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 likes | 519 Views
인터넷 사용 , 전자상거래와 E- 뱅킹의 도시 - 비도시 차이 Urban-Rural Differences in Internet Usage, e-Commerce, and e-Banking: Evidence from Italy. 2011. 10. 20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무역학과 박사과정 1 학기 권 오 덕. 개요. 외진 지역에서 격리된 경제 활동의 수행비용을 줄임으로써 정보 기술은 도시집합체의 대체 역할 , 이탈리아 가구의 인터넷 , e- 커머스 , e- 뱅킹이용 자료를 이용하여 가설을 평가
E N D
인터넷 사용, 전자상거래와 E-뱅킹의 도시-비도시차이Urban-Rural Differences in Internet Usage, e-Commerce, and e-Banking: Evidence from Italy 2011. 10. 20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무역학과 박사과정 1학기 권 오 덕
개요 • 외진 지역에서 격리된 경제 활동의 수행비용을 줄임으로써정보 기술은 도시집합체의 대체 역할, 이탈리아 가구의 인터넷, e-커머스, e-뱅킹이용자료를 이용하여 가설을 평가 • 가설의 결과는 인터넷이 거리감(the role of distance)을 줄인다는 논쟁을 지지하지 않음, 인터넷은 비도시 사람들보다 도시 사람들이 훨씬 더 많이 사용 • E-커머스의 사용은 기본적으로 살고 있는 도시 규모에 영향을 받지 않음, 은행을 선택할 때, 비 도시 소비자들은 도시의 소비자들보다 개인적인 친분 을 훨씬 더 중요시 함
1. 도입 • 인터넷이 경제 활동에서 거리의 중요성을 줄인다는 것은 흔한 주장. 외곽 지역에서 격리된 경제활동의 수행비용을 줄임으로써, 인터넷은 도시집합체를 대체할 역할 • 세계화 이론, 거리(distance)의 죽음, 도시의 죽음 그리고 인터넷/도시 대체품 논쟁과 같은 주제로 다양하게 문헌에 소개 • Espiritu(2003) - 연관성에서 도시/지방의 차이 또는 비도시지역의 개인은 상대적으로 더 가난하고 덜 교육 받았다는 사실에서 기인 할 수 있는 반면, 추가적인 어려움은 인터넷의 다 목적 성질에서 유추 • Gasper와 Glaeser(1998) - 거리의 죽음 이론은 면대 면 대화를 조장하는 짝 찾기 사이트처럼 두 당사자의 상호 교환에 대해서는 맞지 않음
1. 도입 • e-커머스와e-뱅킹은 인터넷이 도시를 대체할 수 있다는 가설 → 수많은 결점(거리는 만지고 느끼는 소비자들의 선호 또는 결제 및 배송 단 계에서 외곽 지역의 비효율성에 영향, 인터넷에서는 금융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원 스탑 이코노미는 소비자들의선호에제한을받을 수 있음.) • 정보 기술에 대한 2002 SHIW(가구 소득과 부의 조사)의 특별 부분에서 나온 이탈리아 가정에서의 정보 사용 논문은 2가지 주요 목표 ① 도시 규모와 인터넷, e-커머스, e-뱅킹의사용과의 관계 분석을 통한 도시의 죽음 논쟁에 대한 실증적인 근거 평가의 시도 ② 반대로 사실 요점에서의 증거이자 목표는 지정학적으로 외곽 지역의 소 비자들은 도시 지역 소비자들 보다 왜 e-커머스와e-뱅킹을 사용하지 않 는 이유를 검토
2. 선택 문헌 리뷰 · 지정학적 차이 - 많은 문헌의 주요 주제 (일반적인 관점, Greenstein and Prince 2006; Leamer and Storper 2011) · 국가간 차이 – Dasgupata, Somik, Wheeler(2001), Antonelli(2003), Pohjola(2003)의 분석 → 북아메리카와 유럽, 아프리카와 아시아, 그 외 지역 사이에 인터넷 침투에 관한 큰 차이 (소득, 인적자원, 통신커뮤니케이션 사회 기반시설의 차이에 서 기인)를 밝힘 · 국가 내 지역적 차이의 증거 – 캐나다(Dryburgh 2001), 포르투갈(Nunes 2004), 스페인(Billon Curras, Lera Lopez 2004), 중국(Qingxuan, Mingzhi 2002)에서 수집 · ICTs(정보통신기술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를 통 한 지역적 경쟁의 성취는불평등을 악화시키는 장기적인 위험에서 많은 장애 와 애로(병목)투성이라는 점 - Camagni와 Capello(2005)의 논쟁
3. 인터넷 사용 • Toffler(1980)와 Baisbitt(1995) – 정보 기술의 확산을 관찰한 초기의 연구자, 작은 도시와 큰 도시를 위한 필 요의 끝(the end of need)을 예측. 도시는 상품의 운송비와 아이디어 공유 비용을 줄이고 정보기술 역시 운송과 커뮤니케이션 비용을 낮추기 때문에 도시의 전형적인 기능을 대체가능 • Cairncross(1997) – 거리의 죽음은 앞으로 50년 이상 사회전반을 구성하는 단 하나의 가장 중요한 경제력이 될 것 • 인터넷의 침투와 가능성은 거리감을 줄이지 못할 것이라는 지각(知覺) · Kolko(2000) - 국가수준에서 상업 인터넷 도메인(.com)정보를 사용, 도메 인 사용 정도는 대도시가 높음을 발견. · Gaspar, Glaser(1998) – 인터넷이 e-mail 혹은 짝찾기 사이트와 같이 두 당사자를 연결 할 때, 도시를 대체하지 않을 수 있음. · Sinai와 Waldfogel(2004) – 거리의 죽음 이론이 정보수집 측면에서는 약화 되었을 수 있다
4. 데이터 • Bank of Italy가 2년에 한번씩 약 8000가구를 대표샘플로 표집한가구 소득과 부의 조사(Survey of Household Income and Wealth-SHIW) • SHIW의 특징 · 인구통계학 및 경제적 측면의 표준 정보, 정기적으로 모든 wave를 측정 · American PSID나 CPS에 의해 수집된 정보와도 유사 · 주어진 주제에 집중한 특정 집단을 다수 내포 • 조사에 응한 75%는 적어도 가족구성원 중 한 명은 인터넷을 사용. 그러나 e-커머스와e-뱅킹은 훨씬 적게 퍼져있음. 15%만이 조사 연도에 인터넷을 통해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 5%만이 e-뱅킹을사용 • 344개 이상의 도시에서 표본 조사실시
4. 데이터 도시규모 측정은 ISTAT의 2001 인구조사 소규모 도시(20,000명) 중간 규모(20,000~40,000명) 대규모 도(40,000~500,000명) 대형 도시(500,000명 이상) 샘플의 8,011가구의 분포 소규모 도시 29% 중간 규모 18% 대규모 44% 대형 도시 8%
5. 인터넷, e-커머스, e-뱅킹 사용의 데이터 분석 • 인터넷 사용 · 인터넷 사용에서 도시와 지방의 차이 평가를 중심 · 표3은 표집된3,009 가구의 인터넷 사용의 개연성에 대한 도시 규모의 효 과를 프로빗(probit)으로 나타냄 - 질문 : 집 또는 다른 곳에서 가족 구성원 중 인터넷(또는 e-mail)을 사용 하나요? 대답 :“예” 라면 종속 변수에 1을 줌. - 1열은 도시 인구의 수준, 북부, 중앙, 남부를 비교적 큰 이탈리아의 연합지 역(macro-regions)로 한 지정학적 가표집을 제외한 통제에 대한 종속 변 수의 회귀를 포함. · 연합지역이 여러 면에서 많이 다름. - 예로, 남부는 일반적으로 가난, 큰 도시 센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PC와 인터넷 망이 다른 지역에 비해 덜 기부되었음. 큰 번화가와 도시가 지배적인 중부는 PC와 최상의 인터넷 망뿐만 아니라 인터넷 사용과 관련된 면(높은 수준의 사회적 자금 등)을 많이 보유)
5. 인터넷, e-커머스, e-뱅킹 사용의 데이터 분석 - 표3에서 도시규모와 인터넷 사용의 부분적인 상관관계는 분명, 통계적으로 1%수준에서 유의미. 이는 죽음의 이론에 대한 증거. - 기록된 계수는 인터넷 사용의 개연성에 대한 인구수준(백만 명)의 미미한 변화의 결과. 플로렌스(374,501명)에서 로마(2,281,469명)로 이사한 사 람에대해 도시 규모의 영향을 산출 할 수 있음. - 인터넷 사용의 개연성은 16%까지 증가했으며, 20~25% 사이는 표본의 평 균 ·가정 속성에 관찰된 차이에서 기인한 도시 규모와 인터넷 사용 사이의 상관 관계 정도의 분석 – 2열의 설명은 연령 가장의 교육수준, 가정소득과 가구에 서 아이들의 존재를 가정한 표집의 가정-수준 통제를 포함. - 도시 인구 수준에 대해 측정된 계수는 가구의 특성이 계산된 후, 인터넷 사 용에 대한 도시 규모의 효과를 측정. 가족의 소득과 아이들의 존재 둘 다 강 력하게 인터넷 사용과 관련이 있는 반면 연령은 관련이 없다는 것은 보임. (Hindman 2000)
5. 인터넷, e-커머스, e-뱅킹 사용의 데이터 분석 - 교육수준 : 가장이 고등학교와 대학교를 졸업한 가정은 초등학교까지만 졸 업한 가정보다 10%와 15% 더 인터넷을 사용. - 가정요소를 통제함으로써 인터넷 사용에 대한 도시규모의 효과는 매우 조 금 감소한 미미한 효과를 가짐. · 3열과 4열 : 도시 규모 측정방법과 이자율의 가변성은 상당히 밀접한 관계가 있음.각 수준에서 조건은 Charlot과 Duranton(2004)에 따라 도시화 경제를 더욱 잘 나타내는 기록(the log)에서의 조건으로 대체될 수 있음. - 표3에서 도시규모의 효과는 확실히 중요한 요소임. - 인구 가변성이 비선형임을 확인 할 수 있는 가 표집 시리즈(중간 규모의 도시, 큰 도시, 대형도시, 작은 도시와 마을의 카테고리 삭제)로 바꿀 수 있 음. 즉 도시규모의 효과는 대도시에서 더욱 크게 나타남.
5. 인터넷, e-커머스, e-뱅킹 사용의 데이터 분석 · Ciccone(2002) – 갈수록 세세한 공간적 고정 효과의 도입은 공간적으로 관 련되고, 누락된 변수를 통제할 수 있도록 함. 5열과 6열은 20개 지역과 103주 를 지리적으로 통제하여 각각 2열의 회귀를 바탕으로 재평가. 도시규모의 분 명한 효과는 현저히 지속. - 가구들은 외부적으로 도시로 배치되지는 않으며, 도시규모와 인터넷 사용 의 분명한 상관관계는 범 도시적인 가구의 “선택적인 이동”에서 나타날 수 있음. 인터넷 사용이 높은 가구는 인구가 더 많은 지역으로 옮기는 경향이 있음→ 실질적인 도시 또는 시의 규모효과보다는 눈에 띄지 않는 인터넷 사용 경향이 부분적으로 반영될 수 있음. · 공간 구분 문제 – 가장의 출생지에 대한 SHIW 정보를 이용하여 평가 - 가장이 출생지에서 일하거나, 다른 곳으로 이주하여 일을 하는 것에 따른 소득차이로부터 공간적인 구분을 감지할 수 있음. 설명 변수가 이동한 가장 에 대해 동등하게 가 표집 변수에 영향을 미칠 때, 공간 구분은 크게 관련이 없다고 나타남.
5. 인터넷, e-커머스, e-뱅킹 사용의 데이터 분석 · 도시규모와 인터넷 사용 사이의 상관관계는 확실한 것처럼 보이는 반면, 도 시 규모에서 인터넷 사용을 하는 인과 관계로 해석될 수 있음. - 측정수단으로 반드시 도시규모에서 관찰된 계수를 설명해야 하나 인터넷 사용 상황과는 연관성이 없음. · Ciccone(2002)는 선결변수인 도시 면적을 도시 인구의 측정 수단의 바탕으 로 제안. 8열은 도시면적을 사용하여 얻은 Ⅳ 평가치의 결과를 포함. 제거된 변수 편견(bias)은 제한적으로 중요하다.(limited importance) · 인터넷사용에 대한 결과물은 인터넷과 도시의 대체가설에 반박하는 강한 증거를 제공.
5. 인터넷, e-커머스, e-뱅킹 사용의 데이터 분석 • e-커머스 · 이탈리아 소매업 분야의 점포 밀집도는 현저히 도시지역이 높음. 무역잡지 Largo Consumo – 대형기관(1,500제곱미터 이상)의 82%가 대도시 지역에 위치. 가장 가까운 오프라인 샵을 대체할 만 한 곳에서 더 먼 소비자 는 인터넷을 통해 상품과 서비스를 살 가능성이 높음. · 표4는 한 가구가 인터넷을 통해 산 상품과 서비스의 개연성에 대하여 도시 규모의 효과로 평가한 probit으로 표3과 동일한 구조. - 1열은 대규모 지역 가 표집을 통제하여, 도시 규모와 e-커머스 사이의 부 분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냄. - 통계학적으로 확실하지 않은 한계효과(0.018)의 긍정적인 상관관계 - 가구에서 식별 가능한 차이의 통제는 한계 효과를 감소시킴
5. 인터넷, e-커머스, e-뱅킹 사용의 데이터 분석 - 인터넷 사용, 연령 영향, 가정 내 아이가 있는 것과는 달리 소득과 교육은 e-커머스와 강력한 상관관계가 있다. - 지속적인 인구 계수를 도시 규모의 가 표집으로 대체하는 것은(4열) 대도시 의 거주자들이 훨씬 더 큰 규모로 e-커머스를 사용함을 보임. -열5에서 7열의 조건은 가구가 거주하는 곳이 공간적으로 관계있는 누락된 변수 또는 공간적 구분으로 보는 도시의 e-커머스의 사용과 또는 도시 규 모의 상관관계의 부재를 보임. -마지막으로 8열은 이 결과가 도시 규모가 도시 면적으로 측정되었을 때에 적용할 수 있음을 보인다
5. 인터넷, e-커머스, e-뱅킹 사용의 데이터 분석 - 왜 외곽 지역의 소비자들은 도시의 소비자들보다 더 e-커머스를 사용하지 않는 것일까? → Cairncross(1997) 인터넷 쇼핑을 하는 경향은 비용과 편리 성의 문제뿐 아니라 문화와 공공시설 구축에도 있다 ① 인터넷 사용 기회에 대한 지식은 결여되었을 것이다. ② 비용 결제 부분 또는 배송 서비스에서 비효율이 있을 수 있다. ③ Kshetri(2001) - 높은 수준의 서비스는 도시 지역에서 더욱 순조롭게 이 용 가능한 것에 반해, 이러한 장애물은 외곽지역에서 e-커머스의 가능성 을 위태롭게 할 것이다. ④ Borenstein, Saloner(2001) - 다른 문제는 직접 보고 만지는 쇼핑의 선호 이다. 소비자들은 구매 전에 상품을 직접보고 감별하기를 원한다.
5. 인터넷, e-커머스, e-뱅킹 사용의 데이터 분석 - 2002 SHIW에서 온라인 쇼핑의 잠재적인 장애물의 역할을 조사하기 위한 e-커머스를 사용하지 않는 가구들(1,915)에게 물은 질문 “왜 인터넷으로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지 않는가?” 대답 : ① 내가 물건을 사기 전에 상품을 보고 싶지 않아서 ② 결제 사기나 구매한 제품을 받지 못 할까봐 ③ 비싼 배송비 ④ 하는 방법을 잘 몰라서 회귀(regression)에대한 이 4가지 옵션(다중 선택 가능) 독립변수는 표5와 같음.
5. 인터넷, e-커머스, e-뱅킹 사용의 데이터 분석 - 각각의 가능한 답변에 대해 표5는 추가적인 통제(표에서 언급 안됨)는 연령, 아이들, 소득, 교육 dummies, 세가지 지역 통제(잠재적 동기, 표4의 열2~4와 동일한 3가지 조건)인데 반해(While), 인구, 인구의 기록(log), 도시 인구의 측 정으로서의 도시규모 dummies를 각각 이용하여 획득한 결과 - 외곽지역의 소비자들은 구매 전까지 직접 상품을 볼 수 없다는 사실 때문에 인터넷 구매에 의욕이 떨어진다(1열). 대도시에서 세부 지역들을 비교하면, 이 동기는 불균형적으로 e-커머스에 작은 장애물. - e-커머스에서 인터넷/도시 대체이론은 지역 서비스 지원 부족, 결제의 불안 요소 또는 배송 사기 때문에 도시의 소비자들이 비도시 소비자들보다(2열) e-커머스를 더 우려하는 원인인 반면, 배송비는 도시의 규모(3열)와는 아무 관련이 없다. - 도시규모는 지식의 결여 원인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4열)
5. 인터넷, e-커머스, e-뱅킹 사용의 데이터 분석 - 표5는 e-커머스가 잘 알려진 제품 혹은 모든 관련 정보가 디지털 형식으로 쉽게 전환되는 제품에는 최상의 사용이 가능하다는 결과를 보임. - 표6은 e-커머스를 사용하는 311가구 샘플에 의해 인터넷으로 사는 상품유형에 대한 회귀를 살펴봄. → 상품의 카테고리 ① 음식 ② 여행 및 호텔 ③ 레저 및 문화 ④ 컴퓨터와 전자제품 ⑤ 가정 집기류 및 서비스 ⑥ 개인적 상품 및 서비스
5. 인터넷, e-커머스, e-뱅킹 사용의 데이터 분석 - 레저활동과 문화 상품 및 서비스(3열)는 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e-커 머스로 더욱 활발히 구매하는 제품들. - 효과는 통계적으로 중요하지 않을지라도, 외곽 지역의 소비자들은 인터넷 을 통하여 여행 및 호텔(2열)을 예매하고, 개인적 상품과 서비스(6열)를 도 시 소비자들보다 활발히 구매함. - 결과로 인터넷으로 음식을 사는 것은 도시 대도시 지역에서는 엄격하게 제 한적임. - 대체로 표5와 표6은 주로 구매에 필요한 정보가 인터넷에 의해 쉽게 디지 털 형식으로 적용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e-커머스에서 거리의 죽음 이 론이 몇 가지 장애와 맞닥뜨리게 된다는 것을 강조.
6. 결론 • 길이 아닌 선으로 연결된 이웃을 만들어냄으로써 인터넷은 경제적 지리학에 혁신을 일으킴, 도시 집합체에 대한 대체로서 인터넷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 • 인터넷 사용, e-커머스, e-뱅킹에 대한 이탈리아의 가정-수준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설을 분석 • 도시를 대체하는 인터넷의 가능성은 제한적 ① 인터넷은 도시소비자들이 비 도시 소비자들보다 더 자주 사용됨. ② e-커머스의 사용은 가구가 위치한 도시 규모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음. ③ e-뱅킹은 도시 규모와 전혀 상관없음. - 가구의 특성을 통제한 후, 도시 규모를 측정하는 방법에 의존하지 않 고, 공간적으로 관련 있는 제거된 변수로 도출하지 않고, 공간 구분에 관여되지 않으며, 도시 규모가 내생변수와 계기로 취급 받지 않을 때 그 결과들이 유효
6. 결론 • e-커머스: 외곽 지역 소비자들은 물건을 사기전까지 직접 볼 수 없다는 사실 때문에 인터넷 쇼핑을 꺼리나, 레저활동과 문화 상품은 고립된 지역에서 e-커머스 활동이 가장 높은 유일한 상품 및 서비스 • e-뱅킹: 은행 선택 시, 비 도시 고객은 지인을 통하여 선택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 비 도시 고객은 그들의 계좌가 있는 은행에서 더 자주 대출을 받음. 가정과 소규모 사업자가 대출관행에서 받는 미확인 정보의 역할을 강조하는 이론과 일치 • 연구의 제시된 결과는 장기적 조정보다는 단기 수정일 수 있음.
부족한 부분은 보완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