휘) - 지속 가능한 개발(sustainable development) - 산업 생태학 (industrial ecology) - 건설생태학(construction ecology) - 생태동화적 자연감응 또는 생체 모방(biomimicry 바이오미미크리) - 환경을 위한 설계(design for the environment) - 환경경제학(ecological economics) - 환경수용력(carrying capacity) - 생태발자국 또는 생태 족적(ecological footprint) - 생태적 배낭(ecological rucksack) - 생명애 가설(the Biophilia Hypothesis) - 생태효율(eco-efficiency) - the Natural Step - 전 생애 환경영향 평가제(life-cycle assessment) - 체현 에너지(embodied energy) - 생애주기 비용분석(life-cycle costing) - 사전예방의 원칙(the Precautionary Principle) - Factor 4(자원을 반으로 줄이고 효율은 두 배로 올리는 것), Factor 10
•지속 가능한 개발(sustainable development) - 미래의 세대들에게 질 높은 삶을 보장해주기 위한 여러 노력 - Bruntland Report(1987) 환경과 인간 삶의 질이 경제실적 만큼이나 중요하다고 주장 인간, 자연, 경제 시스템은 상호의존적 Our Common Future (우리의 일반적인 미래)
• 산업 생태학 (industrial ecology) - 산업시스템과 생태시스템 안에서의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상호작용과 상호연관성을 연구(산업공생을 시범한 산업 생태학의 기본적인 개념) 석고공장 덴마크칼룬트버그의 생태산업단지 기름정제소 전력발전소 시멘트공장
•환경을 위한 설계 (design for the environment) - 제품과 과정공학 절차와 환경적 고리를 통합 하고 전체 제품 수명 주기를 고려하는 것 • 분해를 위한 설계 • 재활용을 위한 설계 • 재사용을 위한 설계 • 제조 그리고 다른 용도를 위한 설계
•생태경제학(환경경제학) Ecological Economics - 자연에 의해 제공받는 건강에 좋은 자연시스 템과 무료물자와 서비스가 경제 성공에 필수적 - 인간경제와 자연생태계 사이의 관계를 다루는 지속 가능한 개발의 근본적인 필요조건 - 인류의 문화적, 도덕적 공헌뿐만 아니라 자연 이 물자, 에너지, 서비스, 쾌적함을 제공해 주는 것도 중요시함
•환경수용력(carrying capacity) - 특정토지의 사람들과 그들의 활동을 부양할 수 있는 한계를 정의 하는 것 - 한정적인 천연자원을 가지고 현재세대와 미래세대를 위해 자연적,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환경을 퇴화 시 키지 않으면서 정해진 구역 안에서 유지될 수 있는 사 람의수 - 고정적이지 않고 인구증가를 동반하는 압력들에 의해 악화되는 쪽으로 변화 - 환경이 퇴화됨에 따라 환경수용력은 줄어들고 환경은 더 이상 지속 가능한 원리에서의 구역에 이전에 살고 있었던 사람조차 수용할수 없게 됨
•생태발자국 (ecological footprint) - 특정 인구나 활동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대지 - 환경수용력과 반대로 주어진 인구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토지의 양 - 지속 가능한 개발이라는 맥락에서 해결되어야 할 궁극적인 문제는 어떻게 모든 사람이 생명 그 자체를 유지시켜주는 지구의 시스템을 파괴시키지 않으면서 상당히 질이 높은 삶을 누릴 수 있을 것인가 하는 것
•생태적 배낭(ecological rucksack and MIPS) - Wuppertal Institute의 Friedrich Schmidt-Bleek에 의해만들어짐 - 특정 자원을 추출하기 위해 옮겨져야 하는 물질의 질량을 수량화 하는 것 • 개념은 특정인간 행위들에 기인하는 번영은 오직 천연 자원의 파괴에 의해서만 성취 된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발전되었으며 이러한 행동들이 환경 손상에 책임이 있으므로 추출된 물질들이 배낭 또는 추출 짐을 지고 있는 것으로 말할 수 있다고 제시하고 있다 생태적 배낭의 몇몇 잘 알려져 있는 재료
•생명애 가설(the Biophilia Hypothesis) 하버드 대학의 저명한 곤충학자 E.O Wilsom은 인간은 자연과 생명이 있는 것들에 연결되려는 욕구와 갈망을 가지고 있다고 제시하며인간의 자연애호와 우리가 생명과 살아 있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음을 제한하기 위함 지속 가능한 건물을 위한 폭넓은 설계 템플릿(template)을 제공하는 생명 애의 9가지 가치 (1)공리주의 가치:인간의 다양한 욕구와 갈망을 만족시키기 위해 자연을 개발하는 것에서 인간이 끌어내는 물질적 이익 (2)심미적 가치:자연의 물리적 아름다움에 대해 주로 강렬한 즐거움을 느끼는 감정적 반응을 (3)과학적 가치:자연의 생물물리학적 패턴, 구조와 기능에 대한 체계적 연구 (4)표상적 가치:의사소통과 사고에 있어서 자연을 활용하는 인간의 경향 (5)자연주의적 가치:사람들이 자연과 야생에서의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 얻는 많은 만족감들 (6)인본주의적 가치: 동물들을 돌보고 동물들과 친밀해지는 인간의 능력 (7)지배적 가치:자연을 정복하고 통제하려는 욕구 (8)도덕주의적 가치:인간 이외의 세계를 향한 옳고 그른 행위 (9)부정론적 가치:인간이 자연에 대해 가지고 있는 반감, 두려움, 혐오의 감정들
•생태효율(eco-efficiency) 1992년 WBCSD(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세계경제협회)에의해 시작된 생태효율의 개념은 제품의 수명주기에 걸쳐서 지구의 추정되는 환경 수용력과 상응하는 수준까지 점진적으로 생태적 영향과 자원집중을 줄여나가면서 인간의 욕구를 만족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경쟁 적으로 가격이 매겨진 재화와 서비스의 전달하는 의미로 봄 WBCSD에 의해 정의되는 생태효율의 7가지 구성요소 상품과 서비스의 원료수요량 감소 상품과 서비스의 에너지 강도감소 독성의 분산 감소 재료의 재활용 강화 지속 가능한 자원의 사용강화 생산품 내구성 확장 상품과 서비스의 서비스 강도증가
-생태효율의 4가지 측면 1) 비물질화(Dematerialization): 기업들은 물질 흐름을 지식흐름으로 대체시키 는 방법 개발 2) 폐쇄생산루프(Closing production loops): 자연의 생물학적 설계는 지속가능성을 위한 역할 모델 제공 3) 서비스 확장(Service extension): 세계는 공급 주도형 경제에서 수요 주도형 경제로 변화 4) 기능적 확장(Functional extension): 기업들은 새롭고 향상된기능성을 가진 더 스마트한 제품들을 만들고 제품의 기능적 가치를 높이기 위한 서비스를 판매 - 기업이 생태효율 이익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 ◆ 최적화 과정(Optimized processes): 비용이 많이 드는 배출구(end-of- pipe)해결 책에서 오염을 처음부터 방지하는 접근법으로 이동 ◆ 쓰레기 재활용(Waste recycling): 한 산업에서의 부산물과 쓰레기를 다른 산업에 서의 원자재와 자원으로 사용하여 쓰레기를 만들지 않음 ◆ 친환경혁신(Eco-innovation): 옛 제품들을 생산하고 사용하기에 좀 더 자원효율 적인 것으로 만들기 위해 새로운 지식을 사용하여 "더 스마트 " 한(smarter) 제품을 만듦 ◆ 새로운 서비스들(New services): 예를 들어, 제품을 판매하기보다 임대하는 것으 로 이것은 기업들의 인식을 변화시키고 제품의 내구성과 재활용으로의 변화를 촉 진 시킴 ◆ 네트워크와 가상 조직(Networks and virtual organizations): 자원의 공유는 물 질적 자산의 효과적 사용을 증가시킴
• The Natural Step - 인간의 건강에 물질선택이 미치는 영향 (물질들이우리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관례를 제거하기 위해 따라야 할 기본원리들을 제시) ☞ Four Systems Conditions 1) 지구의 지각으로 부터 추출된 물질들의 농도증가에 영향을 받아서는 안 된다. 2) 사회에 의해 생산된 물질들의 농도증가에 영향을 받아서는 안 된다. 3) 과도한 수확이나 다른 형태의 생태계조작으로 인해서 피폐해 져서는 안 된다. 4) 자원을 공평하고 효율적으로 사용
•전생애 환경영향 평가제 (Life-Cycle Assessment) - 물질, 제품 또는 심지어 전체 건물이 그것의 전체 삶 에 있어서 가지는 환경 효과와 자원 효과를 측정하는 방식 ※ 평가 과정 자원의 추출 – 제조과정 - 건물에서의 설비 – 최종 처분 (추가적으로 추출에서 처분까지 구성성분들을 수송하는데 필요한 자원) • 건물에서의 어떤 아이템의 성능(효율)을 단순히 검사하기보다는 물질 선택 결정의 모든 영향을 심사하는 중요하고도 포괄적인 접근법
•생애주기 비용분석(Life-Cycle Costing) - 비용/이익 분석인 생애주기 비용분석은 건물 의 예상 수명을 매해에 실시 한다. - 이 시스템은 자본회수가 소유자의 경제적 기 준에 부합하는가의 여부로 결정됨. 환경적 영향 (LCA) + 재정적 영향 (LCC)
•체현 에너지(Embodied Energy) - 원자재의 획득과 가공에 소비되는 총 에너지 - 체현에너지 많이 가지고 있는 제품일수록 환경적으로 영향을 미침 - 이용된 횟수와 내구성에 따라 체현 에너지는 더 낮아짐 ※ 알루미늄 높은 체현에너지 – 매우 높은 내구성 – 사용횟수가 많음 - 낮은 체현 에너지
☞ 재활용된 알루미늄의 체현 에너지는 10%☞ 재활용된 강철의 체현 에너지는 20%
• 사전예방의 원칙 (The Precautionary Principle) “어떤 행위가 인류 건강이나 환경에 해악이 되는 위협으로 작용하면 몇몇 인과 관계가 과학적으로 완전히 확립되지 않았다 할 지라도 사전예방의 원칙이 적용되어야 한다.” ※ 사전예방의 원칙의 4가지 1) 사람들은 손상을 막기 위해 앞을 내다보고 행동을 할 의무 2) 무해하다는 것을 증명해 보이는 책임 새 기술, 과정 등을 지지하는 사 람들 또는제안하는 사람들에게 책임 3) 새로운 기술, 과정, 또는 화학물질을 사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활동을 시작하기 전에, 사람들은 대안으로서 그러한 것을 하지 않는 경우를 포 함 해서 모든 범위의 대안을 검토해야 할 의무 4) 사전예방의 원칙에 적용하는 결정들은 개방되어야 하고, 정보가 제공되 어야 하고, 민주적이어야 하며 영향을 받는 관계 당사자들을 포함해야 한다.
• Factor 4 , Factor 10 (자원을 반으로 줄이고 효율은 두 배로 올리는 것) ☞ 지속 가능하게 살아가기 위해서는 자원 소비를 현재 수준의 1/4로 급격히 줄여야 한다 - 전통적인 설계에서 사용 100%- 정확한 사이즈의 설비들을 사용 10%
- 친환경건물이 널리 수용되는 것의 최종 목표는 인간 활동에 의해 야기된 지구 생태계에 가해지는 막대한 압력을 완화시키는 것 • 환경과 자원에 대한 주요 걱정(근심, 관심) • 기후변화 • 오존 고갈 • 흙의 부식 • 살림벌채 • 사막화 • 부영양화 • 산성화 • 생물 다양성의 손실 • 땅 물과 공기 오염 • 유독물질의 분산 • 어업의 고갈 ▲ 지속 가능한 건축 방법들에 초점을 맞춰 다루어진 주요 환경적 이슈
•기후변화과 오존 고갈 - 기후 변화란 온도,강수량,바람 지구기후의 다른 모든 요소의 오랜시간동안의 변화 -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1998년에 UN과 WMO에 의해서 설립 - 지구 표면온도는 20세기에 걸쳐서 0.6±0.2℃ 정도 상승 - 지구 평균해수표면은 2100년쯤에 0.09~0.88M까지 오를것으로 예상 • 조건의 종류 • 온난화 지역에 따라 다름 • 2) 강수량의 증가와 감소 • 3) 극적인 기후변화현상의 횟수 • 와 강도 • 4) 기후에 다양함에 변화 - 온도의 심한 변화에 의한 피해 1. 더욱경렬한 폭풍우 2. 해수면의 상승 3. 빙하의 해빙 4. 음식공급처에 영향을 줌 5. 생물의 다양성을 감소시킴 6. 삶의 질을 급격히 떨어진다.
1985년에 과학자들은 미국대륙만한 큰 구멍을 남극오존층에서 발견했다. - 1999년 쯤 그 구멍의 크기는 두 배가 되었다. -1987년의 UN 몬트리올의정서는 오존 파괴화학물질 생산을 멈추는 것을 최종목표로 하는 국제적인 협약 - 몬트리올 의정서가 국제 사회에서 성실히 수행된다면 오존층은 2050년 경에는 완전히 재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생 지구상의 방사 오존 고갈 가능성 염소 염소 가스는 냉각제에 사용됩니다. 브롬 불 억압 시스템의 안에 있는 염소 가스 표 2.5는 오존층, 파괴 주번에 대해서 요약하고 있다. 가스는 전형적인 빌딩 기능을 위해 이용했습니다. 냉각과 불 억압
•살림벌채, 사막화, 토양의 침식 - 자연 우림은 전세계의 생물다양성의 반을 포함하고 있다고 예상 - 살림파괴는 매우 빠른 속도로 이루어짐 → 매초 2에이커 만큼 열대 우림이 사라짐. → 온대지역의 숲은 1년에 약 1000만 에이커의 숲을 잃음 → 전체 땅 면적의 1/3이 숲으로 이루어져있으나 지구상의 숲의 절반은 사라짐. - 살림벌채의 부정적인 결과 → 생명의 다양성 감소, 지구 온난화, 토양침식,사막화 → 살림을 지키는 가능성과나무들의 이산화탄소 저장을 막음. → 1850∼1990년 사이에 세계적인 살림파괴 때문에 134억만 톤 이산화탄소 방출 → 토양의 부식, 산사태와눈사태를 방지 못함. → 큰규모의 살림파괴는 알베도에 의해서 지구표면온도와 표면수 증발등 형태를 변화 시키며 에너지를 바꿈.
그림 2.5이 플로리다 북부 개발지와 같은 산림의 황폐화는 동물 서식지를 파괴하고 토양침식을 야기하며 생물다양성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 친환경 건축물 기준은 지속 가능하게 관리되고 있는 산림에서 생산된 목재 품을 사용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사진: M.R. Moretti.)
- 살림파괴에 의한 토양침식,땅파괴 부정적 결과 → 표토의 20억톤 이상은 인간의 농업과 임업토지 개발 때문에 매년 손실. → 토지의 50억 에이 커(20억 헥타르)이상지역은 지금 퇴화시킴 - 사막화 원인- 건조하고 반 건조한 지역 땅의 파괴 막하 형성을 막는 자연의 생장하는 커버의 파괴 상황 - 1996년에 형성되었고 179개 국에 의해 비준된 사막화 방지협약에서는 2억 5천만 명의 사람들이 사막화에 직접적으로 영향 받는다고 보고합니다. 사막화 되기 쉬운 건조 지역은 지구의 표면의 40% 포함하고 생존을 위해 이 땅에 의존하는 100개국 이상에 있는 11억명의 민족을 위험에 처해 있게 하는 것이다.
그림 2.6 아프리카 니제르 남부의 사막화 현상으로 토지뿐만이 아니라 지역 마을들도 소멸되고 있다.
•부영양화 - 강·바다·호수에서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함으로써 영양물질이 많아지는 현상 → 조류성장을 촉진, 조류 꽃을 피워서 그것이 햇빛을 막고 수중의 잔디 를 죽게 함 → 물고기와 게와 같은 수중종류의 생존에 필요한 융해되었던 산소를 부패하는 조류가 더 많이 이용함 → 호수나 해저를 생명을 없게 만듦 → 전세계 다수의 수로의 파괴 → 보올트해에서, 거대한 조류 꽃이 활짝 필 때는 요즘 보통 드물게 따 듯한 여름 후에 물의 깊이는 15피트에서 10피트까지 깊이가 줄어든 게 눈으로 모인다.
농업 유거수(流去水), 도시 유거수, 정화조 시스템의 누수, 하수 배출, 부식된 호안그리고 이와 비슷한 원인들로 영양소와 유기 물질들의 수생(水生) 시스템으로의 유입이 증가될 수 있다. 그로인해 조류 증대를 지나치게 자극하고 부영양화를 초래하며 호수와 하구의 휴양적 기능을 저해하고 건강과 재래 어류, 식물, 동물 개체의 다양성에 불리하게 작용한다. (사진: M.R. Moretti.)
•산성화 - 대기 오염으로 공기 중에 이산화황이나 질소산화물과 같은 오염물질이 존재하기 때문에 화석연료를 태우는 것에 의해 대기권에 풀려나 산으로 바뀌는 과정 → 산성비는 숲과 호수에 엄청난 손해 및 피해 → 해안생태계, 땅, 심지어 옛날 역사의 기념비에 피해 → 미생물에게 해를 끼침 → 먹이사슬에 심각한 영향을 미침 → 중금속의 방출을 일으킴 → 동물,물고기와 다른 수중동물과 식물의 삶에 민감한 영향 ★ 탈황 시스템의 설치를 강요하고 화석 연로로서 석탄의 사용을 못하 게 한 유럽 지령의 결과 유럽은 1990년 상당한 산성비에 감소를 경험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99년 설문조사에 의하면 유럽에 있는 숲 대부분 산성화 악영향 때문에 모든 나무의 약 25%가 손상되었다고 발견했다.
•LOSS OF BIODIVERSITY (생물 다양성의 손실) ▶ 생물의 종류 - 지구상에 존재하는 500만 내지 1억 의 종류 중 170만 종류가 기술되고 (다루어지고) 있다. - 삼림벌채와 기후의 변화는 급속한 멸종의 원인이 되며,몇몇의 생물학자들은 20년 후에는 현존하는 종류의 20%이상의 상실을 예측 하고 있다. - 50만 이상의 종류를 간직 하고 있는 열대 우림 에서의 삼림파괴는 특히 파괴적이다. - 한번 잃어버린 종류는 인간의 힘으로 되돌릴 수 없으며, 그리고 새로운 음식, 의약, 다른 기술의 잠재적 원천 을영원히 잃을 수 있다. - 이러한 생태계의 파괴는 각종 질병벡터의 자연의 통제력을 방해하여 전염성 질병의 발생과 퍼짐에 기여 하고 있다.
•TOXIC SUBSTANCES AND ENDOCRINE DISRUPTORS (유독 물질과 내분비 교란물질 또는 환경호르몬 ) - 인간이 무언가를 발명하려는 성향의 위험한 부산물 중 자연에는 유사한 물질이 없는 생물학적 체계에 독성으로 작용하는 많은 양의 화합물을 만들어 내고 있으며, - 미국에서 합성으로 생산된 화합물질의 비율은 1940년에는 1년에 100만 톤이었던 것이 1987년에는 1년에 1억2천5백만 톤으로 증가하였다. - U.S. Public Interest Research Group (PIRG) Education Fund의 최근의 보고에 따르면 다음과같은 화학물질의 양이 2000년에 대기 중에 배출되었다고 되어있다. 암 유발 화학물질;1억 파운드(염화 메틸렌이 가장 빈번하게 배출), 톨루엔과 같은 발육장애와 관련된 화학물질1억3천800만 파운드, 이황화탄소 5천만 파운드, 호흡기에 유독한 화합물질 17억 파운드, 다이옥신 7000그램, 분해하기 어려운 유독 물질; 납(275,000파운드), 납 화합물(130만 파운드), 수은(30,000파운드), 수은화합물(136,000파운드)
•Thy Green Building Movement(친환경 건축 운동) - Built environment 가 생물권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 다른 인간의 노력 보 다 직접적이며 복합적이며 오래 지속된다. - 미국 국내총생산(GDP)의약8%를 차지하는 건설산업은 미국에서 추출된 원료의 약40%를 소비하고 있으며, - 이제까지 추출된 모든 원료의 90%가 오늘날의 건물들과, 관계되는 시설 에 존재한다고 추정하고 있다. - 미국에서 매년 건축과 철거에서 발생되는 약 4500만 톤의 쓰레기 중에 서 건축 중 발생하는 잔여물 들의 낭비와 함께 약92%가 철거로 생겨나 고 있다. 표2.8) 미국에서 건축과 철거로 연간 발생하는 폐기물은 대략 1억4천5백만 톤 즉, 1인당 0.5톤으로 추정된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은 해체되도록 설계되지 않기 때문에 철거 물질 중 아주 적 은 비율만 재활용될 수 있다. 2004년 중반 플로리다 대학의 법대 도서관의 부분 철거는 개조 프로젝트에서 전형적으로 평방피트당 70파운드의 폐기물의 양이 발생됨을 보여주는 예이다. (사진: M.R. Moretti.)
- 도시계획에 의한 도시개발은 미국에서 운송이 에너지소비의 40%를 차지하고 있으며 직장, 가정, 학교, 쇼핑장소로의 이동을 위해 자 동을 이용 해야 하고, 이는 소비의 불균형, 대기오염, 지구온난화의 원인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킨다. - CHAPTER ONE 에서 지적되었듯이, green building (친환경건물) 이란 용어는 지속 가능한 건축의 원리와 방법론을 사용하여 만들어진 실제건물의 질과 특성을 가리킨다.
•GREEN BUILDING ORGANIZATIONS- UNITED STATES (친 환경 건물 조직들(단체들)-미국) - 지속 가능한 건축의 실행을 활성화 시키고 있는 미국의 주요 조직들에는 U.S. Green Building Council (미 녹색건물 위원회 USGBC ;워싱턴소재 ), the U.S. Energy (미국자원부),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미 환경보호국 ), Department of the National Association of Home Builders(주택건축업협회), the Department of Defense(미국방부), 등과 그 외의 다른 공공 기구들과 비 영리기업 들이 있다. - 그 중 Interface, Inc,.(인터페이스 사)의 회장 Ray Anderson 은 전통적인 카펫타일 제조에서 상업생태학에 기반을 둔 경영철학이 적용된 카펫타일의 생산회사로의 전환과 지속가능성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려는 Anderson회장의 노력은 다른 업체들에게 경쟁을 부추기게 되었다. - USGBC의 LEED 친 환경건물 인증을 신청하는 건물의 수가 1999년 시작 된 후 2003년에는 457개의 건물들로 매년 두 배로 증가해 오고 있다. - 미국 주택건설업자 협회는 800여 업체에게 친 환경건물 프로그램의 실행을 지원하는 월간회보 ”Environmental Building News” 를 발행 하고 있다.
•GREEN BUILDING ORGANIZATIONS-INTERNATIONAL (친 환경 건물 조직들-국제적) - 국제 친 환경 건물운동은 Conseil International du Batiment(CIB); 로테르담에 기반을 둔 건축 리서치 네트워킹조직과, International Union for Construction Materials, Systems, and Structures; ( 건축자재, 시스템, 구조 전문가들의 국제조합;RILEM) 의활동 덕분에 1990년대 초반에 충분한 발달을 이루었다. - 비교적 신생 조직인 International Built Environment (iisBE)는 친 환경건물의 정보센터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2년마다 열리는 Green Building Challenge (환경논의의 핵심적 역할을 하는 세계적 민간단체) 와, 2002년 노르웨이의 오슬로 에서 개최된 Sustainable BuildingConference를 조직하고 모범적인 건축물들의 평가 수단인 Green Building Tool (GBT)을 사용 국제적인 지속 가능한 건축평가를 촉진 하고 있다. - 2002년 미국자원부의 후원을 받은 다음 5개 분야의 모범적인 친 환경건축물 들을 제출한 바 있다. 1.소매상, 2. 사무실, 3. 학교, 4. 다가구주택, 5. 관청/실험실
• HISTORY OF THE U.S. GREEN BUILDING MOVEMENT(미국 친 환경 건물 운동의 역사) - 1970년 Earth Day(지구의 날)이 시작 되었고 미 환경보호국이 생겼으며 이 두 가지 사건은 모두 미국의 친 환경 건축운동의 중요한 철학적 변화를 나타낸다. - 1970년대 초의 Oil-shocks(오일쇼크) 에 의해 확대되고 더 나아가 에너지효율성, solar technologies(태양과학기술), retrofitting homes, 단열재가 있는 상업건축물, Energy Recovery System, 등에 있어서 대중의 관심을 불러모았다. • 미국에서 지속 가능한 건축이 최근 UIA (국제 건축가연맹) 와 AIA (미국건축가협회) 는 Architecture at the Crossroads 이라 불리우는 합동회의를 개최하고 공동성명서를 발표함으로써 부활되었다.(1993년 6월 시카고) - UIA/AIA World Congress of Architects는 지속 가능한 개발을 촉진 하기 위한 원리규범과 실천규범을 명확히 밝혀놓은 the Declaration of Interdependence for a Sustainable Future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상호의존 선언문) 을 발표했다.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상호 의존선언문 표 2.9) 국제건축가연명(UIA)과 미국건축가협회(AIA)가 1993년 시카고에서 공동으로 발표한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상호의존 선언문은 고성능 친환경 건축물 운동의 역사에 있어서 중요한 사건 중 하나였다.
뉴욕 시 에 있는 Audubon House를 1992년에 개조한 것은 현대 친 환경건물운동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초기노력의 일환이었다. 그 조직은 환경운동의 리더로서 자신들의 가치를 반영하려 했고, Croxton Collaborative의 건축가인 Randy Croxton에게 가장 환경 친화적이고 에너지 효율적인 방식의 설계를 요구했다. 표2.10)뉴욕시의 Audubon House는 Audubon Society의 본부로서 Croxton Collaborative에 의해 설계되었다. 현대 미국 친환경 건축물 운동의 시작을 의미하는 프로젝트 중 하나이다.
자연광의 도입 (B) (지붕, 천장의) 채광창을 이용한 책상 조명 (Croston Colaborative의 사용승인 받은 사진)
- 미국에서 최초로 많이 광고 된 친 환경건물 프로젝트인 Greening of the White House (백악관의 친 환경화)는 1993년에 시작되었고 ,백악관을 가로질러있는 600,000 평방피트의 구조물인 구 행정부청사를 개조 하는 것이 포함되었다. 1년에 30만 달러의 에너지, 845톤 의배기량감소로 전국적 관심을 불러모았다. 표2.11)“백악관의 친환경화“는 최초로 널리 광고된 연방 정부 친환경 건축물 프로젝트였다. (View by View사의 허가를 받은 삽화)
1990년대 초반과 중반에 친환경건축물 또는 지속가능 의 설계에 대한 여러 중요한 지침들이 등장했다. - 1992년 처음 발행된 Environmental Building News, • 1994년 미국 건축가협회(AIA)는”Environmental Resources Guide”를 처음으로 발행 한데 이어 1996년 좀더 상세한 버전을 발간, • 1994년 국립공원 관리청에 의해 “ Guiding Principles for Sustainable Design, (지속 가능한 설 계의 지도 원리) ” • 1996년 미국자원부와 Public Technology사 에 의해 “ Sustainable Building Technical Manual (지속 가능 한 건축물 기술설명서) ”가 공동으로 계발되고 출간 되었다. - USGBC가 1993년 형태를 갖추고 1994년 3월에 첫 번째 주요 회의를 개최한 이후,
- 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LEED) 초기 기준이 제시되었다. - USGBC의 LEED 건축물 등급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는 4년이 걸렸고 - LEED 1.0 버전으로 알려진 1998년 test version (시험버전) 에서 시스템의 개발이 완성 되었다. 그것은 엄청난 성공을 거두었다. - LEED 2.0 이 2000년도에 나왔고 최대69개의 credits(인증) - LEED 2.1 - LEED– NC 2.1 (New Construction을 포함하는 버전) - LEED-EB (현존하는 건축물에 적용) - LEED-CI (상업 인테리어에 적용) - LEED-H (주택에 적용) - LEED-CS(미 국방부건물개조 프로젝트;Pentagon renovation project)
•SUMMARY AND CONCLUSIONS (요약과 결론) - 건설산업은 사전대책을 강구해서 행동하고, 낭비적이고 유해한 환경에서 건축과 자연이 적대적이기보다 상승 작용적으로 나아갈 수 있는 패러다임 으로 신속하게 방향을 바꿀 특별한 의무를 가지게 되었다. - 지속 가능한 이 새로운 모델은 high performance green building (고성능 친 환경건축물) 이라고 불린다. - USGBC 의 LEED 건축물 평가기준은 최종 (결정적인) 지침으로서 미국과 여러 국가에서 친 환경 건축물에 대한 파라미터 (매개변수,요소) 를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다. - 비슷한 다른 경제부문에서도 일제히 일어나고 있다. - 제품과 건축물을 자연시스템과 닮은 방향으로 재설계, • 삶의 질의근원이 바로 자연 이라는 인식도 항상 가지 고 있어야 한다.
주제어(Key Words) • 1.생태학적 건축물(Eco Building) • 2.지속 가능한 건축물 (Sustainable Intensive Building) • 3.IT(Information Technology) 의 발달을 앞서가며 유비쿼터스(Ubiquitous) 환경의 각종 센서들과, 자연과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생태건물의 관리자로 동참하게 되며 쾌적한 작업,주거환경을 조성한다. • 4.이중외피로 만들어지는 녹화된 공간은 반 외부공간으로 휴식공간을 제공하며, 건축물내부의 이산화탄소 등의 발생으로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킨다. • 5.사계절 녹화에 필요한 에너지는 우수,지열,태양전지(Solar Cell) 를 이용하므로 지구 환경에 긍정적으로 대처한다.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연구배경 • 생활환경측면에서 기존건축물 들은 에너지소모 형,자원낭 비 형의 인공환경으로서 건축물 자체가 환경 오염의 주체 가되고있다. • 에너지 해외의존도가 90%를 초과하는 우리나라에서 전체에 너지사용량의 35%를 건축물이차지하고있는 실정이다. • 즉 자원과 에너지 그리고 생태계 를 고려하지않은 개발위 주의 건축행위는 도시를 오염시키고 자연환경을 파괴하여 인간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고 있다. • 가속화되고있는 지구온난화와 관련하여 교토의정서 (1997.12)의 기후협약서 내용에는 자동차 배기가스 각종공 장에서 배출되는 지구환경을 위협하는 물질에 대하여 구체 적으로 기술하고 있으며 • 에너지관리공단 에서는 이에 따른 대책회의가 2004.10.- 12 있을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