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76

에너지환경경제학 Class 1: Introduction

아주대학교 에너지시스템사업단. 에너지환경경제학 Class 1: Introduction. 아주대학교 경제학과 , 에너지시스템학과 , 금융공학협동과정 교수 김수덕 (suduk@ajou.ac.kr). One Example to think over~. 목차. 사 업 의 개 요. 사업성과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연구수행에 따른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 구 의 필 요 성. 당 해 년 도 연 구 실 적. 사 업 의 배 경. 차년도 연구계획. 2. 3. 5. 7. 4. 1. 6.

armina
Download Presentation

에너지환경경제학 Class 1: Introduction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아주대학교 에너지시스템사업단 에너지환경경제학Class 1: Introduction 아주대학교 경제학과, 에너지시스템학과, 금융공학협동과정 교수 김수덕 (suduk@ajou.ac.kr)

  2. One Example to think over~

  3. 목차 사 업 의 개 요 사업성과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연구수행에 따른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 구 의 필 요 성 당 해 년 도 연 구 실 적 사 업 의 배 경 차년도 연구계획 2 3 5 7 4 1 6

  4. 1. 사업의 배경

  5. 산업경쟁력 평가의 대두 ▣ 제13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를 통해 “Post 2012” 기후변화대응체제 가동 ▣ 기업의 경영환경변화가 예상되며 환경변화에 따른 리스크와 기회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할 경우 비용부담 증가 예상 (삼성경제연구소, 2005) ▣ 기후변화 대처가 비지니스의 관점에서 어떤 의미를 주는가 (Lash and Wellington 2007) - 기후관련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줄이고, 그 위험 속에서 비지니스 기회를 찾는 것이경쟁 상대에 비해 우위를 갖추는 방법이라고 지적 ▣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는 비용이 들고 제약이 될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기업 에게 기회, 혁신, 경쟁력의 우위의 원천 (Harvard Business Review) ▣ EU의 경우, 신에너지정책(2007)에서는 신재생에너지산업을 기후변화성장 동력화하는 것이 주요 핵심 내용 ▣ Post 2012 체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국가적 준비와 전략이 필요한 상황에서현 정부는 지난해 8.15 경축사를 통해 저탄소녹색성장을 언급하면서 신재생에너지산업을 녹색 성장의 핵심동력으로 추진하기로 함.

  6. 저탄소 녹색성장과 에너지산업분야의 중요성 < 온실가스 배출/흡수 부문별 추이 > < 에너지 연소에 따른 부문별 배출 추이 > 참고문헌, 기후변화협약에 의거한 제3차 대한민국 국가보고서 작성연구(임재규, p. 79)

  7. 저탄소 녹색성장의 추이 (1) 신재생에너지 발전전략 ▣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육성 - 기술 : `06년 선진국 대비 70% 수준 -> `30년 선진국 수준 - 산업 : 4대 핵심분야를 중심으로 수출산업화 ▣ 폐기물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며(2006년 기준 76.1%), 태양광, 풍력 등 자연재생 에너지 원의 비중이 낮은 구조적 문제점을 가짐 ▣ 우리나라의 2030년 신재생에너지 11% 보급목표는 해외 선진국과 유사한 수준

  8. 저탄소 녹색성장의 추이 (2) 신재생에너지 보급계획 • - 제3차 기본계획에서는 신재생에너지 보급목표를, 1차 에너지 대비 신재생에너지 비중으로 ‘15년 4.3%, ’20년 6.1%, ‘30년 11.0% 달성을 제시하였음. (’07년 신재생에너지 비중 : 2.4%) • - 이와 함께, 집중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2020년 이전에 신재생 에너지의 Grid Parity(화석연료 수준의 발전단가와 동일수준)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음 • * 국산 신재생에너지의 경제성 확보시기(전망) • ▪(태양광) 제1, 2세대 태양전지 :2015년, 제3세대 태양전지 : '20년 • ▪(풍 력) 2MW급 풍력발전기 : 2010년, 5MW급 풍력발전기 :‘16년 • ▪(태양열) 10kW급 접시형 태양열발전시스템 :‘12년 • - 위와 같은 보급목표와 기술개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30년까지 총 111.5조원(보급투자비 100조원, 기술개발투자비 11.5조원)의 투자비가 소요될 전망이며, • - 이중 정부의 투자비는 ‘30년까지 총 39.2조원으로, 보급투자비는 32조원, 기술개발투자비 7.2조원으로 전망됨 ∘ 제3차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보급 기본계획(2009년 03월)

  9. 저탄소 녹색성장의 추이 (3) 스마트 그리드 국가 로드맵 확정 • ∘ 신재생에너지와 집단에너지사업 외에 그린에너지 산업의 한 방편으로 스마트그리드 국가로드맵 확정(2010년 1월 25일) • ‘스마트그리드 구축을 통한 저탄소 녹색성장 기반 조성’을 비전으로 설정하고, 시범도시․광역시도 등 ‘先거점구축, 後확산전략’에 따라 2030년까지 국가단위의 스마트그리드 구축완료를 목표함 • 이를 위해 지능형 전력망, 소비자, 수송, 신재생, 서비스 등 5대 분야에 대한 단계별 기술개발 및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 • 세계 최대․최첨단 규모로 조성되는 제주 실증단지를 국내 산업 활성화 및 해외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육성할 계획이니 기업은 비즈니스 모델 개발 촉구 • - 이를 통해 스마트그리드가 “제2의 원전”과 같은 수출전략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민․관 공동의 통합 수출지원체계를 구축할 계획

  10. 2. 연구의 필요성

  11. 분산형전원의 산업경쟁력 평가 필요성 ▣ 청정에너지인 신재생에너지는 녹색성장의 새로운 축 ▣ CHP등의 집단에너지사업은 효율적 에너지보급 시스템으로 인식 ▣ 에너지원은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적극적 정책방향으로 제시되고 있는 현실 ▣ 분산형전원의 국내 에너지산업 내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국제 경쟁력 평가필요 녹색기술 스마트그리드

  12.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산업경쟁력 평가 필요성 (1) ▣ 본 연구실에서는 중장기 목표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문제점을 도출 - 태양광과 풍력의 경우, 간헐성, 비급전성 등의 문제로 가용용량에 대한 확률적 접근방법이 필요함 - 각각의 에너지원이 전력수요 피크타임의 공급에미치는 영향과 그 결과로 나타나는 전원구성상의 문제를 SCM 방법으로 분석한 바 있음 (4개의 시나리오 반영) ▣ ‘3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에서 2030년 1차에너지 비중 11%목표 ▣ 이전 보급목표 미달성 : ’06년 목표: 3.0% 실적: 2.24% ▣ 지속적인 R&D투자에도 불구 기술경쟁력 부족에 따른 수입시장에 의존 ▣ 보급목표와 기술개발 목표달성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경쟁력 평가 필요

  13.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산업경쟁력 평가 필요성 (2) ▣ 아래의 그림은 태양광 전원의 발전량이 기준 안에 대해 미치는 영향이 극히 미미한 것으로 보이지만 피크시간에는 무시할 수 없음을 확인 ▣ 신재생에너지 전원은 분산형전원의 한 부분으로서 전력계통에 미치는 영향을 무시할 수 없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전력시장과 연계하여 산업 경쟁력을 평가할 필요가 있음 <그림 > 태양광발전이 피크시각 전력공급에 미치는 영향 (2030년) <그림 > SCM 분석을 통한 피크시 태양광발전량의 영향 (S1)

  14. 신재생에너지 평가기반이 되는 보급통계 DB의 연구 ▣ 현재 확보 가능한 DB를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보급분야의 성과 분석방법의 예시

  15. 집단에너지 사업의 산업경쟁력 평가 필요성 ▣ 집단에너지 사업법 제1조에 근거로 공급과 확대를 목적에 따라 지원되고 있으나 규제개혁단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 등은 지적 - 경쟁도입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봉쇄하는 과도한 규제 - 한전 발전자회사는 지역난방사업자에게 낮은 가격으로 열을 공급하는 대신 전력산업기반기금 의 지원을 받고 있음 - 합리적 근거없는 교차보조나 가격차별 등으로 네트워크 산업간 경쟁력을 인위적으로 차등화 하는 제도 존치 - 독점사업 부문에서는 소비자에 대한 사업자의 우월적 지위 남용이나 불공정행위에 대한 견제 장치 마련 필요 등 ▣ 집단에너지사업의 효율성에 관한 논의가 최근 쟁점화되는 현실 - H.C, Park, H.S Kim, “Heat supply system using natural gas in the residential sector: The case of the agglomeration seoul”. Energy Policy 36, p3843~3853, 2008 - 한국지역난방협회, 난방시스템별 에너지 사용효율성 비교, 2007 - 한국지역난방공사, 에너지기술연구원, '개별난방 대비 지역난방의 에너지 절감 및 환경개선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2006 등 따라서 집단에너지의 사업의 효율적인 평가방안을 마련하여 산업경쟁력 강화의 필요성

  16. 기타 주변산업분야 연구의 필요성(전력) ▣ 오차수정모형(error correction model) - 시간변동계수를 갖는 공적분 - 단기 동태적(short-run dynamics)인 관계 - 기온반응함수를 통한 온도지수 x 축: 온도, y 축: 도시사스 사용실적 z 축: 양변량 커널분포(bivariate kernel density distribution) -> 온도축에 대해 marginalize

  17. 기타 주변산업분야 연구의 필요성(전력) ▣ 에너지의 수요를 결정하는 요인 - 소득 - 자기재화의 가격 - 대체 보완관계에 있는 다른 재화의 가격 - 온도 - 기타 필요한 변수들이 포함되어야 함 ▶ 하지만 상기의 모형은 여타에너지와의 대체관계에 대한 고려가 되어 있지 않음

  18. 기타 주변산업분야 연구의 필요성(가스) 모형: panel data model estimation with cross-section fixed-effects and partial adjustment scheme (2008.10) - 자기가격탄력치 단기: -0.116 (유의함) => 비탄력적 장기: -0.527 (유의함) => 비탄력적 - 전기가격탄력치 단기: 0.309 (유의함) => 도시가스 수요와 대체관계 장기: 1.402 (유의함) => 도시가스 수요와 대체관계 - BC유 가격탄력치 단기: 0.052 (유의함) => 도시가스 수요와 대체관계 장기: 0.234 (유의함) => 도시가스 수요와 대체관계

  19. 전력분야 수요관리 가스분야 수요관리 열분야 수요관리 전력, 가스, 집단에너지분야의 수요관리 실태 최대수요 억제 Peak Clipping 최대부하 이전 Load Shifting 기저부하 증대 Valley Filling 기본요금연동제 시간대별 차등 요금제도 심야전력(갑) 요금제도 여름철 휴가,보수기간 조정제 계절별 차등 요금제도 축열식 기기 보급 자율절전제도 축냉식 냉방설비 보급 축열식 기기 보급 직접부하제어 비상절전제도 원격제어 에어컨 보급 최대전력 관리장치 보급

  20. 모형을 이용한 평가의 필요성 • ▣ 주로 기업 간의 경영효율성 평가에 이용하고 있는 DEA(Data Envelope Analysis)모형 • 을 사용하여 풍력과 태양광의 국외 기술 수준과 국내 기술 수준을 비교 분석하여 목표 • 수준 제시할 수 있고, 집단에너지 각 사업자의 규모, 실적, 기술수준 등을 고려한 효율성 • 을 평가 할 수 있음 • ▣ 에너지의 상대가격체계가 변화함에 따라 에너지에 대한 지출비중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 분석할 수 있는 AIDS (Almost Ideal Demand System)모형을 통해 신재생에너지와 • 집단에너지 산업의 에너지 소비행태가 다양한 상대 가격체계 하에서 어떻게 변화하는 지 • 를 평가 할 수 있음 • ▣ 본 연구실에서는 기술변화 가능성을 고려하여 신재생에너지 보급이 경제전반에 미치는 • 효과를 산업부문별로 파악하여 볼 수 있는 모형과 집단에너지 경제성 평가 모형 개발 • ▣ 모형에 의한 분석 결과에 따라 집단에너지 사업과 신재생에너지(풍력/태양광)의 경쟁력 • 평가를 하고 합당한 인센티브구조를 갖는 보급방안을 마련

  21. 거시적 에너지산업분야 연구의 필요성 에너지공급 측면의 체계 (원별, 분야별) 에너지수요 측면의 체계 (용도별, 원별) 에너지전환부문 (열, 전기, 도시가스) 거시경제적부문 (해외, 국내경제) 21

  22. 3. 사업 개요

  23. 사업의 최종 목표 ▣ 본 사업의 최종목표 DEA모형, Malmquist 지수, AIDS 모형, 신재생에너지 및 집단 에너지 경제성 분석 평가 모형 등을 활용하여 기후변화 대응관점에서 분산형전원의 경쟁력 을 종합평가 ▣ 아래와 같은 세부적인 최종목표를 정략적으로 평가할 수 있음 - DEA 모형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산업과 집단에너지사업의 경영효율 평가와 국내외 기업의 기술수준 평가 - Malmquist 지수와 기술변화, 효율성 변화 측정 - AIDS 모형을 통해 에너지 상대가격체계 변화에 따른 에너지 지출비중 변화 분석 - 다양한 상대가격체계 하에서 주어진 산업의 에너지소비형태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평가 - 본 연구실에서 수행한 바 있는 신재생에너지 및 집단에너지에 대한 경제성 프로그램을 이용한 경제성 평가 및 분석 ▣ DEA 모형, Malmquist 지수, AIDS 모형, 신재생에너지 및 집단에너지 경제성분석 평가 모형을 운용가능한 각 분야의 석박사급 연구인력을 1명 이상 양성하고 Post-2012를 대비 한 기후변화 등 국제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핵심 전문 인력 다수 육성

  24. 연차별 목표 및 사업범위 (1) 1차년도 사업목표 ▣ 본 연구는 1차년도에 기초적인 연구 기반구축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목표를 설정함. - 기존 문헌조사 및 정보활동 - 각 모형에 대한 연구진 기초교육 및 자질향상 - 각 모형의 변수에 대한 신뢰성 있는 DB구축 1차년도 사업내용 ▣ 국내외 기술현황 조사 - 기후변화 관련 국내외 동향 - 분산형전원 기술 국내외 동향 - 신재생에너지 국내외 동향 - 인터넷 자료조사 - 국제회의 참석 ▣ 기초교육 및 자질향상 - 기존 교과목 및 신규 교과목 개설 - 세미나 개최 - 각 모형관련 Gauss 프로그램 교육 - Gauss Engine 및 C++을 활용한 프로그램 교육 ▣ 모형에의 적용 - DEA 모형 - Malmquist 지수 - AIDS 모형 - PANEL 모형 - 신재생에너지 및 집단에너지 경제성 분석 / 시계열 분석 평가모형

  25. 연차별 목표 및 사업범위 (2) 2차년도 사업목표 ▣ DEA 모형, Malmquist 지수, AIDS 모형, 신재생에너지 및 집단에너지사업에의 적용 ▣ 각 모형의 결과를 본 연구의 최종목표인 기후변화 대응관점에서 분산형전원의 경쟁력을 종합평가에 반영하기 위한 적용방안 연구 2차년도 사업내용 ▣ DEA 모형개발 - DEA 모형의 설정 - DEA 입력변수 설정 - DEA Gauss 프로그램 - DEA 평가지표 및 결과도출 ▣ Malmquist 지수 개발 - Malmquist 평가지표 및 결과 도출 ▣ AIDS 모형 개발 - AIDS모형의 설정 - AIDS 입력변수 설정 - AIDS Gauss 프로그램 - AIDS 평가지표 및 결과 ▣ 신재생에너지 경제성분석 평가모형 - 신재생에너지 경제성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분석 ▣ 집단에너지 경제성분석 평가모형 - 집단에너지 경제성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분석

  26. 연차별 목표 및 사업범위 (3) 3차년도 사업목표 ▣ DEA모형, Malmquist모형, AIDS모형, 신․재생에너지 및 집단에너지 경제성분석 평가 모형에 대한 종합평가 및 기후변화대응관점에서 분산형전원의 산업경쟁력 평가 및 합리적인 지원제도 등 정책방안 마련 ▣ 각 분야 석․박사과정 1명 이상 배출 및 각 분야 국내외 관련학회 발표 및 SCI 논문 게재 및 가능기술 특허출원 조사 3차년도 사업내용 ▣ DEA 모형 활용 - 인력양성 - 학회발표 - 논문게재 ▣ Malmquist 지수 - 인력양성 - 학회발표 - 논문게재 ▣ AIDS 모형 활용 - 인력양성 - 학회발표 - 논문게재 ▣ Panel 모형등 계량분석모형을 이용한 수요분석 및 가격탄력성 추정(전력, 가스, 열분야) ▣ 적용방안 연구 - 인력양성 - 학회발표 - 논문게재 ▣ 기후변화대응 관점에서의 분산형전원의 경쟁력 평가 및 합리적인 지원 정책 방안 마련 - 경제력 평가 - 합리적인 지원제도 및 정책방안

  27. 연차별 추진 일정

  28. 사업비 총괄표

  29. 1차년도 비목별 세부내역 (단위 : 천원)

  30. 1차년도 인건비 세부내역

  31. 4. 당해연도 연구실적

  32. 4.1 사업목표에 따른 연구수행 내용

  33. 당해년도 연구수행 내용(1) ∘ 국내외 기술현황조사 • ▣ 최근 기후변화와 분산형 전원 기술, 수출전략산업으로 지정된 스마트그리드의 국내외 기술 현황 파악 • Smart Grid 국내외 추진배경, 사례 • 우리나라의 추진현황 및 산업별 세부 기술 도입 방안 • 국내업체 스마트그리드 기술보유 현황 • 스마트그리드가 전력시장에 미치는 영향 • - 또한 관련하여 스마트그리드의 효율적 구축과 기후대응방안 연구 진행 중 • 풍력 태양광 등의 신재생에너지 기술동향 조사 • 분산형전원 기술 국내외 동향 • 고효율기기인 CHP(Combined Heat and Power)를 축으로 효율적 에너지보급 시스템으로 인식되고 있는 집단에너지사업 모두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적극적 정책방향으로 제시되고 있음 • 집단에너지사업의 국내 보급현황, 공급실적 파악 • 집단에너지사업자별 CHP 효율 분석

  34. Smart Grid 국외 사례 해외 전력회사와 통신사업자 스마트그리드 협력현황 ▣ EUROPE

  35. Smart Grid 국외 사례 해외 전력회사와 통신사업자 스마트그리드 협력현황 ▣ North America

  36. Smart Grid 국외 사례 해외 전력회사와 통신사업자 스마트그리드 협력현황 ▣ Australia and New Zealand case ▣ ASIA and South America case

  37. 발전차액지원제도결과분석 - 단위투자비당 발전량 • 평균: 84.3 kWh/백만원, 표준편차: 15.13 • 최고 - 부산: 98.64 kWh/백만원, 문경: 97.98 kWh/백만원 • 최저 – 진도:67.86 kWh/백만원, 포항: 69.92 kWh/백만원 • 평균-2σ이하: 2개소, 1.7%, 전남 신안, 전북 고창

  38. 집단에너지사업자별 CHP 효율 분석(1) 서울특별시, 안산도시개발, 한국지역난방공사 : CHP를 통해 열 판매량이 전력판매량보다 훨씬 많고, 공급효율 또한 전력보다 열 부분에서 높음. GS 파워, 인천공항에너지 : 전력판매량이 열 판매량보다 많음 이를 전력과 열효율로 환산한 경우 오른쪽과 같이 좋합평가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볼 수 있음.

  39. 집단에너지사업자별 CHP 효율 분석(2) ∘ 에너지사용량 실증분석 * 한국지역난방공사(2006) ∘ 유럽위원회의 집단에너지정책 ▣ 유럽공동체 (Directive 2004/8/EC)는 CHP의 보급이 자율적인 에너지 시장에서 보급이 어려울 것이고 뒤떨어진 정책이라 여겨, CHP가 개별난방에 비해 10%이상의 에너지 절감효과가 있는 경우만을 고효율 열병합(high-efficiency cogeneration)에 해당됨을 명시하였고, 관련 내용을 면밀히 조사해야 한다고 지적한 사례도 확인

  40. 당해년도 연구수행 내용(2) ∘ 기초 교육 및 자질 향상 • ▣ 에너지공학, 에너지경제학, 에너지문제연구, 에너지수리방법론, 에너지시스템 최적화 등의 학과내 관련 과목 수강 • ▣ 환경관리공단 주최, 온실가스 감축 방안 관련 4주 교육 수료(류승현, 심홍석, 어성윤) • ▣ 총 6차례에 거친 전문가 세미나 • 정용헌 2회(에너지경제연구원) : International Energy Outlooks: Review of 4 Energy Outlooks • 문춘걸(한양대학교) : 부하와 가격 탄력성 추정을 위한 계량 경제 모형 • 박영구(아주대학교) : 에너지시스템의 이해 및 실증분석 • 김용건(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국내 CGE 모형 개방 방안 • 김영산(한양대학교) : • ▣ 국제회의 참석 • 박사과정 Dodinh Long, 석사과정 류승현 및 구자열(공모전 부상), 심홍석(공모전 부상) 제 15차 덴마크 코펜하겐 기후변화협약 회의참석 • 김수덕 교수, 2009년 10월 일본, 츠쿠바 Asian Modeling Forum 발표

  41. Asian Modeling Forum ∘ 포럼 내용 • ▣ CGE 모형을 비롯한 IAM(Integrated Assessment Model), IPAC(Integrated Policy Model for Chima) 등의 국외에서 연구되고 있는 여러 국가모형에 대한 데이터 구성, 모형개발, 시나리오 작성 등에 대한 국제 포럼 • ▣ 미국, 인도, 인도네시아, 중국, 일본, 이탈리아, 스페인, 네덜란드 등 참석 • GeoffreyJ, Blanford(EFRI) : A Model for Evaluating Regional and Global Effects of GHG Policies • Shuichi Ashina, Junichi Fujino(Int’l) : Low-Carbon Society models • valentinaBosetti(Fondawione Eni Enrico Mattei) : Optimal Growth Integrated Assessment Model • Jiang Kejun(Energy Reserch Institute) : Integrated Policy Model for China • Tom Kram(Netherlands Environmental Assessment Agency) : Intergrated Model to Assess the Global Environment • PeterRuss(Joint Research Centre) : Prospective Outlook on Long-term Energy System

  42. 당해년도 연구수행 내용(3) ∘ DB 를이용한 연구진행 ▣ 한국은행 IO Table 점검 및 보완 (CGE모형상의 SAM 구성필요성) ▣ 전력산업관련 발전소별 오염물질배출량(2008) ▣ 광공업 통계자료(2007, 2008) ▣ 석유제품 산업 물량, 가격 등의 통계자료(~ 2008) ▣ 도시가스 및 집단에너지 사업 관련 통계자료 (2007, 2008) ▣ 발전차액 보급현황(2008) 및 신재생 에너지 보급 통계 등(2008) ▣ 전력부하분석을 위한 기초자료 - (전력, 타 에너지, 기상 등) 수집 중 ∘ DEA 모형연구 • ▣ DEA 모형을 이용한 기후변화대응 국내 화력발전소의 경영효율성과 환경효율성 분석 • 분석 대상인 DMU(Decision Maki Unit)로 사용된 자료는 2007년 국내 26개 발전소의 CO2방출량, N2O방출량, CH4 방출량과 생산된 총 발전량이다 도출된 결과를 통하여 최적의 경영효율성과 환경효율성을 보이는 발전소를 선정하며 나머지 발전소의 비효율성 정도를 연구

  43. 그외 관련 연구진행 상황 • 에너지가격 측면에서 살펴 본 산업용도시가스와 전력수요 : 전력과 도시가스 요금의 변화가 산업용전력과 도시가스에 대한 지출규모와 에너지사용량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여름철 전력수요와 겨울철 도시가스수요의 측면에서 점검 • 가격체계를 이용한 전력과 가스의 수요관리와 기후변화대응 : 가격체계를 통한 통합수요관리를 위해 가정용 도시가스와 전력에 대한 지출규모와 에너지사용량 변화 분석 • 풍력전원이 피크타임과 발전설비구성에 미치는 영향분석 : 풍력전원의 시간대별 특성을 고려하여, 풍력전원이 내재하고 있는 불확실성이 피크타임에 미치는 영향과 기존 전력수급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 • 독립적인 소규모 발전회사들이 발전시장 경쟁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발전시장의 비용구조와 시장구조 자료를 적용하여, 전체 용량의 4% 내외를 가격수용자 기업들이 보유하는 경우의 효과를 분석 (김영산교수 공동) • 국내 태양광보급사업의 평가: 발전차액 지원제도를 기준으로 : 발전차액지원제도와 관련된 에너지관리공단의 내부 자료를 이용하여 119개의 태양광발전사업의 실증평가 • 기타 ∘ 관련 연구 진행

  44. 4.2 주요 학술논문

  45. 논문 게재

  46. 국내학회 발표

  47. 국제학회 발표

  48. 학술대회 수상

  49. 보고서 발간

  50. GCOE international symposium, 우수논문상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