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 likes | 935 Views
영양섭취기준 (Dietary Reference Intakes: DRI). 4 가지 항목으로 구성 1) 평균필요량 ( EAR : Estimated Average(Median) Requirement) 대상 집단을 구성하는 건강한 사람들의 절반에 해당하는 사람들의 1 일 필요량을 충족시키는 값 대상집단의 필요량 분포치 중앙값으로부터 산출 에너지의 필요량은 섭취량과 소비량이 균형을 이루어 체중증가를 일으키지 않는 상태의 에너지 섭취량 개인의 에너지필요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우므로
E N D
영양섭취기준(Dietary Reference Intakes: DRI) 4가지 항목으로 구성 1) 평균필요량(EAR: Estimated Average(Median) Requirement) • 대상 집단을 구성하는 건강한 사람들의 절반에 해당하는 사람들의 1일 필요량을 충족시키는 값 • 대상집단의 필요량 분포치 중앙값으로부터 산출 • 에너지의 필요량은 섭취량과 소비량이 균형을 이루어 체중증가를 일으키지 않는 상태의 에너지 섭취량 • 개인의 에너지필요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우므로 에너지 필요추정량(Estimated Energy Requirement: EER)이라는 용어를 씀 2) 권장섭취량(RNI: Recommended Nutrient Intake) • RNI = 평균필요량(EAR) + 표준편차의 2배(2SD) • 표준편차에 대한 충분한 자료가 없을 때에는 변이계수를 10%로 가정 • 인구집단의 97~98%에 해당되는 사람들의 필요량을 충족시키는 양
영양섭취기준(DRI) 3) 충분섭취량(AI: Adequate Intake) • 영양소 필요량에 대한 정확한 자료가 부족하거나, 필요량의 중앙값과 표준편차를 구하기 어려워 권장 섭취량을 산출 할 수 없는 경우 제시 • 주로 역학조사에서 관찰된 건강한 사람들의 섭취수준을 기준으로 결정 • 영아기의 영양섭취기준은 모유중의 영양소 농도와 건강한 영아의 모유섭취량으로 부터 중분섭취량을 산정 4) 상한섭취량(UL: Tolerable Upper Intake Level) → 인체건강에 유해영향이 나타나지 않는 최대 영양소 섭취수준 용량-반응 평가연구에서 얻어진 유해영향이 나타나지 않는 최대 무독성량 (NOAEL; 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 → 또는 최저독성량/불확실계수(LOAEL/UF; Lowest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Uncertainty factor)를 감안하여 책정
에너지필요추정량과 에너지적정비율 • 에너지 필요추정량(Estimated Energy Requirement: EER): - 에너지의 필요량은 섭취량과 소비량이 균형을 이루어 체중증가를 일으키지 않는 상태의 에너지 섭취량 - 성인의 경우 ; 에너지 소비량(Total Energy Expenditure: TEE)으로 규정 • 에너지적정비율(Acceptable Macronutrient Distrubution Range: AMDR): - 식사로부터 섭취하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의 바람직한 에너지 구성비 - 만성질환의 위험 감소, 비타민, 무기질 등의 필수영양소를 충분히 제공하는 에너지섭취비율의 범위
에너지적정비율(Acceptable Macronutrient Distribution Range: AMD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