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7

제 5 강 . 베트남의 사회와 정치

동남아 사회와 정치. 제 5 강 . 베트남의 사회와 정치.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1. 국가 개관. ▪ 국가명칭 : 베트남 사회주의공화국 Socialist Republic of Vietnam   (Công Hòa Xã Hôi Chu Nghia Viêt Nam) ▪ 국가형태 : 사회주의공화국 ※ 1986 년 ‘더이모이’ (Doi Moi: 刷新 ) 정책 이후 시장경제체제 유입 ▪ 국가수반 : 국가수반 → 대통령 ( 주석 ) 행정부 수반 → 총리

Download Presentation

제 5 강 . 베트남의 사회와 정치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동남아 사회와 정치 제5강. 베트남의 사회와 정치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2. 1. 국가 개관 ▪ 국가명칭: 베트남 사회주의공화국 Socialist Republic of Vietnam   (Công Hòa Xã Hôi Chu Nghia Viêt Nam) ▪ 국가형태: 사회주의공화국 ※ 1986년 ‘더이모이’(Doi Moi: 刷新) 정책 이후 시장경제체제 유입 ▪ 국가수반: 국가수반 → 대통령(주석) 행정부 수반 → 총리 ※ 총리 산하에 내각평의회(Council of Ministers) ▪ 의회형태: 베트남공산당 일당지배의 단원제 국민의회(National Assembly) 산하에 국가평의회(Council of State) 구성 ▪ 수 도: 하노이(Hanoi)

  3. ▪ 인 종: 베트남계 86.2%, 중국계 3% 등 북부와 남부 사이의 문화적 편차 극심 ▪ 종 교: 불교(대승불교) 95% 이상 ▪ 언 어: 베트남어 (Vietnamese); 총 6개 성조 (평성: →, 1성: ↘, 2성: ∧, 3성: ↗, 4성: ∨, 5성: ~) ※ 원래 중국어를 조차(한국의 이두 개념)하여 사용하였으나, 프랑스 지배 이후 프랑스어의 알파벳과 발음기호 사용 예] Xin Chào (신짜오): 안녕하세요? Cảm Ơn (깜언): 감사합니다 (한자어: 感言) ▪ 화폐단위: 동(Dong), USD1$ = 15,855D 내외 (2005년 기준) ▪ 경제수준: 1인당 GDP = USD 3,000$ (2005년 기준) ▪ 국 기:

  4. 2. 베트남의 현대정치과정 1) 통일 이전 (1945년~1975년) ○ 제1차 인도차이나전쟁(1946년~1954년) - 1945년 베트남민주공화국(DRV: Democratic Republic of Vietnam) 수립 - 북베트남에 의한 민족해방전쟁 - 1954년 휴전: 북위 17°선을 경계로 북베트남과 남베트남 대치 ○ 제1차 인도차이나전쟁(1961년~1973년: 베트남전쟁) - 1964년 통킹만(Gulf of Tong King) 사건 이후 미국의 본격적 개입 - 1969년 호치민 사망: 지속적인 전쟁 수행 - 정글전과 게릴라전에 의한 미국의 참패 - 1973년 파리 비밀조약(Kissinger vs. Le Duc Tho) 채결 - 1973년부터 미군의 점진적 철수 및 1975년 남베트남 함락 호치민

  5. 2) 공산화 시기 (1975년~1985년) ○ 1976년 1월 남북 총선거 → 국민의회 구성 - 1976년 7월 베트남사회주의공화국(SRV) 채택 ○ 1977년 유엔(UN)에 의해 베트남 공식 승인 ○ 1978년 소련과 군사동맹 체결 ○ 1979년 캄보디아 침공 - 군사고문단을 캄보디아에 주둔시켜 준식민지화 ○ 1980년 12월 신헌법 채택 → 행정부의 기능 강화 - 국민의회 상임위원회 격인 ‘국가평의회’ 조직 - 총리와 장관들로 구성된 ‘내각평의회’를 최고 집행 및 행정기관으로 규정 - 실질적으로는 베트남공산당에 의한 정치․행정력 장악 - 당정치국(VCP Political Bureau)은 베트남공산당의 최고의결기관

  6. 3) 자유화 시기 (1986년~현재) ○ 1986 제6차 공산당대회 - 경제난관을 타개를 위한 ‘더이모이’(Doi Moi) 경제정책 실시 결정 - 혁명 1세대의 퇴진과 개혁체제의 등장 - 더이모이 정책: 베트남 양식의 시장자유화 (개혁개방정책) ○ 1989년 베트남 군사고문단의 캄보디아 철수 ○ 1991년 제7차 공산당대회 - 더이모이 정책의 지속적인 추진 재확인 ○ 1992년 헌법 개정: 경제개혁을 위한 법제 정비 ○ 1995년 미국과 수교, 아세안(ASEAN) 가입 등 - 보다 적극적인 경제외교정책 추구

  7. 3. 베트남의 외교정책 ○ 1975년 이후 베트남의 외교정책은 안보 중심의 자립정책 - 국경을 접한 중국의 안보적 위협을 견제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 - 중국에 대한 견제와 경제적 도움을 얻기 위한 친소 원조경제정책 ○ 1986년 더이모이 이후 경제적 자유화를 위한 외교정책 강화 - 아세안(ASEAN) 국가들과 지역적 연대 강화 - 외자유치를 위해 서방국가들과 외교관계 강화 - 1995년을 필두로 대미 경제외교 강화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