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 likes | 596 Views
VMWare 와 페도라 설치. 가상머신의 개요 VMWare의 특징 및 설치 가상머신 생성 페도라 설치 VMWare의 유용한 기능. 실제 컴퓨터와 달리 소프트웨어로 모방한 가짜 CPU, 가짜 RAM, 가짜 HDD 등으로 구성된 컴퓨터 가상 하드웨어에 운영체제를 설치할 수 있는데 , 실제 컴퓨터에 설치된 운영체제를 호스트 운영체제 , 가상머신에 설치된 운영체제를 게스트 운영체제라 함. 가상머신 유틸리티는 가상머신을 생성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종류 : 마이크로소프트
E N D
VMWare와 페도라 설치 • 가상머신의 개요 • VMWare의 특징 및 설치 • 가상머신 생성 • 페도라 설치 • VMWare의 유용한 기능 한빛미디어(주)
실제 컴퓨터와 달리 소프트웨어로 모방한 가짜 CPU, 가짜 RAM, 가짜 HDD 등으로 구성된 컴퓨터 가상 하드웨어에 운영체제를 설치할 수 있는데, 실제 컴퓨터에 설치된 운영체제를 호스트 운영체제, 가상머신에 설치된 운영체제를 게스트 운영체제라 함 • 가상머신 유틸리티는 가상머신을 생성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 종류: 마이크로소프트 사의 버추얼 PC, VMWare 사의 VMWare 등
VMWare Workstation 5.5 설치를 위한 최소 사양 • 실제로는 인텔 펜티엄 1.5GHz 이상 및 512MB 이상의 RAM을 포함해야 원활히 수행 가능 • 다수의 가상머신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 메모리(RAM)는 많을수록 좋음
VMWare의 특징 • 하나의 PC에서 재부팅 없이 다양한 운영체제를 설치하여 사용 가능 • 하드디스크와 같은 컴퓨팅 자원을 임의대로 추가 혹은 삭제 가능 • 가상머신이 파일로 존재하기 때문에 파일 복사만으로 시스템을 백업 가능 • 컴퓨터의 현재 상태나 특정 시점을 저장해두고 문제가 발생하면 완벽하게 저장된 시점으로 복원 가능 • VMWare를 다운로드하기 위해서는 회원 가입을 해야 하며, 회원 가입시 등록한 이메일로 설치 시 필요한 인증 번호가 전송됨
실습 2-1 호스트 운영체제 윈도우에 VMWare 설치하기 • VMWare 프로그램 더블 클릭→ 환영 화면에서 <Next> 클릭 • 라이선스 동의 후 <Next> 클릭 → VMWare 설치 폴더 선택 후 <Next> 클릭 • 단축 아이콘 설정 후 <Next> 클릭 • 자동 실행 비활성화 후 <Next> 클릭
VMWare 사이트 가입시 등록한 이메일로 전송된 일련번호 입력 실습 2-1 호스트 운영체제 윈도우에 VMWare 설치하기 • 설치 준비 완료 화면에서 <Install> 클릭 • 설치가 진행 후 바탕화면에 VMWare 단축 아이콘 생성됨 • 등록 화면을 채우고 <Enter> 클릭 • 설치 완료 화면에서 <Finish> 클릭
실습 2-1 호스트 운영체제 윈도우에 VMWare 설치하기 • VMWare 설치 완료 후 바탕화면의 VMWare 단축 아이콘 더블 클릭해 실행한 화면
실습 2-2 기본적인 가상머신 만들기 • VMWare 메뉴의 [File]-[New]-[Virtual Machine] 클릭 → 가상머신 마법사 실행 화면에서 <다음> 클릭
실습 2-2 기본적인 가상머신 만들기 • Typical 선택 후 <다음> 클릭 • 리눅스와 버전 선택 후 <다음> 클릭
실습 2-2 기본적인 가상머신 만들기 • 가상머신의 이름과 가상머신이 생성될 폴더 이름 설정 주의: D:\host 대신에 내문서를 사용하시오. 즉, VMWare가 기본적으로 내문서를 사용하니, Virtual machine name만 입력하고, Location을 바꾸지 마시오. • 네트워크 형식 선택
주 패널 명령 패널 장치 패널 참조 패널 실습 2-2 기본적인 가상머신 만들기 • 하드디스크의 크기를 8GB로 선택 후 <마침> 클릭 • 가상머신 완성
페도라 리눅스 설치 준비 • 페도라 리눅스 다운로드 • http://fedoraproject.org/wiki/ • http://ftp.kreonet.re.kr/pub/Linux/fedora/core • ftp://ftp.kaist.ac.kr/pub/fedora/linux/core • VMWare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정보 획득 • VMWare의 [Edit]-[Virtual Network Settings] 메뉴 선택 → Virtual Network Editor 창에서 [NAT] 탭 선택
실습 2-3임베디드시스템 실습용 가상머신으로 주변 장치 수정 • VMWare 화면에 생성된 가상머신 host를 위한 명령 패널에서 Edit virtual machine settings 선택 • 메모리를 256MB에서 512MB로 확장 : [Hardware] 탭에서 Memory 항목 선택 후 오른쪽의 메모리 정보의 256을 512로 수정 → <OK> 클릭 • SCSI 형식의 하드디스크 삭제 : Edit virtual machine settings 선택해 가상머신 설정 화면의 왼쪽에서 Hard Disk (SCSI 0:0) 선택 후 <Remove> 클릭 • ~ ⑦ IDE 하드디스크를 추가 : 가상머신 설정 화면에서 <Add> 버튼 클릭 → 하드웨어 추가 마법사에서 <다음> 클릭 → Hard Disk 선택 후 <다음> 클릭 → Create a new virtual disk 선택 후 <다음> 클릭 → 하드디스크 유형 선택 화면에서 IDE 선택 <다음> 클릭 → 용량(8GB) 설정 후 <다음> 클릭 → 실제 저장될 파일명(예를 들면 ide0-0.vmdk) 입력 후 <마침> 클릭 • 직렬 포트 추가: ⑤ 화면에서 Serial Port를 선택 <다음> 클릭 → 직렬 포트 형식과 포트 번호 Use physical serial port on the host와 COM1로 선택 후 <마침> 클릭 • 병렬 포트 추가: ⑤의 화면에서 Parallel Port를 선택 후 <다음> 클릭 → 병렬 포트 형식과 포트 번호를 Use physical parallel port on the host와 LPT1로 선택 후 <마침> 클릭
실습 2-4운영체제가 설치 안된 가상머신의 부팅 및 종료 • VMWare의 [VM]-[Power]-[Power On] 메뉴 선택 • 가상머신의 구동 과정이 끝나기 전에 재빨리 마우스를 가상머신 내부 화면으로 옮겨 몇 번 클릭→[F2] 키를 몇 번 누름 →실제 컴퓨터와 똑같은 BIOS 설정 화면 확인 • BIOS 설정 화면에서 빠져나올 때는 BIOS의 [Exit]-[Exit Saving Changes] 메뉴를 선택해 부팅 매체를 검색. 부팅 매체가 없으므로 오류 메시지가 나타나며 부팅 중단 • [Ctrl] + [Alt] 키를 눌러 가상머신에서 호스트 컴퓨터로 이동 • VMWare의 [VM]-[Power]-[Power Off] 메뉴를 선택하면 가상머신 종료
실습 2-5VMWare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정보의 획득 • VMWare의 [Edit]-[Virtual Network Settings] 메뉴 선택 • [Virtual Network Editor] 창에서 [NAT] 탭 선택 → 가상 게이트웨이, 가상 라우터, 가상 DNS가 모두 192.168.233.2이며, 넷마스크는 255.255.255.0임을 확인 주의: 책에서는 192.168.233.2이지만, 여러분의 PC는 233 부분이 다를 것이다. 즉, 192.168.XXX.2 형태. 앞으로 계속 233 대신에 여러분의 PC에서 관찰된 숫자 XXX를 사용한다.
페도라 리눅스 ISO 파일 중 첫 번째 파일인 FC-4-i386-disc1.iso 선택 실습 2-6 가상머신에 페도라 리눅스 설치하기 • 가상머신에서 [host] 탭 선택 • 장치 패널에서 CD-ROM 더블 클릭해 다음과 같이 설정 실습실 PC에서 페도라 리눅스 CD는 c:\class\fedora 폴더에 있음
실습 2-6 가상머신에 페도라 리눅스 설치하기 • VMWare의 [VM]-[Power]-[Power On] 메뉴 선택 • 가상머신이 부팅되기 시작하면 가상머신 안에서 마우스 클릭 • 초기 화면에서 그래픽 모드로 설치하기 위해 <Enter> 클릭 • CD 이미지의 이상 유무 점검 창에서 <Skip> 클릭
실습 2-6 가상머신에 페도라 리눅스 설치하기 • 일반적인 설치 화면에서 다음과 같이 설정 - 하드웨어 몇 가지를 점검한 후 환영 메시지 화면에서 <Next> 클릭 - 설치할 언어: 한국어 선택 - 키보드 선택 화면: 영어 선택 - 설치 유형 화면: 워크스테이션 선택 • 파티션 분할 설정 화면에서‘Disk Druid를 통한 수동 파티션 설정’선택 → 하드디스크 초기화 경고 창에서 <예> 클릭
실습 2-6 가상머신에 페도라 리눅스 설치하기 • ~ ⑪ 다음과 같이 파티션 설정
실습 2-6 가상머신에 페도라 리눅스 설치하기 ⑫ 부트로더 설정 화면에서 <다음> 클릭 ⑬ ~ ⑮ 네트워크 설정 192.168.XXX.100 입력 192.168.XXX.2 입력
실습 2-6 가상머신에 페도라 리눅스 설치하기 방화벽 설정 16
실습 2-6 가상머신에 페도라 리눅스 설치하기 일반 설정 화면에서 다음과 같이 설정 - 시간대 설정: 서울 선택 - 6자 이상의 루트 사용자 비밀번호 입력 - 패키지 설치 기본 화면에서 기본 소프트웨어 패키지 설치 선택 설치 시작 화면에서 <다음> 클릭 → 필요한 설치 매체 창에서 <진행> 클릭 → 페도라 리눅스 설치 시작 17 루트비밀번호: 123456 사용 18
실습 2-6 가상머신에 페도라 리눅스 설치하기 설치 도중 CD-ROM 교체 메시지가 나타나면 <확인> 클릭 → <Ctrl>+<Alt> 키를 눌러 호스트 시스템으로 이동 → VMWare의 오른쪽 하단에 있는 CD-ROM 아이콘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 후 [Edit] 메뉴 선택 → CD-ROM 디바이스 창에서 <Browse> 클릭해 FC4-i386-disc2.iso 선택한 후 <OK> 클릭 → 3번과 4번 CD도 같은 방법으로 처리 19
실습 2-6 가상머신에 페도라 리눅스 설치하기 다음과 같이 설정 - 설치 완료 화면에서 <재부팅> 클릭 - 설정 시작 화면에서 <다음> 클릭 - 라이선스 화면에서 동의 후 <다음> 클릭 - 날짜와 시간 설정 후 <다음> 클릭 - 화면 해상도를 기본값으로 설정(추후 변경 가능) - 일반 사용자 추가 화면에서 적절히 입력 - 추가 CD 화면에서 <다음> 클릭 • 설정 완료 화면에서 <다음> 클릭 로그인 화면에서 사용자 이름(root)과 열쇠글 입력 후 <Enter> 클릭 20 일반사용자 id: fedora password: fedora 입력 21
페도라 리눅스 X 윈도우 화면 • [프로그램] 메뉴를 클릭해 게임, 그래픽, 시스템 도구, 인터넷, 프로그래밍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 실행 • 시스템 종료: [데스크탑]-[로그아웃] 메뉴에서 “컴퓨터 끄기” 항목 체크 후 <확인> 클릭 • 시스템 강제 종료: [Ctrl] + [Alt] 키를 눌러 가상머신에서 빠져나온 후 VMWare의 [VM]-[Power]-[Power Off] 메뉴 선택
호스트/게스트 운영체제 사이의 파일 공유 • VMWare 도구 설치 • VMWare 도구를 사용한 공유 폴더 설정 • VMWare 도구를 사용한 파일 공유 • 가상머신 복제하기 • 커널에 심각한 오류가 발생한 경우 다시 운영체제를 설치하지 말고 복제한 가상머신을 복구시킬 수 있음 • 스냅샷의 사용 • 특정 시점의 가상머신 상태를 사용자가 지정한 이름으로 저장해 두었다가 해당 시점으로 되돌아갈 수 있는 스냅샷(snapshot) 기능을 사용 가능
실습 2-7VMWare 도구 설치 가상 CD-ROM을 Use Physical Drive로 바꾸고 할 것 • 가상머신을 부팅한 후 루트 사용자로 로그인 • [Ctrl] + [Alt] 키를 입력해 호스트 시스템으로 이동 • [VM]-[Install Vmware Tools] 메뉴 선택 → 팝업 창에서 <Install> 클릭 • 가상머신의 바탕 화면의 CD-ROM 아이콘이 Vmware Tools로 바뀌면 더블 클릭 • CD-ROM의 내용 중 VMWareTools-5.5.1-19175.i386.rpm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후 [Install Packages 프로그램으로 열기] 메뉴 선택 • 시스템 업데이트 메시지가 나타난 후 “시스템 준비 완료” 창 표시→ <계속 진행> 클릭 후 설치 진행 과정 관찰 • 가상머신의 바탕 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 후 [터미널 열기] 메뉴를 선택 → 터미널이 열리면 vmware-config-tools.pl 명령 실행→교재 91페이지를 참조해 값 선택
실습 2-8/9VMWare 도구를 사용한 공유 폴더 설정 D 파티션 대신 내문서 폴더 사용 • 호스트 시스템의 D 파티션에 공유 폴더 생성(xhyper270) • VMWare의 [VM]-[Settings] 메뉴 선택 → 가상머신 설정 화면에서 [Options] 탭 클릭→ Shared Folders 항목을 선택 • 가상머신 설정 화면에서 <Add> 클릭 → 공유 폴더 추가 마법사 화면에서 <다음> 클릭 → 공유 폴더의 이름 입력(<Browse> 버튼을 이용해 공유할 폴더를 선택 후 <다음> 클릭) • 공유 폴더 속성을 묻는 마법사 화면에서 Enable this share를 체크한 후 <마침> 클릭→가상머신 설정 화면의 오른쪽에 생성된 새로운 공유 폴더 관찰 • 교재를 참조하여 VMWare 도구를 사용한 파일 공유 테스트
실습 2-11/12스냅샷 기능으로 특정 시점을 저장, 복구 • VMWare에서 host 가상머신 선택 • [VM]-[Snapshot]-[Take Snapshot] 메뉴 선택 →스냅샷창이 표시됨→스냅샷 창에 스냅샷의 이름과 설명을 입력 후 <OK> 클릭 • [VM]-[Power]-[Power Off] 메뉴를 선택해 가상머신 강제로 종료 • [VM]-[Snapshot]-[Snapshot Manager] 메뉴 선택 • 스냅샷 관리자 창에서 스냅샷 선택 후 <Go To> 클릭 • 스냅샷 시점으로 복원하는 과정이 진행→가상머신이 스냅샷 해둔 시점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확인. 복원 중 “드라이버가 준비되지 않음”과 같은 경고 창이 나타나면 <계속> 클릭
실습 2-10VMWare 도구를 사용한 가상머신 복제 D 파티션 대신 내문서 폴더 사용 • 호스트 시스템의 D 파티션에 host-backup 폴더 생성 • [VM]-[Power]-[Power Off] 메뉴 선택 • [VM]-[Clone] 메뉴 선택 → 가상머신 복제 마법사 화면에서 <다음> 클릭 • 복제할 시스템의 현재 상태를 물으면 <다음> 클릭 → Create a full clone 선택 후 <다음> 클릭 • 복제 가상머신의 이름 입력→ 복제 가상머신이 위치할 장소를 D:\host-backup로 선택 • 복제 과정 진행 → 복제가 끝나면 가상머신 화면에서 복제 가상머신 이름(Clone of host)의 탭이 하나 추가됨 강제 종료 대신 화면상단 데스크탑 로그아웃 컴퓨터 끄기 선택 D 대신 내문서 폴더 사용
가상머신(Virtual Machine)은 가상 하드웨어, 즉 물리적 하드웨어로 구성된 실제 컴퓨터와 달리 소프트웨어로 모방한 가짜 CPU, 가짜 RAM, 가짜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된 컴퓨터다. • 실제 컴퓨터에 설치된 운영체제를 호스트 운영체제(Host Operating System), 가상머신에 설치된 운영체제를 게스트 운영체제(Guest Operating System)라 한다. • VMWare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특징이 있다. • 재부팅 없이 다양한 운영체제 사용 • 컴퓨팅 자원의 임의 추가 혹은 삭제 • 단순한 파일 복사로 시스템을 백업 • 특정 시점에 시스템 저장 및 복원 • VMWare에 페도라 리눅스를 설치할 때는 가상머신 생성, 페도라 리눅스 ISO 파일, VMWare에 의한 네트워크 정보 등을 미리 준비한 후 VMWare의 [VM] → [Power] → [Power On] 메뉴를 선택해 설치한다. • 페도라 리눅스에는 최소한 2개의 파티션(루트 파티션과 스왑(swap) 파티션)이 필요하다. 스왑파티션은 일반적으로 메모리 용량의 2배 정도가 적당하다. • 호스트/게스트 운영체제 사이에 파일을 공유하기 위해 VMWare 도구를 설치해야 한다. • 스냅샷은 현재의 운영체제 상황을 백업한 후 추후 언제든지 백업한 위치로 되돌릴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