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0 likes | 665 Views
기로에선 한국경제. 2008 년 8 월 이 현 훈 강원대학교 경제무역학부 교수. 1. 서론 – 한국경제의 변천과 세계적 위상. 주요경제지표. Overview - Per Capita Income. 20,045. Per Capita Income (US$). 16,413. 11,432. 10,000. Six 5-Year-Economic- Development Plans. 7,355. Financial Crisis. 5,000. Liberation from Japanese
E N D
기로에선 한국경제 2008년 8월 이 현 훈 강원대학교 경제무역학부 교수
1. 서론 –한국경제의 변천과 세계적 위상 주요경제지표
Overview - Per Capita Income 20,045 Per Capita Income (US$) 16,413 11,432 10,000 Six 5-Year-Economic- Development Plans 7,355 Financial Crisis 5,000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1,000(1977) OECD Member 100(1964) 89 67 1945 1953 1995 1970 1980 1990 1998 2005 2007 1961 3
Overview - GDP Structure & Employment Structure Services 29% Manufacturing 8% Agriculture, fisheries, and mining 63% < GDP Structure > Agriculture, fisheries, and mining 3% Agriculture, fisheries, and mining 45% Services 40% Manufacturing 28% 2006 1963 Services 69% Manufacturing 15% < Employment Structure > Agriculture, fisheries, and mining 7% Manufacturing 22% 2006 1963 Services 71% 4
Changes in Export Commodity Profile < From Light Industry to Heavy Industry > Semiconductor, Mobile Phone, DTV, Display, Automobile, Ship-building, etc. Export Commodity Profile 83.7% HCI Product 50% Agricultural Product 8.9% Light Industry Product 7.4.% 1980 1990 2007 1960 1970 2000 5
Top 10 Export Items of Korea (%) Source : KOTIS 6
Top 10 Export Markets for Korea (%) Source : KOTIS 7
1. 서론 –한국경제의 변천과 세계적 위상 외환보유고 단위: 억US$
1. 서론 –한국경제의 변천과 세계적 위상 주요국의 GDP (2006년, 단위: 백만달러)
1. 서론 –한국경제의 변천과 세계적 위상 세계 10대 경제대국 (2005년 및 2050년)
1. 서론 –한국경제의 변천과 세계적 위상 세계 10대 경제대국 (1870년) 출처: Wikipedia
목 차 1. 서론 – 한국경제의 변천과 세계적 위상 2. 1990년대 이전의 경제발전 모형 3. 1997년 외환위기의 원인과 대응 4. 현재의 경제현황 5. 새로운 경제발전모형
빠른 산업화 빠른 경제성장 빈곤계층의 감소 사회적 후생수준의 증가 2. 1990년대 이전의 경제발전모형 초기조건 외부환경 정책변수 중간목표 최종목표
낙후된 경제 양호한 노동의 질과 저렴한 노동비용 높은 교육열과 양호한 기초교육 체제 미국의 원조 남북한 분단 2. 1990년대 이전의 경제발전모형 초기조건 외부환경 정책변수 중간목표 최종목표
GATT 체제 하에서의 무역자유화 미국의 자유무역주의 동아시아에서 일본 선도의 “날으는 기러기 패턴” 성장 2. 1990년대 이전의 경제발전모형 초기조건 외부환경 정책변수 중간목표 최종목표
시장경제체제의 점진적 확대 정부의 시장개입 대외 수출지향 안정적인 거시경제 운용 2. 1990년대 이전의 경제발전모형 초기조건 외부환경 정책변수 중간목표 최종목표
높은 저축율 높은 투자율 인적 자본의 축적 수출규모 증대 빠른 기술 도입 2. 1990년대 이전의 경제발전모형 초기조건 외부환경 정책변수 중간목표 최종목표
빠른 산업화 빠른 경제성장 빈곤계층의 감소 사회적 후생수준의 증가 2. 1990년대 이전의 경제발전모형 초기조건 외부환경 정책변수 중간목표 최종목표
외생적 충격 구조적 요인 비우호적 국제환경 정책적 대응 실패 3. 외환위기의 원인과 대응 외환위기의 원인에 대한 4가지 가설 외환위기의 원인에 대한 총체적 설명 – 뇌졸중 가설 • 뇌졸중의 발생원인 및 경로 - <그림 1> • 외환위기의 발생원인 및 경로 - <그림 2>
3. 외환위기의 원인과 대응 <그림 1> 뇌졸중의 발생원인과 경로 뇌졸중 뇌졸중 체질약화
3. 외환위기의 원인과 대응 <그림 2> 외환위기의 발생원인과 경로 외환위기 뇌졸중 경제체질 약화
4. 현재의 경제상황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지속과 글로벌 경기 침체 원자재 가격 상승 중국경제의 불안정성 증대 외부환경 내부환경 • 경기 침체 조짐 확대와 증시 불안 • 물가 불안
4.1 Real GDP Growth – year on year Percent Source: Bank of Korea 24
4.2 Business Condition BSI – All Industries Percent Source: Bank of Korea 25
4.3 Unemployment Rate –seasonally adjusted Percent Sourc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6
4.4 Stock Market –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7
4.5 Consumer Prices (year-on-year, % change) Percent Source: Bank of Korea 28
4.6 Won/US Dollar Exchange Rate Source: Bank of Korea 29
지속가능한 경제성장 빈곤계층의 감소 사회적 후생수준의 증대 5. 새로운 경제발전모형 초기조건 외부환경 정책변수 중간목표 최종목표
5. 새로운 경제발전모형 중간 단계의 경제 높은 교육열과 양호한 기초교육 체제, 그러나 부실한 고등교육 체제 남북한간의 새로운 관계 전개 증가하는 노년인구 황폐해지는 자연환경 초기조건 외부환경 정책변수 중간목표 최종목표
증가하는 노년인구 (% of total population) 40 35 Japan 30 25 20 US EU 15 Australia and New Zealand 10 Korea 5 0 60 65 70 75 80 85 90 95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50 The speed of population aging is far higher in Korea than other major developed countries. • Reforming the public pension and health insurance program • Extending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female, elderly and disadvantaged groups < Share of the old (65+) > 33
황폐해지는 자연환경 Korea’s Environment has worsened at a very rapid rate during its course of rapid industrialisation. • Korea’s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dex) ranked 122 out of 146 countries in 2005. • Korea’s ecological footprint has exceeded its environmental carrying capacity. • Korea’s Ecological Footprint and Biocapacity per person 34
WTO 및 OECD 회원국으로서 전면적인 무역자유화 지역주의 경향의 확대 미국의 공정무역주의 일본의 하강과 중국의 부상 국제 금융시장의 급속한 확대와 불안정성 확대 세계적인 정보통신산업의 발달과 지식 혁명 5. 새로운 경제발전모형 초기조건 외부환경 정책변수 중간목표 최종목표
일본의 하강과 중국의 부상 Low tech Medium-low tech Medium high tech High tech 2.5 China 2 Japan Japan US Korea 1.5 Korea Korea US China Japan 1 China Korea US US 0.5 China Japan 0 1993 2004 1993 2004 1993 2004 1993 2004 During 1993-2004, Korea gained a CA in high-tech products and improved medium-high tech, while CA declined in medium-low tech and Low tech products. China showed similar pattern and became challenges to Korea in the World market. 36
시장경제체제의 확립 기업, 금융, 공공부문에 대한 투명한 감시 및 견제 고등교육의 질 제고 동아시아 국가들과의 무역 및 금융분야 협력 남북한 경제교류의 확대 환경정책과 경제정책의 통합정책 5. 새로운 경제발전모형 초기조건 외부환경 정책변수 중간목표 최종목표
지역주의에 대한 대응 Major economies of the world have pursued regionalism, while multilateralism under the WTO has been staggering. • Through FTA, Korea aims to enhance regional cooperation and to be a center of R&D, logistics and financial services in Asia. • It also endeavors to transform into an open and globalised economy, promoting FTA with a variety of economies. < Korea’s Promotion of FTA > FTA completed Negotiation in progress or to be started FTA under consideration Chile, Singapore, EFTA, ASEAN, USA EU, Canada, Japan, Mexico, India, GCC China, MERCOSUR, Australia, New Zealand 38
신경제(New Economy)의 정착 구경제(Old Economy)의 경쟁력 강화 남북한 경제통합 녹색성장 5. 새로운 경제발전모형 초기조건 외부환경 정책변수 중간목표 최종목표
지속가능한 경제성장 빈곤계층의 감소 사회적 후생수준의 증대 5. 새로운 경제발전모형 초기조건 외부환경 정책변수 중간목표 최종목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