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6

5 장 . 불확실성

5 장 . 불확실성. 불확실성의 원인. 부분정보만을 가지고 있다 . 정보에 대한 신뢰성이 부족하다 . 지식표현언어에 한계가 있다 . 다중정보원에서 습득한 정보들간에 충돌이 있다. 5.2 확률. 확률 은 특정 사건이 일어날 ( 또는 일어나지 않을 ) 기회의 정도를 나타내고 다음 식 (5.1) 과 같이 계산된다 . P(X) = 특정사건 X 가 일어난 횟수 전체사건이 일어난 횟수. A 또는 B 가 일어날 확률.

ciara-wong
Download Presentation

5 장 . 불확실성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5장. 불확실성

  2. 불확실성의 원인 • 부분정보만을 가지고 있다. • 정보에 대한 신뢰성이 부족하다. • 지식표현언어에 한계가 있다. • 다중정보원에서 습득한 정보들간에 충돌이 있다.

  3. 5.2 확률 • 확률은 특정 사건이 일어날(또는 일어나지 않을) 기회의 정도를 나타내고 다음 식 (5.1)과 같이 계산된다. • P(X) = 특정사건 X가 일어난 횟수 전체사건이 일어난 횟수

  4. A 또는 B가 일어날 확률 • 여러 사건들로 구성된 공간에서 복수개의 사건에 대해 어떤 사건 A 또는 B가 일어날 확률은 P(A ∪ B)=P(A)+P(B)-P(A ∩ B) • 예를 들어 카드놀이에 사용되는 52장의 카드 중에서 한 장의 카드를 뽑았을 때 그 카드가 Ace이고 Heart일 확률은 • P(Ace ∪ Heart) = P(Ace) + P(Heart) – P(Ace ∩ Heart) = 4/52 + 13/52 – 1/52 = 16/52 가 된다.

  5. 여러 사건이 동시에 일어날 확률 • 동시에 일어나는 사건들이 서로 독립적일 때는 P(A ∩ B)=P(A)P(B)로 계산가능 • 예를 들어 카드놀이에 사용되는 52장의 카드 중에서 한 장의 카드를 뽑았을 때 그 카드가 Ace이고 Heart일 확률은 1/52 이고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P(Ace ∩ Heart)=4/52 * 13/52 = 1/52

  6. 5.2.1 조건확률과 Bayes 정리 • 한 사건 B가 일어난 상태에서 A가 일어날 확률은 P(A |B)로 표시하고 식(5.2)처럼 계산 할 수 있다. P(A|B) = P(A ∩ B) (5.2) P(B) P(B|A) = P(A ∩ B) P(A) 대입 P(A ∩ B) = P(A|B) P(B) => 식 (5.3)

  7. Bayes 정리(사후확률을 구할 수 있음) • P(B|A) = P(A|B)P(B) (5.4) P(A) • 식(5.3)을 n개의 사건으로 확장하면 식(5.5)을 얻을 수 있다. P(Bi|A)= P(A|Bi)P(Bi) P(A|B1)P(B1) + P(A|B2)P(B2) +…+ P(A|Bn)P(Bn) 식 (5.4)는 두 개의 사건만을 고려, 실세계의 문제에는 두 개 이상의 사건이 관련된 겨우가 많다.

  8. (예제) • 어떤 공장에서 기계 3대가 같은 길이의 양초를 생산한다고 하자. 그리고 기계 I, II, III 이 전체 생산량의 35%, 25%, 40%를 생산하고 각각 2%, 1%, 3%의 불량품을 생산한다. 하나의 생산된 양초를 선택했을 때 이양초가 불량품일 확률을 구하시오. • 풀이: P(D) = P(I)P(D|I) + P(II)P(D|II) + P(III)P(D|III) = (35/100)(2/100) + (25/100)(1/100) + (40/100)(3/100) = 215/10,000 P(D)는 불량품일 확률을 P(I), P(II), P(III)는 각각 기계 I, II, III에서 생산된 양초일 확률을 나타냄

  9. 5.3 퍼지 집합 이론 • 확률론은 정보의 무작위성(Randomness)을 설명 하는데 효과적이지만 정보의 의미를 설명하는데는 부적당하다. • 예를 들어 ‘키가 큰 사람’ 과 같은 자연어 문장의 의미를 파악하는 데는 어려움을 주는 것은 무작위성 보다는 모호성이다. • 1965년 Zadeh가 소개한 퍼지 집합 이론은 이러한 모호정보를 집합소속함수(Set Membership Function)를 이용하여 수치적으로 다루는 이론이다

  10. 5.3.1 퍼지집합 • 보통집합은 다음과 같은 소속함수를 갖는다. μA(x) = 0 if x  A 1 if x  A • 어떤 원소가 퍼지집합 A에 속하는 정도는 다음과 같은 소속함수로 나타낸다. μA(x) = [0,1]

  11. • 집합 A= { a₁,a₂,….,an}일때 집합 A가 보통집합 이라면 μA (a1) = 1, μA (a2)=1,…, μA (an)=1. • 하지만 집합 A가 퍼지집합 이라면 μA (a1) = 0.3, μA (a2)=0.1, μA (an)=0.7 등으로 소속함수 값이 각각 다를 수 있다. • 따라서 퍼지집합 A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A= {a1/μA(a1), a2/ μA (a2),……, an/ μA (an)} = { a₁/0.3, a₂/0.1,…, an/0.7}

  12. 합집합(Union), 교집합(Intersection) 그리고 여집합(Complement) • μA∪B(x) = max{μA(x), μB(x)}, for x∈X • μA∩B(x) = min{μA(x), μB(x)}, for x∈X • μAC (x) = 1 – μA(x), for x∈X • A = { x₁/0.3, x₂/0.5, x3/0.7} • B = { x2 /0.4, x3 /0.6, x4/0.2} • A∪B = { x₁/0.3, x₂/0.5, x3/0.7, x4/0.2} • A ∩ B = { x₂/0.4, x3/0.6} • AC = { x1/0.7, x2/0.5, x3/0.3}

  13. 5.3.2 퍼지 수 퍼지 수를 나타내는 퍼지집합은 일반적으로 정규 분포 형태를 갖으며 다음과 같이 여러 가지 모양이 가능하다. 1 1 1 0 0 0 종형 삼각형 사다리꼴 퍼지수 : 사과 두세 개, 키 약 170cm 등과 같은 모호한 수치를 의미함

  14. (예) ‘약 두 스푼’은 ‘두 스푼’일 가능성은 1 ‘한 스푼’일 가능성은 0.5 ‘세 스푼’일 가능성은 0.5 약 두 스푼 = { 1/0.5, 2/1, 3/0.5}

  15. 5.3.3 퍼지 논리 • 퍼지 논리에서는 논리식의 값이 0과 1사이의 값을 갖을 수 있다. • 퍼지 논리는 여러 가지 형태가 있으나 본 장에서는 Lukasiewicz의 논리 연산자를 이용하여 퍼지 논리에서 사용하는 연산자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여기서 a, b는 구간[0,1] 사이의 값을 갖는 퍼지수식이다.) 1) 부정(Negation) ¬a = 1 - a 2) 논리곱(Conjunction) a ∧ b = minimum(a, b) 3) 논리합(Disjunction) a ∨ b = maximum(a, b) 4) 내포(Implication) a⇒b = maximum(1-a, b)

  16. a = 0.3, b = 0.8 이라면 각각의 연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a = 1 - a = 1 – 0.3 = 0.7 • a ∧ b = minimum(a, b) = minimum(0.3, 0.8) = 0.3 • a ∨ b = maximum(a, b) = maximum(0.3, 0.8) = 0.8 • a ⇒ b = maximum(1-a, b) = maximum(1-0.3, 0.8) = 0.8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