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 likes | 591 Views
2010 년 1 월 4 일 서울 . 경기지방의 대설 사례. 2010 기상분석시스템 워크숍. 대전 ( 청 ) 이천기상대 기상주사보 이 정 미. 1 월 4 일 관측 실황. 서울 , 경기지역의 눈이 종료된 17 시까지의 최심 신적설 분포. 1 월 4 일 전국 최심 신적설 분포. 특보 발표 ( 발효 ) 진행 상황 ( 인천 , 서울 , 경기 ). 대 설 주 의 보. 대 설 경 보. 해제. 예보 발표. 주간예보 발표 현황. 단기예보 발표 현황.
E N D
2010년 1월 4일 서울. 경기지방의 대설 사례 2010 기상분석시스템 워크숍 대전(청) 이천기상대 기상주사보 이 정 미
1월 4일 관측 실황 서울, 경기지역의 눈이 종료된 17시까지의 최심 신적설 분포 1월 4일 전국 최심 신적설 분포
특보 발표(발효) 진행 상황(인천, 서울, 경기) 대 설 주 의 보 대 설 경 보 해제
예보 발표 • 주간예보 발표 현황 • 단기예보 발표 현황 -> 북서쪽에서 접근하여 중부지방을 지나는 발달한 저기압 영향을 강수 예상 -> ECMWF(EPSgram) : 4일 기압골 통과에 따른 강수를 예상
사례 분석 포인트 • 상.하층간의 쳬계적으로 잘 발달된 저기압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하여 • 내리는 양이 비교적 많을 것으로 판단하여, 특보 수준의 적설을 예상 하였지만, • 다음 사항에 대한 강수예보 오류가 나타났다. • 강수 Peak time(눈 예보 시점) 오류: • 4일 낮 (3일 05시 12시-18시 17시 9시-18시) • 실황 : 4일 7시~9시(인천 3일 23:50~4일 15:20, 서울 4일 00:10~15:10) • 강수 중심축 오류: 충청지역 • 실황 : 서울, 경기, 강원도를 중심 • 예상 적설 및 강수량 오류 : • 적설 2~7 cm, 많은 곳 10 cm 이상 강수량 : 5mm 내외 • 실황 : 최심 신적설/강수량 - 인천 22.3cm/14.4mm 서울 25.8cm/14.2mm
2010년 1월 4일 대설 사례 개념 모식도 시베리아 고기압 저지고기압 찬공기 저지고기압 저기압 따뜻한 공기
지상일기도 3일 00UTC 2일 12UTC 4일 00UTC 3일 12UTC
850hPa 일기도 -9 ℃ -11 ℃ 850 hPa 3일 00UTC 2일 12UTC -6 ℃ -7 ℃ 3일 12UTC 4일 00UTC
500hPa 일기도 -30 ℃ -30 ℃ 500 hPa 3일 00UTC 2일 12UTC -30 ℃ -30 ℃ 4일 00UTC 3일 12UTC
300hPa 일기도 300 hPa 3일 00UTC 2일 12UTC 3일 12UTC 4일 00UTC
2010 . 1. 3 12 UTC X 2760 300 hPa (Top) - 850 hPa (Bottom) 500 hPa (Top) - 1000-700 층후선도
2010 . 1. 4 00 UTC X *제트축 중심 풍속 120kt *서해상으로 양의 와도값20 *서해상에서 포차 1 이하인 강한 습윤역 300 hPa (Top) - 850 hPa (Bottom) 500 hPa (Top)
등온위면, 단열선도 280 oK등온위면 2010년 1월 4일 00UTC 오산 단열선도 2010년 1월 3일 18UTC~4일 00UTC 700~925 hPa강한 난기 이류 (850 hPa6℃/6h) 상승이류 + 습윤
<= 활강형 한랭전선 700~925 hPa강한 난기 이류 (850 hPa6℃/6h)
850, 700hPa기온 시계열(서울) 하층 난기유입 2010년 1월 3일 18UTC~4일 06UTC
850 고도장, 온위 850 하층난기유입 예측 2010년 1월 3일 18UTC 난기이류(빨강) 한기이류(파랑)
서울 연직시계열 한랭전선위치, 하층난기유입 예측 2010년 1월 3일 12UTC
건조 관입(Dry Intrusion) -수증기영상 제트기류를 타고 건조공기가 들어와서 하강하면서 그 경계부근에서 활강형(Kata) 한랭전선이 생성되어 대설을 촉발 시킴 저기압 중심부근 한기와 건조역이 유입되면서 그 경계역에서 상승기류가 강화 300hPa에서 상층 제트출구가 건조관입 영역과 일치
분석된 상.하층 기압골 이동 경로 모식도 L 저 L 저 L 02 12UTC L 지상저기압 저 저 저 850hPa 저기압 03 00UTC L 03 12UTC 500hPa 기압골 04 00UTC 300hPa 극제트
사례 분석 정리 • 강수 Peak time(눈 예보 시점) 오류: • 바이칼호 남동쪽의 저기압이 사할린 부근의 저지능의 영향으로 동진하지 못하고 남하, • 한반도 동쪽으로 특별한 저지 기압능이 없어서 기압계 흐름은 예상보다 다소 빠르게 이동. • 강수 중심축 오류: • 상층에서 예측이 안 되었던 상해부근의 키 작은 고기압이 • 저기압의 남하를 저지시키면서 거의 동진하면서 중심축이 중부지방으로 유입됨 • 예상 적설 및 강수량 오류 : • 기본적으로 상하층간에 잘 발달된 저기압의 시스템에 의해서 • 대설 수준까지 많은 양의 눈이 내릴 것으로 예상은 되었다. • 여기에 상층 제트 흐름과 건조관입이 연관되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 전례없는 기록적인 적설을 관측하게 되었다.
결 론 일반적인 중부지방의 대설특징은 한기의 지배하에서 하층 난기 유입이 강설 발생의 절대적인 기구.. • 2010.01.04 사례는 • - 한기가 정체된 상태에서 925~700hPa 하층에 난기 유입으로 불안정 유발 • - 한기를 동반한 상층기압골이 강화되어 상하층이 체계적으로 저기압 시스템을 발달시킴 • - Polar jet를 따라 차고 건조한 공기가 저기압 중심으로 유입(건조관입)으로 • 그 경계인 저기압 중심부근의 불안정이 강화되어 이래적인 적설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