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 likes | 740 Views
전기전자용 고투명 필름 시장분석(2004-2012) -LCD 용 광학필름 및 Plate 중심-. 화학경제연구원 시장분석 리포트(2007년 1월). 전망의 대전제- LCD 2012. 전제 1) LCD 패널의 전세계 용도별 수요를 예측한 제 3기관의 자료를 응용하여 2012년까지 세계 LCD 패널 생산을 예측하고 이를 통해 한국의 패널 생산을 회귀 분석함.
E N D
전기전자용 고투명 필름 시장분석(2004-2012)-LCD용 광학필름 및 Plate 중심- 화학경제연구원 시장분석 리포트(2007년 1월)
전망의 대전제-LCD 2012 전제 1) LCD 패널의 전세계 용도별 수요를 예측한 제 3기관의 자료를 응용하여 2012년까지 세계 LCD 패널 생산을 예측하고 이를 통해 한국의 패널 생산을 회귀 분석함. 전제 2) 현재 LCD 패널 단위 당 투입되는 각 가공 필름 및 Plate의 물량을 확인해 2012년까지 LCD 패널 생산에 맞추어 시장을 전망함. 동시에 아이템별로 수요증감 추세, 재질전환 사항에 대해서도 고려하여 시장 수요를 전망함. 전제 3) LCD 가공필름 및 Plate 환산수요를 바탕으로 광학용 Resin 공급량 및 Base Film의 국내 수요를 전망하고 다시 이를 통해 국산화 정도를 추정했음.
LCD용 필름 및 Plate시장분석 1) LCD용 Base 필름 2012년까지 연평균 14.5% 성장 전망…… 국산화율은 30.3%에 머물러 • LCD용 Base 필름은 PVA필름, TAC필름, PET 필름의 3대 소재로 구분할 수 있으며 2006년 기준, 각각 4500여 톤, 9800여 톤, • 1만9000여 톤이 사용돼 총 3만3000여 톤이 사용됐음.이 중 27.3%에 해당하는 1만 여 톤 만이 국산화됐음. • PVA 필름 및 TAC 필름은 독점적 지위를 가진 일본 기업들로부터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확산필름, 반사방지필름 등 • 비교적 범용 필름분야에만 한국산 PET 필름이 적용되고 있는 상황임. 2) LCD용 Plate 2012년 국산화율은 39%대로 Up!…… 확산판 소재 전환 주기 짧아지며 PS, PC계로 전환 중 • LCD용 Plate는 TV용 패널에 적용되는 확산판과 도광판 수요로 양분할 수 있으며 소재별로는 2006년 기준 PMMA • 4만5000여 톤, MS 1만2000여 톤, PS 3000여 톤, PC 2000여 톤이 사용돼 총 6만2000여 톤 수요 기록. • - 도광판용 plate로 주로 사용되는 PMMA는 국내 레진 메이커들의 증설이 활발해 이 분야의 소재 국산화를 견인할 것으로 기대됨.
Base Film-PET Film 1) 최근 6년간 수요성장 연평균 2.6%로 저속성장……자기용, 포장용 수요는 감소하고 산업용은 급신장세 • - 2006년 기준 PET Base 필름의 용도별 판매 구성은 Plain 8.8%, ILC 3.2%, 증착용 5.0%로 포장용 제품의 구성비가 20%에 그침. • 반면 LCD용 수요의 증가에 따라 광학용 그레이드의 수요성장이 두드러졌던 산업용은 52.9%로 확대됐고 자기용 30.1%에 머무름. • PET 업계는 유가 상승에 따른 원재료가 상승의 문제와 필름 두께별로 선호도가 다른 세계시장에서 주로 중막을 위주로 한 자기용 • 이나 포장용 제품에 대한 Need는 줄어들고 IT제품에 투입될 박막이나 후막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체질 개선 중임. 2) 한국 범용 확산필름 생산능력 증설 활발……고부가 Base Film 수입의존도는 여전히 높아 • 국내에 광학용 PET Base film을 공급하는 기업은 SKC, 도레이새한, 코오롱의 3대 기업이며 주로 확산필름용 Base Film을 • 공급 하고 있음. 이 외에 보호 필름용 Base film은 Mitsubishi, Toyobo, 반사필름용 Base Film은 Toray,Teijin-Dupont 등의 • 일본 기업이 공급하고 있음. 2006년 기준 한국 VS 일본의 공급비율은 53.5%:46.5%로 일본 의존도가 비교적 낮은 편임.
Base -PMMA 1) 2010년까지 생산 12.6% 고성장…… LGMMA, 대산MMA 증설 모두 광학용 수요 증가를 목표로 • 한국의 PMMA 생산능력은 2006년 기준 2사 13만톤 규모에서 2008년 이후 3사 21만톤 규모로 확대될 것이 예상됨. • 특히 LGMMA의 No 2 공장, 대산MMA의 신설공장, Arkema의 증설 공장이 모두 광학용 시장수요를 타겟으로 하고 있어 광학용 • PMMA 공급의 원활성은 높아질 전망임. 2) 2006년 LCD용 PMA 국산화 35%에서 2012년에는 72%로 성장 예감 • LGMMA는 LCD 도광판용 시장의 성장세에 힘입어 도광판 전용 생산라인 4만톤을 증설해 국내에 수입되고 있는 일본제품의 • 국산화를 주도하고 있음. LGMMA를 제외하고 LCD용 PMMA를 공급하는 기업은 모두 일본계 기업으로 Sumitomo, • Ashai Chemical, Kuraray 등 3대 기업임. • LCD용 도광판에는 100% 적용이 예상되는 반면 확산판 시장에서는 고가문제로 MS, PS 등에 시장을 빼앗길 것으로 전망. • 그럼에도 불구하고 LCD 생산 증가로 인해 2012년까지 LCD용 PMMA 수요는 연평균 11.7% 성장 예상.
Base Film-PVA Film 1) Kuraray, Nippon Gohsei가 전량공급……한국은 100% 일본으로부터의 수입에 의존적임 • 전세계적으로 PVA 필름은 Kuraray가 85%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Nippon Gohsei가 15%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음. • PVA 필름은 연신 방법에 따라 무연신 PVA 필름과 이축연신 필름의 두 종류가 있으며 이축연신 필름은 Nippon Gohsei가 100% • 생산 제공하고 있음. 이축연신필름은 주로 식품포장용, 산업포장용, 농업포장 및 기타용으로 적용되고 있음. 2) 2012년까지 한국 수요 연평균 19.9% 가 수급타이트 예상! • TV용 LCD 패널의 생산 증가에 따라 편광판의 편광자인 PVA 필름 수요가 2012년까지 연평균 19.9% 성장이 예상되는 반면 • 공급은 한정적인 상황임. 2008년 Kuraray가 증설을 완료해야 최근의 공급 타이트를 만회할 것으로 전망됨.
Base Film-TAC Film 1) 후지필름, 코니카 미놀타 증설 때문에 가동률은 80% 미만……2010년 생산능력 79만8000km2로 확대 • TAC 필름은 현재 후지필름과 코니카 미놀타의 두 일본 기업만이 시장에 100% 공급하고 있으며 2006년 말을 기준으로 • 총 420,000km2의 생산능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음. 이 중 후지필름은 33만km2의 연간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 코니카미놀타는 9만km2의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음. 2) BLU 슬림화로 Base Tac의 두께는 박막화 추세…… TV용 패널 수요 성장으로 내열도는 향상시켜야 • - TAC 필름의 용도는 주로 LCD 등 광학용에 적용되고 있으며 이 외에 안경, 정밀부품의 코팅에 소량 사용되는 있는 상황임. • 2006년을 기준으로 한국의 TAC 필름 수요는 광학용 99%, 광학용 외 1%의 구성비를 기록했음. • TAC 필름 시장은 향후 LCD 패널 두께 박막화, 편광판 1장당 사용량이 2장에서 1장으로의 다운사이징됨에 따라 Base 필름의 • 박막화에 기술개발 초점이 맞추어질 것으로 예상됨.
가공 Film-BLU용 광학필름 1) 확산필름 수요가 전체 BLU용 수요의 31.4%에 육박…… 금액면으로는 프리즘필름이 31.6%로 선두 • 광학용 PET 가공필름은 확산필름, 보호필름, 반사필름, BEF 및 프리즘 필름, DBEF 등이 주를 이룸. 이 중 확산필름, 보호필름, • 반사필름, BEF 및 프리즘 필름은 LCD의 BLU(Back Light Unit)에 적용되고 있어 PET 가공필름은 주로 BLU에 적용됨. • 2006년 물량을 기준으로, 확산필름은 31.4%의 가장 높은 구성비를 기록했고 다음으로 반사필름 26.4%, BEF 및 프리즘 필름 • 18.4%, 보호필름 15.7%, DBEF 8.2%의 구성비를 보이고 있음. 물량면으로는 확산필름과 반사필름의 구성비가 높은 반면 • 금액면으로는 BEF 및 프리즘 필름과 DBEF가 56.2%를 기록해 구성비가 가장 높았음. 2) 2012년까지 BLU용 광학필름 연평균 수요성장률 12.5%…… 확산필름, 반사필름이 시장 성장 주도 - LCD의 밝기를 높여주는 프리즘 필름은 2-3년 전까지만 해도 3M이 거의 독점하던 시장이었고 높은 물적 특성을 요구해 고가에 런칭된 제품임. 이에 따라 Samsung과 LPL은 확산 필름에 프리즘 기능을 강화한 UTE 필름이나 확산필름 3layer로 전환하는 등 원가 절감 노력을 펼치고 있음. 이에 따라 2012년까지 확산필름은 연평균 17.7%, 반사필름은 16.0% 성장 예상.
가공 Film-BLU용 Plate 1) 도광판 모니터용 압출 제품 수요가 70% 육박…… 확산판, PMMA, MS 수요감소 => PS, PC 전환 예상 - 도광판은 CCFL의 배열이 엣지 부분에 위치할 경우 빛을 균일한 평면광으로 변환시켜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직하형으로 CCFL을 배열하는 TV용으로는 적용되지 않고 있음. 2006년을 기준으로 한국의 모니터용 도광판 수요는 전체의 70.1%, 노트북 PC 24.9%, 기타 5.0%의 구성비를 보였음. - 확산판의 재질은 PMMA, PC, MS, PS 등이 주로 적용되고 있는데 2006년을 기준으로 MS가 60%를 점유하고 있는 가운데 PMMA 15%, PS 16%, PC 10%의 구성비를 보이고 있음, 2)BLU 중 Plate 분야 2012년까지 연평균 14.5% 성장으로 필름 성장률을 웃돌 것으로 전망 • 2012년까지 주로 모니터용 패널에 적용되는 도광판 수요는 연평균 8.9% 성장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TV용 패널의 수요 • 성장에 따라 확산판 수요는 21.6%의 고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돼 Plate 전체 수요는 연평균 14.5% 성장 예상
가공 Film-편광판용 필름 1) 편광판용 소재, Base도 가공필름도 일본이 전세계 공급을 주도 • 편광판의 재료로 사용되는 PVA계열 편광자의 국내 환산수요 구성비는 2006년을 기준으로 14.6%, 지지필름 27.0%, 보호 및 • 이형 필름 29.2%, 색보상을 위한 위상차 필름 14.6%, 반사방지 필름 14.6%의 수요를 기록했음. 편광판에 사용되는 필름은 • Base 필름 형태가 아니라 가공필름 형태로 100% 일본으로부터 수입에 의존하고 국내에서는 최종 가공하는 상황임. 2) 2012년까지 연평균 16.6% 성장 예상…… PC, COP 등 기타 필름 성장률 27.1%로 시장 견인 예상 • 한국의 편광판용 필름 소재 수요는 2007년 37만 여 km2 에서 2012년 79만여 km2으로 2배 성장이 예상됨. 특히 위상차필름 • 성장이 예상되면서 기존의 TAC 뿐 아니라 PC, COP 등 기타 계열의 필름 성장이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
미 국 유 럽 Others Olefins & Derivatives C4 & Derivatives Aromatic & Derivatives Polymer & Plastics Fine Chemicals Specialty Chemicals 아 시 아 중 국 시장조사 및 분석 한 국 마케팅 전략 수립 중장기 수요예측 중국 시장분석 고객만족도 조사 원가 및 수익성 분석 사업타당성 분석 Thank You! 화학경제연구원 Consulting biz Introduction 발간일: 2007년1월분량: 135Page 가격: 50만원(VAT별도) 문의사항: 02-2108-8070 담당자: 컨설팅팀 김은진 전문연구원 E-mail : consulting2@ chemlocu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