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4

제 10 장 물류정보관리

제 10 장 물류정보관리. 제 1 절 물류정보 제 2 절 물류정보시스템 제 3 절 물류정보기술의 기능 및 종류. 강의 목적과 목표. 물류정보관리는 물류활동의 원활화를 위해 생산 및 소비에 이르기까지 하역 , 운송 , 보관 , 포장 등의 활동을 전자적으로 결합 , 효율적인 수행이 가능케 하는 활동이다 . 본 장에서는 IT 기술발전과 더불어 물류업계에 전반적으로 활성화 되고 있는 물류정보기술에 대해 학습한다 . 본 장을 학습한 후 학습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이해 할 수 있다 .

Download Presentation

제 10 장 물류정보관리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10장물류정보관리 제1절 물류정보 제2절 물류정보시스템 제3절 물류정보기술의 기능 및 종류

  2. 강의 목적과 목표 • 물류정보관리는 물류활동의 원활화를 위해 생산 및 소비에 이르기까지 하역, 운송, 보관, 포장 등의 활동을 전자적으로 결합, 효율적인 수행이 가능케 하는 활동이다. 본 장에서는 IT 기술발전과더불어 물류업계에 전반적으로 활성화 되고 있는 물류정보기술에 대해 학습한다. • 본 장을 학습한 후 학습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이해 할 수 있다. • 물류정보의 개념과 종류 • 물류정보시스템의 개념과 기능 • 물류정보기술의 응용기술(EDI, ITS, WMS, POS, Bar-Code, RFID, GPS, GIS 등)

  3. Main Questions • 물류정보기술의 종류 • 물류정보시스템의 내용(수출출하처리시스템, 수배송관리시스템, 창고(보관)관리시스템, 도매정보시스템, 물륙관리정보시스템) • 물류정보기술의 응용기술(EDI, ITS, WMS, POS, Bar-Code, RFID, GPS, GIS 등)

  4. 제조 물류 제1절 물류정보의 개요 • 물류정보의 개념 • 전산화를 통하여 물류를 시스템화하여 과학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하고 원료 조달에서 완제품의 최종 수요자에게 인도되기까지의 각 물류기능을 연결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흐름을 만들어 내는 것 • 물류정보시스템이란 물류활동을 구성하고 있는 여러 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 또는 처리하거나 유기적으로 결합하게 함으로써 물류시스템이 가장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보시스템 경영 = ∑ (조직구성원 + 관계인) 의사결정 올바른 판단력 근거 : 유용한 정보 정보(information)란 지능, 소식, 사실, 자료 등이 사용자 또는 조직의 특정한 목적을 위해 가치 있는 형태로 처리된 것 도구 : 정보의 수집, 처리, 보관, 전달, 관리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기반기술 barcode 식별코드 EDI 등

  5. 제품수명주기 시장수요변동 판매 시장 판매 실제 늦은 진입 예측 진부화된 재고 시간 • 기계식 타자기 수명=30년 • 전기식 타자기 수명=10년 • 전자식 타지기 수명=4년 • PC 수명=1년 • 주문에서 배달까지 사이클 최소화가 경쟁력의 우위 좌우하는 요소 • 평균 판매량예측≠실제판매량 • 안전재고량 증가-예측오차의완충 • 예측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리드타임 단축을 통한 필요이상의 재고유지 보유 않도록해야. 시간

  6. 2. 물류정보의 종류 및 특성

  7. 제2절 물류정보시스템 1. 물류정보시스템의 정의

  8. 2. 물류정보시스템의 목적 및 기능 • ① 기획․통제기능 • ② 조정기능 • ③ 고객서비스/커뮤니케이션 기능 • 3. 물류정보시스템의 중요성과 기대효과 • 첫째, 효율적인 정보시스템 운용에 의한 적재율 향상, 수송의뢰, 집화, 수송시간 단축 등 화물수송 효율의 향상 • 둘째, 집화 및 배송을 체계화하고 사무 및 작업의 정확성을 증대시키며 사무처리의 간소화로 하주에 대한 고객서비스 향상 • 셋째, 신속정확한 정보에 의한 배송창고 이용효율 향상, 하역작업의 간소화, 신속하고 정확한 통계자료의 작성 가능.

  9. 4. 물류정보시스템 구성

  10. 4. 물류정보시스템 구성

  11. 5. 물류정보시스템의 내용 • 수주․출하 처리 시스템 • 수주․출하는 물류활동의 기초가 되는 부분 • 2) 수․배송관리시스템 • 주문상황에 대해 적기 수․배송체제의 확립과 최적 수․배송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수송비용을 절감하려는 체제 • 3) 창고(보관)관리시스템 • 최소의 비용으로 창고의 면적, 작업자 및 하역설비 등 경영자원을 유효하게 활용하고 고객에 대한 서비스수준을 제고 • 4) 도매정보시스템 • 대도시 주변이나 공단주변의 수․배송센터나 유통단지의 정보시스템 • 5) 물류관리정보시스템 • 수주에서 시작하여 배송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계획(Plan), 실시(Do), 평가 또는 통제(See)하는 시스템

  12. 제3절 물류정보기술의 기능 및 종류 1. 물류정보기술의 종류

  13. 전자문서교환(EDI : Electronic Data Interchange) • (1) 정의 • 표준화된 형태로 전자문서 통신매체를 통하여 컴퓨터에서 컴퓨터로 교환하는 방식 • 조직 대 조직(기업과 기업, 기관과 기관)간의 정보 전달 의미 ex) 기업 내부에서의 부서 간 정보 전달은 EDI가 아니다. • 단순한 파일전송 및 엑세스 시스템과는 구분 • 컴퓨터로 처리할 수 있는 구조화되고, 표준화된 양식으로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일정한 프로토콜을 가지고 정보를 교환하는 방식

  14. (2) EDI의발전 • 장점) • 직접효과 : 정보 교환의 신속성 데이터 입력의 정확성, 데이터 재입력 비용의 절감, 우편 및 전화비의 감소, 서류처리에 관련된 비용의 감소 등. • 간접효과 : 재고관리 향상, 효율적인 생산 작업, 고객-공급업체간의 관계 개선 • 장애요인) • 구축비용, 법적 문제, 메시지 불안정성, 시스템 구축 복잡성, 거래처리 약정 체결 과정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 비용 대비 효과의 미흡, 보안성, 거래상대방마다 고유한 시스템 구축, 향후 발전 방향의 불확실성, 기업 환경 변화에 따른 요구 사항 등. • 발전) • 개방형(Open) EDI, 인터넷 EDI, 웹 EDI, XML/EDI • 활용) • 물류 EDI, 무역 EDI, 유통 EDI, 통관 EDI, 조달 EDI, 금융 EDI 등 • 한국 물류정보통신(주)에서 운용하는 KL-Net 등

  15. 2) 첨단교통체계 기술(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16. 3) 창고 관리 시스템(WMS : Warehouse Management System) • WMS는 제품이 입고되어 적재되는 것으로부터 선택되어 출하되는 모든 작업 과정과 그 과정상에서 발생되는 물류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처리하는 시스템 • 오더와 상품의 흐름에 대한 제어, 입고와 피킹에 대한 최적화, 창고공간 효율성 최적화, 장비와 인적자원에 대한 최적화, 물류흐름상의 정보에 대한 실시간 제공 • 창고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내용을 DB화하여 필요한 모든 곳에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 그 정보를 이용하여 기업은 원활한 기업활동을 위한 신속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 • 화물의 입출고관리, 재고관리, 보관위치관리시스템, 출고지시시스템과 픽킹시스템( DPS- Digital picking system, Digital picker system, Auto picking system etc) 디지털분류시스템(DAS, Digital assort system), 택배interface system  등으로 구성

  17. 4) 판매시점 정보관리 (POS) • 계획수립, 주문, 가격결정, 재고관리, 기타 사업기능과 관련된 판매거래를 온라인으로 연결 • 광학적 자동 판매방식의 레지스터에 의한 단품별로 수집된 판매정보와 매입, 배송 등의 활동에서 발생하는 각종 정보를 컴퓨터로 처리하여 각 부문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정보로 가공, 전달하는 시스템 • 판매시점에 발생하는 정보입력  컴퓨터 처리 • 경영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수집, 처리하는 시스템 • 역할 :  - 판매시점 관리시스템,   - 소매업의 종합 경영정보시스템,   - 판매실적을 파악하여 유통센터에 전달 • 효과 :  - 배송계획 합리화,  - 유통센터 재고최소화 • 기능 :  - 계산기능, - 영수증 발행기능, - 데이터 기록기능

  18. 5) 바코드(Bar Coding) • 바코드는 굵기가 서로 다른 바(Bar)와 공간(Space)의 조합에 의해 상품에 관한 여러 가지 정보를 표시하고 이러한 문서나 숫자를 기계가 읽을 수 있도록 기호체계 • POS 시스템의 보급 및 이용을 확대하기 위해 필요 • 물류작업을 기계화함으로써 수작업으로부터 기계에 의한 작업으로 변혁을 촉진함으로써 물류효율성을 향상하며, 오류방지 등을 통한 정보 지원체제를 강화

  19. 6)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제품에 붙이는 tag에 생산, 유통, 보관, 소비의 전 과정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자체 안테나를 갖추고 있으며, reader로 하여금 이 정보를 읽고, 인공위성이나 이동통신망과 연계하여 정보시스템과 통합하여 사용되는 활동, 또는 칩. • 물류ㆍ유통ㆍ조달ㆍ군사ㆍ식품ㆍ안전 등 다양한 산업 영역에서 막대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핵심 기술로 각광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차세대 컴퓨팅 기술인 USN(Ubiquitous Sensor Network)의 기초 기술로 활용돼, 앞으로 인간의 생활 방식과 기존 산업구조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키는 분야로 인식. • 원거리 인식 가능하고, 여러 개의 정보를 동시에 판독하거나 수정할 수 있는 장점 때문에 바코드를 대체하거나 보완할 수 있는 기술 • 바코드에 비해서는 비용이 높고, 스마트 카드에 비해서는 메모리 용량이 낮지만, 바코드나 스마트 카드가 갖지 않은 장점 때문에 다양한 적용분야와 기술개발에 따라 차세대 핵심기술로 부상

  20. Q & A

  21. 강의종합 • 물류정보시스템의 개념과 기능 • 물류정보기술의 응용기술(EDI, ITS, WMS, POS, Bar-Code, RFID, GPS, GIS 등) • 물류정보시스템의 내용(수출출하처리시스템, 수배송관리시스템, 창고(보관)관리시스템, 도매정보시스템, 물륙관리정보시스템)

  22. Thank you for your attention!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