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0 likes | 1.13k Views
논문 10% 만 고쳐써라. 김형순 지음 야스미디어 , 2003. 전남대학교 전산학과 김수형. 목 차. 1. 논문이란 ? 2. 논문 작성 요령 3. 논문 작성에서 유의점. 전남대학교 전산학과 김수형. 1. 논문이란 ?. 1. 논문이란 ?. 논문의 필요성 연구 논문 (re search paper) Data information knowledge wisdom 연구보고서 vs 연구논문 논문의 특성 어떤 주제에 관한 발견 및 발견에 대한 평가를 종합한 것
E N D
논문 10%만 고쳐써라 김형순 지음 야스미디어, 2003 전남대학교 전산학과 김수형
목 차 1. 논문이란? 2. 논문 작성 요령 3. 논문 작성에서 유의점 전남대학교 전산학과 김수형
1. 논문이란? • 논문의 필요성 • 연구 논문 (research paper) • Data information knowledge wisdom • 연구보고서 vs 연구논문 • 논문의 특성 • 어떤 주제에 관한 발견 및 발견에 대한 평가를 종합한 것 • 논문은 저자의 창의력의 산물 • 인용(참고문헌) 및 발견한 결과에 대한 해석을 포함
1. 논문이란? • 논문을 읽는 이유 • 지식(학문)의 습득 • 연구분야에 동참 • 연구결과를 강의에 활용 • 논문의 종류 *A4 200쪽 분량
1. 논문이란? • Paper의 구분 • Full paper: 8 pages (8,000 words) • 그림, 표, 사진 등은 200 words에 해당함 • 독창적; 이미 출판되지 않았어야 함 • Letter, Notes: 2~3 pages (2~3,000 words) • 독창적; 명확하고 중요한 결과만 다룸 • Review • 최신 동향, 토의, 의견 등을 소개 • Correspondence • 이미 게재된 학술논문에 대한 토의 • 게재된 지 6-7개월 이내에 출간
1. 논문이란? • 논문의 조건 • 논리성: 내용 전개가 논리적일 것 • 객관성: 방법, 해석, 주장 등을 제3자 관점에서 기술 • 독창성(originality) • 새로운 이론이나사실 • 종래의 이론을 새로운 실험을 통해 검증 • 새로운 실험방법 및 결과 • 새로운 응용 • 완전성/간결성: 명확한 내용을 중복 없이 기술 • 신빙성(재현성) • 설득성: 독자가 저자의 주장(결론)에 동의
1. 논문이란? • 우수 논문의 공통적인 특징 • 저자수가 많다 • 제목이 길다 • 제목이 구체적 • 최근 관심사에 관한 내용 • 논문의 구성 • 초록 • 서론(why) • 연구배경/설계(how) • 결과(what) • 토의(so what) • 결론 • 참고문헌
1. 논문이란? • 논문 구성요소의 비율 • 논문 스타일에 따른 분류 • 실험적인 논문 • 계산(시뮬레이션) 논문 • 이론 및 실험
1. 논문이란? • 학술지 종류 –학술진흥재단 등재(후보) 학술지 • 신청일 기준 최근 2년간 발행지 중 임의로 2종 선택 • 학술지 체계평가(60점) • 논문게재율, 투고자의 전국성, 편당 심사위원수, cyber출판 여부, … • 내용 평가(40점) • 편집위원 전문성, 심사제도 엄정성, 학술지 구성의 우수성, … • 2년 연속 80점 이상 등재학술지 (’03년 현재 201개) • 2년 연속 70점 이상 등재후보 학술지 (’03년 현재 484개)
1. 논문이란? • 국제학술지 종류 • ISI(Institute of Scientific Information): 1960년 미국의 사설기관 • SCI(Scientific Citation Index): ’03년 현재 3,766종 • 매년 3,000여종 평가, 300여종 추가, 150여종 탈락 • SCIE(ECI-Expanded): ’03년 현재 9,800종 (SCI 포함) • 상위 20% 이내의 인용도 • Impact Factor: 최근 2년간 게재된 논문들의 평균 인용횟수 • scholar.google.com –논문인용정보서비스
1. 논문이란? • 전산학과 논문실적 계산방식
2장 목차 2.1 제목 2.2 초록 2.3 서론 2.4 연구 방법 2.5 결과 2.6 고찰(토의) 2.7 결론 2.8 감사의 글(후기) 2.9 참고문헌 2.10 저자 2.11 그림과 표
논문의 구성 • 서론Introduction: 왜 연구를 하였는가? (why) • 실험 방법(재료 및 방법)Materials and methods : 무엇을 어떻게 했는가? (how) • 결과Result : 무엇을 찾았는가? (what) • 토의Discussion : 그 결과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so what) 자료 Introduction Experimental Result Discussion Conclusion 문제 토론의 장
2.1 제목Title • 제목(표제, 논제) • 간결하고 정확하게 표현(정확성, 간결성, 명확성) • “이 논문이 무엇에 관한 것인가?”의 질문의 답 • 제목 작성시 주의사항 • 가능한 최소의 단어 이용(약 100자 정도로 8-12 단어가 최적) • 콜론(:)을 사용하여 부제목과 함께 표현 가능 • 가능하면 주제어를 첫 단어로 사용 • Water solubility and diffusion in alkali silicate melts. • 불필요한 단어 생략 • The-, A-, Of-, On-, Results-, Study-, Notes on-, An approach to-, A study of-, Some aspects of-, The investigation of-, Observation on-, A novel method for- • Some observations on the influence of titania on the properties of glass.(x) • On the discontinuous grain growth of SrBa1-xNb2O6 ceramics.(x)
2.1 제목Title • 같은 주제의 논문을 출판하는 경우, 연속적인 번호(I, II, 1, 2,…)를 사용 부적절 • 각각의 논문을 독립된 제목으로 발표할 것을 권장 • Grain-boundary migration in nonstoichoimetric solid solution of magnesium aluminate spinel:I, grain growth study. J. Am. Ceram. Soc., 72:271 (1989) • Grain-boundary migration in nonstoichoimetric solid solution of magnesium aluminate spinel:II, effect of grain-boundary nonstoichiometry. J. Am. Ceram. Soc., 72:271 (1990) • 널리 알려져 있지 않은 약어 사용 부적절 • 주제어(key words) 포함 • Quantitative X-ray diffraction analysis and its application to various coals. Key words: Coal, X-ray diffraction, crystallite size, crystal structure • 제목의 결정 시기: 논문 내용(결과/고찰)의 초안 마련한 후 조언 1) 연구의 목적을 작성 대략적인 제목 작성 2) 논문 작성(결과/고찰) 완료 후 제목 수정 3) 초록 작성한 후 다시 제목을 수정
2.2 초록Abstract • 초록 • 논문의 내용, 결론, 새로운 정보를 요약한 것 • 정확하고 간결하게 제시 • 형식 • 직설적인 방법: 일반적인 사항을 기술하는 형식, 비전문가가 독자인 경우, 해설 논문에 적합 • 전달적인 방법: 토의나 주석이 없이 정량적으로 결과에 역점을 두어 기술, 학술지에 적합 • 복합(직설-전달)적인 방법: 발견된 주요한 결과와 연구한 내용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를 결합하여 기술, 대부분의 학술지가 요구하는 형식 • 초록 작성의 이유는? 1) 전문full paper을 보기 전에 빨리 내용을 파악하기 위하여 2) 초록의 출판만을 통해 논문의 내용을 소개하기 위하여 3) 문헌 자료 조사를 위한 자료 파일로 사용하기 위하여
2.2 초록Abstract • 내용/구성 (1) 왜 이 연구를 하였는가? (연구 배경/목적) (2)어떻게 연구가 이루어졌는가? (연구 방법) (3) 어떤 연구 결과가 나왔는가? (결과) (4) 그 결과로부터 얻은 일반적인 결론은 무엇인가? (일반적인 결론) • 주의사항 • 시제: 과거 시제 • 전혀 이 논문을 읽어본 적이 없는 사람에게 연구 내용을 충분히 전달하는 자세 • 일반적으로 150~200 영어 단어(최근 유명 학술지의 경우 100~150 단어 이내로 제한), 전체 논문 부피의 약 3~5%, 하나의 문단 • 참고문헌 인용 지양 • 능동태 표현을 사용하는 경향 증가 ※ 새로운 방법과 장비를 사용한 연구의 경우 (3) 방법(장비)을 사용한 이점은? (4) 그 결과가 어떻게 잘 되었나?
2.2 초록Abstract • 작성 사례 사례 4 사례 1 사례 2 사례 3 Title Title Title Title Abstract Abstract Abstract Abstract 1 + 2 3 We…. 1 2 3 2 3 4 3 - 1과 2를 함께 언급 - 결과를 상세히 기술 - 올바르지 못한 작성법 - 연구 배경/목적생략 • - 내용을 잘 배분하여 기술 • 능동태 문장 사용 1: 연구 배경/목적, 2. 연구 방법, 3: 결과, 4: 일반적인 결론
2.2 초록Abstract 사례 6 사례 5
자료 Introduction Experimental Result Discussion Conclusion 문제 토론의 장
2.3 서론Introduction • 서론 • 본 연구를 수행한 이유를 기술 • 고찰에서 토론이 되는 문제를 제시 • 연구 결과와 토의 작성 후 초안을 마련 • 2~4단락 정도로 명확하고 간결하게 작성 • 서론의 구성 • 4단계 구성 • 3단계 • 2개의 문단으로 나누어 기술 서론>> 연구방법 >> 결과 >> 고찰 >> 결론 문제 문제 제시 > 배경 설정 > 탐구 사항 > 목표 설정 연구 주제 > 연구 방향 > 문제점 > 연구 목적 문제 제시 > 연구 목적 > 연구 접근 전반부 후반부 • 현재 연구 소개 • 연구 목적 제시 • 논문의 구조 또는 개괄적인 윤곽 언급 • 주요한 결과 언급 • 연구 분야 설정 • 연구의 중요성 강조 • 현재 관심사 기술 • 현재의 지식과 그것의 부족함/차이 기술 • 이전 연구 요약(문제점 제시)
2.3 서론Introduction • 이전 연구의 요약은(문헌조사 결과 표현)? • 문헌조사의 표현에서 세 가지 형식 (1) 저자를 강조: ..누가 [reference] 보여주었다. • Kim and Lee [1] developed an improved test of a …, • Choi [1999] has shown that BaTiO3 can be… (2) 연구분야 강조: …가 나타났다(발견되었다) [reference]. • Recently it has been shown [3-6] that a thermal analysis… • Some work has been done to measure…(Yang 2003). (3) 연구결과만 언급: …이다[reference]. • The heating microscopy is a good alternative for studying…[9]. • 문헌조사의 결과를 표현할 때 자주 사용하는 어휘 (1) 단순히 결과만 언급하는 경우 • 어휘: 기술하였다, 지적하였다, 덧붙였다, 보고하였다, 기타 등등 • 영어: find, demonstrate, observe, describe, remark, point out, add, report, say, etc. • Most of glass sintering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using… [8].
2.3 서론Introduction (2) 결과 소개와 함께 저자의 주관적인 견해(해석, 주장)를 기술하는 경우 • 어휘: 확인하다, 동의한다, 주장한다, 결정한다, 명확히 한다, 동의하지 않는다, 강조한다, 기타 등등 • 영어: warn, affirm, agree, assert, claim, determine, clarify, challenge, emphasize, etc. • In our opinion, the existence of such large charges in …does not seem reasonable. • 서론에서 사용하는 시제는? • 현재 시제: 이미 알려진 다른 과학자의 견해를 기술하는 경우, 논문 작성자가 파악한 문제점과 그것에 관련된 견해를 언급하게 되는 경우 • 과거 시제: 논문 작성자의 연구 방법을 통해 발견된 결과 • 서론 작성에서 저자(논문 작성자)의 자세는? 서론 단계: 전반부 >> 후반부 전개 방향: 일반적인 분야 >> 전문적인 분야 연구 방향: 저자의 중립성>> 저자의 개성 세부 사항: 분야소개, 문헌조사 >> 문제점 제시, 연구 목적/개요
자료 Introduction Experimental Result Discussion Conclusion 문제 토론의 장
2.4 연구 방법Materials and Methods • 연구 방법 • 연구 결과를 제시하기 위해 사용한 재료, 기구 및 수단을 기술 • 결과의 재현성을 위해 독자가 실험할 수 있도록 기술 • 작성 요령 • 기구, 장비, 실험 과정, 자료 수집 방법, 계산 방법, 실험 기술, 측정 방법측정, 계산식, 질문지, 대상물, 분석 방법, 실험에 사용된 가정 등이 포함 • 연구에 사용된 기술방법이 이미 다른 학술지에 기술되어 있다면 참고문헌으로 인용 • The details of the preparation of the glasses used in the present study have been described recently in this journal, so it will not be discussed further here.18 (phys. Chem. Glasses, 32(3) 110 (1991)) 서론 >> 연구방법>> 결과 >> 고찰 >> 결론 자료(표, 그림) 제공 문제
2.4 연구 방법Materials and Methods • 표현 어휘(동사 및 명사) • 수행하였다. 조사하였다. 관찰하였다. 획득하였다. 나타내다. 사용하였다. 기준, 모델, 자료, 변화, 분석, 설계, 변수, 오차 • 영어: perform, survey, observe, obtain, represent, carry out, conduct, yield, identify, design, determine, prepare, measure, study, treat, variables, model, accuracy, data, analysis, equipments, criteria. • 기술 단계 • 사용한 재료 제조 방법 측정분석 방법 • 재료 및 방법을 문단 또는 작은 단위(2.1, 2.2,…)의 부제목 사용 • (1) Sample(materials) preparation (2) Property measurement(characterization)
2.4 연구 방법Materials and Methods • 주의사항 • 사용한 재료 기술 • 시약: 제품명, 순도농도, 회사명, 국가명 등(학술지에 따라 요구) • 장비, 기구: 모델명, 제작회사, 국가명, 사용 조건 • 사용한 방법이 KS, ASTM, JIS, ISO 등과 관련되는 경우, 번호를 기술 • The employed methods are described in the ISO 7884-2.27 • 약어 사용: 처음 언급할 때에는 풀어서 기술(괄호에 약어 기입), 그 다음부터는 약어 사용 •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and energy dispersive X-ray analysis(EDX) were performed on… . Samples were … .. to the SEM… • 수동태 형식 사용 • XRD measurements were made using Cuk radiation and … • The powders were synthesized by dispersing …
2.4 연구 방법Materials and Methods • 혼동하기 쉬운 띄어쓰기 및 부호 • +, -, = 기호: 각 기호 앞 뒤로 띄어쓰기ex> R = x3 + 3x • 단위: 단위 앞에 띄어쓰기 ex> 12 ㎎, 50-100 ㎛, 4 h • 면적: ㎟ 대신 각 크기에 ㎜사용 ex> A simple 23 ㎜ × 25 ㎜ square pattern... • 1시간 이상인 경우: h 사용 (hr 또는 hrs 사용하지 않음)ex> for 2-4 h to accomplish… • 복합어, 대시(-), 화학 결합: 띄어쓰지 않음. ex> Glass-ceramic, 15-30, C=0 • 온도의 구간: and와 - 사용 • The peaks at 505○and 610○C with a large weight… • typically 850○-900○ C … • 페이지 표시: 소문자로 표시 • p.13 : 13쪽의 내용을 인용하는 경우 • pp.13-25: 13-25쪽의 부분의 내용을 인용하는 경우 • 백분율: 기호를 소문자로 표시, 구두점 생략 • with 3wt% (X), 3 Wt.% (X), 3 wt% (O), 4 vol% (O)
자료 Introduction Experimental Result Discussion Conclusion 문제 토론의 장
2.5 결과Result 서론 >> 연구방법 >> 결과>> 고찰 >> 결론 • 결과 • 실험으로부터 얻어진 결과 정리(그림 또는 표 이용) • 결과와 토의의 구분이 필요 • 결과: 연구 결과, 사실을 명확하고 단순하게 열거하는 부분 • 토의: 결과에 언급된 사실을 해석, 설명하는 부분 • 작성 요령(무엇을, 어떻게 제시할까?) • 글(문장), 표와 그림을 이용(토의에서 유용하게 사용 가능) • 문장에 표와 그림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하지 않고제목(caption)을 자세히 기술 • 사용 어휘: 보여준다, 비교한다, 나타나 있다. 보인다. • 영어: shows, is shown in, compares, is compared with, can be seen from, gives, presents, indicates, suggests, etc. • 여러가지 실험 결과 또는 이전 발표 결과와 비교하여 기술(토의에서 가능) • 서론에서 제시한 문제, 질문에 대한 해답을 주는 결과를 강조 • 실험 방법에서 언급한 순서로 기술 정리(표, 그림) 문제
2.5 결과Result • 주의사항 • 그림이나 표의 간단한 설명 • It is clearly shown in Table 1 that … (X) Table 1 shows… (O) • ……are given in Table 1. (O) • It is apparent that … (X) apparently (O) • 목적(결과) 강조: 수동태 사용을 추천 • 결과 기술: 과거 시제, 표와 그림: 현재 시제 • Similar effects were observed for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 The data shown in Fig. 4 offer strong support for the earlier statement. • 표와 그림의 결과가 반복되지 않도록 해야함. • 첫 문장은 풀어서(약어(예, SEM)는 제외) 시작 • Fig. 4 shows that the density of … (X) Figure 4 shows … (O) • 문장은 숫자로 시작하지 않음. • Fifteen of the SmAS compositions melted …
자료 Introduction Experimental Result Discussion Conclusion 문제 토론의 장
2.6 고찰(토의)Discussion • 고찰 • 논쟁의 장 • 작성 요령(내용) • 연구에 대한 배경 기술(선택사항) • 결과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 기술 • 타인의 결과를 증거로 인용 • 이전 결과로부터 본 연구 결과를 대조/지지하기 위한 수단 • 인용하는 증거가 신뢰할 수 있어야 하며, 편견 없이 제시되어야 함. • 놀라운 결과 또는 이전 결과와 상이한 점에 대한 이유 기술 • 향후 연구에 대한 방향 제시(선택사항) • 토의할 사항이지만 미처 연구가 되지 않아 다루지 못한 부분, 해결되지 못한 부분 • 얻어진 결과의 응용에 대한 언급 또는 추천(선택사항) 서론 >> 연구방법 >> 결과 >> 고찰>> 결론 자료 토의의 장 문제
2.6 고찰(토의)Discussion • 결과의 해석 방법은? • 연역법:주장이나 결론 자료 제시 및 설명(일반적 사항 특수 사항: 두괄식) • 귀납법:자료 제시 일반적인 결론(특수 사항 일반적 사항: 미괄식) • 유추법:여러 자료의 예를 들어 비교, 대조하면서 설명(특수 사항 특수 사항) • 토의에서 사용하는 시제는? • 다른 연구자의 결과 인용: 현재 시제 • 본인의 연구 결과: 과거 시제, 그 결과의 해석/결론/유추: 현재 시제 • The data for ε were evaluated at a constant initial stress of 34kPa. • It is seen that the present data are very consistent with Scherer’s theory. • 과거 완료: 현재의 연구가 시작하기 전에 다른 연구가 이미 종료된 결과를 언급하는 경우 • 현재 완료: 어떤 연구가 현재(논문을 쓰고 있는 시점) 또는 알려지지 않은 불확실한 시기, 중요하지 않은 시기에 종료된 결과를 언급하는 경우에 사용 • Several different models of G and K have been developed.
2.6 고찰(토의)Discussion • 토의 작성시 도움말 • 전개 형식: 한 문단씩 3단계로 진행(one paragraph one topic) • 주제 언급: 주위 관심을 끌어서 논리를 전개 • 논리 전개: 귀납법 또는 연역법으로 하나의 결론을 유도 • 결론: 세부적이며 명확한 주장(일반적인)을 결론으로 문단 마무리 • 서론에서 제시한 질문으로 서두를 시작 • 마지막 부분에 연구의 중요성에 대한 짧은 요약이나 결론을 언급하는 것이 바람직 • 토의 작성에 대하여.. (E. Evans의 제안) • 모든 결과를 열거 각 항목에 대해 한 문장씩 기술 • 문장들을 연관시켜 각 그룹(3~4개) 생성 • “이 결론들이 서론부에서 제시한 연구 목적에 대하여 관련이 있는 것인가?”를 고려 • 각 그룹을 소제목(소주제)으로 표현 (순서적으로 구분하여 배열) • 각 그룹을 중제목(주제)으로 구분하여 논리적으로 토의
결 과 토 의 내용 I 단계 II 단계 III 단계 결과 나열 문장 만들기 그룹 만들기 문단 만들기 Fig. 1~10 Table 1~5 Photos . .. 1. 2. 3. 4. 5. . . (소주제) 소주제 그룹화 (중주제) 모두 나열 선택 1, 2, 6 1, 2, 5 6, 8 5, 8 9, 3, 11 9, 3, 11 버림 7, 9 불필요 2.6 고찰(토의)Discussion • 결과로부터 토의를 작성하는 요령
자료 Introduction Experimental Result Discussion Conclusion 문제 토론의 장
2.7 결론Conclusion • 결론 • 결과를 토의한 것으로부터 일반화된 내용 • 작성 요령 • 왜why, 어떻게how, 연구를 하였으며 그 결과what는 무엇이며 주요한 결론은 무엇인가를 한 개 문단의 1~3 문장으로 기술 서론 >> 연구방법 >> 결과 >> 고찰>> 결론 문제 대답 • 요약Summary, 결론Conclusion, 초록Abstract의 차이는? • 요약: 발견한 것(연구 내용)들을 간단히 기술, 해설 논문에 적합 • 결론: 발견한 것(연구 내용)들의 중요 사항을 기술 • 일반화, 결과의 의미, 향후 과제 등이 포함, 일반적인 연구논문에 적합 • 초록: 발표 논문(원문)을 전혀 읽어본 적이 없는 사람들에게 논문의 연구 내용을 • 전달할 수 있도록 기술
2.7 결론Conclusion • 주의사항 • 서론에서 제시한 연구 목적 기술(1개의 문단, 4~5개의 문장이 적절) • 본문에서 언급한 식, 그림, 표의 번호 또는참고문헌 등을 사용해서는 안됨. • 여러 개의 독립적인 문단/문장 또는 개조식 문장은 지양 • 시제: 과거 시제or 현재 시제(내용 전달에 현실감 부여)
2.8 감사의 글(후기)Acknowledgements • 감사의 글 • 연구에 관련된 기술적인 도움(중요한 아이디어, 장비, 기구 대여, 기술적인 지원 분석 등)과 재정 지원에 대한 감사 표시 • 주의사항 • 도움을 준 사람, 출판권 소유자등을 언급할 경우 사전에 허락을 받아야함 • 연구비 지원 기관에서 요구하는 문장 표현 사용 • Supported by 지원 기관명… under과제 번호 • 한국과학재단(특정 기초 연구 과제)의 지원인 경우 • This work supported by grant No. R01-2003-000 from the Basic Research Program of the Korea Science & Engineering Foundation. •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인 경우 • This work was supported byKorea Research Foundation Grant. (KRF-2003-000-E0000)
2.9 참고문헌References • 참고문헌을 인용하는 이유는? • 저자의 지적 권리를 인정하고 감사하는 뜻에서 인용 (표절에 대한 방어) • 이전 연구자에게 감사하는 뜻 • 인용하는 연구자에게 연구 공간 제공 • 미 출판물의 인용 사례들의 표현은? • 보관중인 미발표물인 경우: Authors, unpublished data* • 구두상 문의한 경우: Authors, private communication* • 투고할 예정인 경우: Authors, in preparation • 투고 중인 논문의 경우: Authors, submitted to (journal name) • 심사가 완료된 논문의 경우: Authors, to be published (journal name) • 인쇄중 (심사완료 후) 논문의 경우: Authors, in press (journal name) • *참고문헌에 인용을 허락하지 않는 학술지도 있음
2.9 참고문헌References • 미 발표물의 분류 • 주의사항 • 저자가 3인 이상인 경우: 본문에 “et al.”사용 • 본문에서: Kim et al.,4 who reported properties of… • 참고문헌에서: [4] A. K. Kim, K. D. Lee, and H. D. Park, J. Abc. Soc., 61(2003) • 여러 개의 참고문헌을 동시에 표시할 경우: 연도별로 오래된 것부터 기술 • 국제학술회의의 초록집International Proceedings, abstract을 인용하는 참고문헌은 미 출판물 unpublished 로 간주 *1 자료수집이 공개적이면 참고문헌에 거재 가능 *2 상대방에게 글로 표현된 자료를 보내서 문서상 허락을 구할 것, 허락되지 않으면 인용 불가능
2.10 저자Author • 논문 작성의 공헌도에 따라 저자명의 순서 결정 • 연구 저자의 범위 • 논문의 구상 및 설계, 데이터의 분석 및 해석한 자 • 논문의 초안 작성 또는 주요 사항에 대해서 검토, 수정, 보완한 자 • 논문 최종본을 퇴고한 자 • 주의사항 • 저자 이름의 일관된 표기 방법 (Jeo Ja Kim, Jeo-Ja Kim, J. J. Kim …) • 파견되어 수행한 연구인의 경우 주소 표기 • 파견지의 주소 명기, 주에 현재의 주소present address를 명기 • Now with the Centre of XXXX, City, Country • Present address: Centre of XXXX, City, Country • 파견지의 주소를 표시, 주에 연구자의 원 소속 기관의 주소를 표시 • On leave from the XXXXXXX, City, Country • 출판되는 시점에 직장을 갖게 된 경우 • 연구를 수행한 곳의 주소를 명기, 주에 현 직장의 주소를 표시
2.11 그림Figure과 표Table • 그림과 표의 작성에 대한 몇 가지 규칙 • 그림과 표의 제목표제,title을 충분히 기술 • 그림그래프: 결과의 정성적인 경향, 비교, 대조를 보여주고자 하는 의도가 있는 경우 • 표: 보다 정확한 수치를 보여주어야 하는 경우 • 한 개의 사진, 그림, 표: 본문의 약 200 words에 해당 • 표Table작성시 주의사항 • 학술지의 형식규정에 맞추어 작성 • 숫자의 자릿수는 동일하게 설정 • 표의 제목 • 간결한 제목, 첫 글자 대문자(전치사, 관사는 소문자) • Table 1. Sources Used in Identific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Crystal Phases (J. Am. Ceram. Soc., 82(11), 3200, 1999) • 표에 나타난 표시, 약어들은 표의 제목, 또는 주에서 설명 • 참고문헌 속의 자료를 인용하는 경우: 기호(*, #, a,…)를 사용
2.11 그림Figure과 표Table • 그림(그래프 및 사진 포함) 작성시 주의사항 • 그래프가 표나 문장보다도 내용을 잘 전달할 수 있는지를 고려 • 어떤 그림이 필요할 것인지 고려 • 사진, 선화line drawing, 그래프(선, 막대, 파이모양 등) • 단순한 그림, 그래프 • 그래프 위의 곡선과 막대 수 제한(선: 3~5개, 막대: 6~8개) • x, y 축의 제목과 단위 기입, 각 축의 숫자는 간단히 표시 • 그림의 범례 표시는 표준적인 것(원, 삼각형, 사각형 등) 사용 • 사진의 경우, 그림 내부에 화살표 또는 글자를 이용하여 정보를 명확히 표현 • 학술지 인쇄시 그림의 실제 크기 • 약 8cm의 가로 크기를 차지 (2column인 경우)
2장 요약 전 개 구 성 질 문 내 용 일반화로부터 전문화 왜? 서 론 질문 제시! 어떻게? 연구 방법 무엇을 어떻게? 초록 무엇을? 서론에 답변! 결 과 그래서? 고 찰 결과 해석! 전문화로부터 일반화 결 론 일반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