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0 likes | 960 Views
SCM 구조 및 성격 . 1. SCM 의 공급측면과 수요측면의 구조에 대해 알아본다 . 2. PUSH 형과 PULL 형의 구조에 대해 알아본다 . 3. SCM 의 채찍효과 (Bullwhip Effect) 에 대해 알아본다 . 채찍효과 (Bullwhip Effect : 소비자 수요의 작은 변동이 공급자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크게 확대되는 효과 ) 의 대처. 1. SCM 의 구조 cont. SCM 은 다음의 두 가지 구조형태로 분류
E N D
SCM 구조 및 성격 1. SCM의 공급측면과 수요측면의 구조에 대해 알아본다. 2. PUSH형과 PULL형의 구조에 대해 알아본다. 3. SCM의 채찍효과(Bullwhip Effect)에 대해 알아본다.
채찍효과(Bullwhip Effect : 소비자 수요의 작은 변동이 공급자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크게 확대되는 효과) 의 대처
1. SCM의 구조 cont. • SCM은 다음의 두 가지 구조형태로 분류 • 공급측면부분(Supply Chain)과 수요측면부분(Demand Chain)의 구조 • Push형(제품을 밀어내는 공급망)과 Pull형(제품을 당기는 공급망)의 구조
1. SCM의 구조 cont. • 공급측면과 수요측면의 구조
1. SCM의 구조 cont. 2. Push형과 Pull형의 구조 cont.
1. SCM의 구조 cont. 2. Push형과 Pull형의 구조 그렇다면 왜 비효율적인 Push형(제품을 밀어내는 공급망)이 생성되어 운영되어 왔을까?
Bar code와 POS • 현실적으로 제품을 당기는 공급망을 수행할 수 있는 기본적인 인프라 스트럭처가 미비 • 제품을 당기는 공급망의 가장 기본적인 도구는 소매점의 POS 시스템이다. • 우리나라에는 1980년대 중반에 처음 도입 • 우리나라 POS는 아직 표준화가 되지 않은 상태이다. • 현재 미국의 거의 모든 제품에 Bar Code가 부착되어 있고 POS 단말기가 상당히 보급. • 최근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Device)가 개발되어 물류창고의 재고상황도 사무실에서 파악가능(바코드를 일일이 스캐너 하지 않더라도 원거리에서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는 장치)
역유통(Reverse Logistics) • 대부분의 공급사슬관리란 앞에서 언급한 원재료 공급업체로부터 제조업체로 흐르는 신제품을 의미 • 폐기되거나 한번 사용된 제품을 다시 공급망으로 돌아오게 하는 것도 공급사슬관리의 대상이다 • 환경보호 관점에서 관심 • 42페이지 예
2. SCM의 성격 cont. 1. SCM의 핵심개념 채찍효과
2. SCM의 성격 cont. 1-1 Bullwhip Effect의 현상 • Bullwhip Effect는 다음의 두 가지 현상을 의미 • 첫째, 공급망에 있어서 소매상-도매상-제조업체의 주문현상이 실제 소비자가 구매하는 소매점에서의 실제 수요보다 더 큰 규모의 변화를 유도하는 것. (수요왜곡) • 둘째,주문량의 변화가 공급망을 따라가면서 증대하는 것. (변화확산)
2. SCM의 성격 cont. 2. Bullwhip Effect의 생성요인 가. 개별기업 관점에서의 주문 • 공급망 전체의 관점이 아니라 개별기업의 관점에서 의사결정을 수행하게 되면 이것은 공급망 전체의 왜곡현상을 발생시김. • 특정 의사결정자가 소비자(수요)의 미약한 움직임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제품의 부족을 우려하여 단시일 내에 안전 재고량을 늘일 경우, 공급망 전체의 주문폭증을 유발하여 제품생산이 늘어나기 시작 • 이러한 생산증대는 공급망상의 수요 왜곡으로 업체들의 피해를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됨
2. SCM의 성격 cont. • 소주 사재기 파동 • 1990년대 말기에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소주사재기 파동은 국내의 Bullwhip Effect의 하나의 사례라고 볼 수 있다. 그 해 가을에 유럽의 주류제조 수출 국가들의 압박으로 인해 우리나라 정부가 그 다음해 1월부터 소주가격에 세금을 더 부가하여 가격인상을 예고하자 도매상들이 소주사재기에 발 빠르게 나섰다.소주 품귀현상을 보이자 정부가 주도하여 도매상에 대한 세무조사를 실시하겠다고 경고하면서 단속에 들어간 때가 있었다. 이 경우는 소비자들이 다음 해 1월부터 소주가격이 오를 것이라고 예상하여 평소보다 조금 더 구매를 늘리기 시작하자, 소매상들도 소주사재기에 나섰고 도매상들 또한 상당한 분량의 소주사재기에 나선 것이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소주 값이 그 다음해 1월부터 약간 오른다고 해서 소비자들이 소주를 미리 구매하여 몇 달씩 보관하는 경우는 그다지 많지 않았다. 단지 도매상들이 전국의 소주를 대량 구매하여 야적장에 보관하면서 재고관리를 한 것이다. 소비자의 움직임은 별로 없었으나 소매상과 도매상들이 많이 움직인 경우라고 할 수 있다.
2. SCM의 성격 cont. • 가전제품 특소세 파동 • 1990년대 말, 정부가 가전제품의 특별소비세를 다음 해 1월부터 인하하겠다고 발표하자 소비자들이 다음해 1월 이후로 구매를 연기하였다. 이로 인하여 가전제품 도매상과 소매상들의 가전제품 판매가 급격히 감소하자 이들은 정부의 발표시기가 너무 빨랐다고 불만을 터뜨린 적이 있었다. 이것은 앞의 소주가격인상 예고와는 정반대가 되는 경우로서 가전제품의 가격인하 예고가 소비시장에 찬물을 부은 경우이다. 소비자들이 구매를 잠시 연기한 것이 소매상과 도매상의 판매에 상당히 큰 영향을 준 것이다. 실제로 그 당시의 소비자조사 결과에서는 구매를 연기한 소비자가 그다지 많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소매상과 도매상들은 판매가 급감한 것으로 느낀 것이다. 이것은 실제 소비자들의 구매가 줄어든 것이 아니다. 소매상과 도매상들이 일정 양의 여유재고로 가지고 있었는데, 다음해에 가격이 인하될 것으로 알려지자 이러한 여유재고가 감소하기 시작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소매상은 중소형 도매상으로부터 매입을 줄이고, 중소형 도매상은 대형 도매상으로부터 매입을 줄이며, 대형 도매상은 제조업체로부터 매입을 줄인 것이다. 가전제품 전체 공급사슬에서의 재고보유가 줄게 되자 소매상과 도매상들의 입장에서는 판매가 격감된 것으로 느꼈던 것이다.
2. SCM의 성격 cont. 2. Bullwhip Effect의 생성요인 나. 불규칙적인 주문량과 판매량 • 잦은 주문으로 인한 배송과 공급처 관리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주별, 월별, 분기별 주문이 상례화 되어 가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Hockey Stick 현상이 자주 나타나는데, 이 현상은 수요나 주문을 더 많이 왜곡시키면서 Bullwhip Effect를 더 크게 초래하는 원인이 됨 • Hockey Stick 현상 • 특정기간(월별,분기별) 관점에서 볼 때 초반이나 중반보다는 후반에 주문량이 증대하므로 생산부서와 판매부서에서 특정기간에 목표량을 맞추어 관리하는 현상
2. SCM의 성격 cont. • 사례; 화장품업계의 Hockey stick 현상 • 우리나라의 제품 가운데 화장품의 경우에는 월별로 Hockey Stick 현상이 나타난다. 화장품 전문점에서는 월초나 중반에 매입한 화장품 대금을 월말에 지불하여야 하므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덤핑시장을 포함한 여러 곳으로 화장품을 내놓으며 이렇게 마련한 자금으로 화장품 제조업체나 벤더에게 대금을 지불한다. 따라서 월말에 화장품 물동량이 전국적으로 대폭 증대하게 되고, 중소 메이커의 경우에는 시장점유율 확대를 위해 이러한 시기에 마구 밀어내는 경우도 발생한다. 가격이 문제가 아니라 일단 유통에 밀어내게 되면 제조업체에서는 판매량 증대로 시장점유율이 높아졌다고 인식하는 것이다. 따라서 화장품의 초과공급량은 벤더, 화장품전문점, 화장품덤핑시장, 카셀 등에서 유통재고를 책임지게 됩니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 대부분의 화장품 도소매상들은 전산화가 되어 있지 않아 소비자에게 실제로 판매되는 물량을 아무도 정확하게 알지 못한다. 단지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은 화장품의 수많은 공급망상에 실제 소비자의 수요보다도 더 많은 양이 공급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실제로 이 중에서 소비자에게 판매되는 양은 그다지 많지 않으며, 단순히 유통업체끼리(소매상, 중소형 도매상, 대형 도매상) 화장품을 주고 받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이것은 화장품 뿐만 아니라 PC 소모품이나 각종 문구와 잡화류의 유통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으로서 소비자의 수요변화(수요증대나 수요감소)와는 별 상관없이 그저 유통업체 간에 제품을 주고 받는 현상이다. 이것은 소비자 지향적인 현대의 SCM의 시각에서 볼 때 엄청난 문제이다.
2. SCM의 성격 cont. 2-1. Bullwhip Effect 생성요인의 해결방안
2. SCM의 성격 cont. 3. Bullwhip Effect 관리방식
2. SCM의 성격 cont. 3-1 공급망상의 목표와 인센티브 조정 • 제조업체 세일즈맨이 소매상에게 판매하는 목표를 장기적인 관점에서 판매에 치중하는 것. 위 방식대로라면 소매상에게 밀어내는 Forward Buying의 양도 줄이게 되므로 공급사슬 전체 측면에서 수익성에 도움을 줌 • 제조업체의 세일즈맨에 대한 업무평가를 소매상이 소비자에게 판매한 실적을 기준으로 평가하는 것. 소매상에 납품한 제품이 실제 소비자에게 판매되지 않으면 대금을 결제하지 않기 때문에 세일즈맨의 판매실적으로 인정할 수 없게 됩니다. 이것은 철저한 소비자 위주의 SCM 기법으로 현실업무로 철저히 반영한 결과이다.
2. SCM의 성격 cont. 3-2 정보의 정확성 • 정보의 정확성을 현실화 시키는 데에는 다음의 네 가지 방법 • CRP (Continuous Replenishment Program) • VMI (Vendor-Managed Inventory) • CMI/JMI (Co-Managed Inventory / Jointly-Managed Inventory) • CPFR (Collaborative Planning, Forecasting and Replenishment)
2. SCM의 성격 cont. • CRP (Continuous Replenishment Program) • 도매상과 제조업체가 소매상의 POS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품보충에 나서는 것으로 CRP는 원재료 공급업체나 도매상 혹은 제3자 기관이 관리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 CRP는 소매상의 실제 POS 데이터의 판매자료에 근거해야 하지만, 소매점포의 자료를 입수하여 분석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관행 상 소매상의 창고로부터 제품이 빠져나가는 것에 근거를 둔다. • VMI (Vendor-Managed Inventory) • 제조업체에서 도매상의 재고를 관리하고 도매상이 소매상의 재고를관리하는 것으로써 소매상의 모든 재고관리를 궁극적으로는 그 상위레벨(도매상 혹은 제조업체)의 업체에서 수행함으로써 소매상에서발생하는 정확한 판매정보를 도매상과 제조업체가 공유하려는 것이다. VMI는 기본적으로 제조업체나 Vendor에서 소매점과 협의 • 하지 않고 단독으로 수행하며, 소매점은 자사의 POS에서 인식된 • 양만큼 제조업체나 Vendor에게 대금을 지불하고 있다.
2. SCM의 성격 cont. • CMI/JMI (Co-Managed Inventory / Jointly-Managed Inventory) • 제조업체나 Vendor의 재고관리 수준을 소매점과 협의하면서 수행하는 형태로 최근에 활용되고 있으며, 이것은 제조업체나 Vendor가 예측한 양 • 을 소매점에게 보고하고 이를 소매점이 확인한 후에 재고관리가 수행된다는 점에서 VMI보다는 한 단계 더 진보한 개념이다. • CPFR (Collaborative Planning, Forecasting and Replenishment) • 각종 정보의 공유는 SCM에 관여하는 업체들의 전체 효율화에 도움을 주며,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를 하게 되면 정확하게 정보가 전달되면서 어느 정도의 공급량 증대는 감소시킬 수 있으며, 공동으로 협력하여 생산계획이나 판매계획을 수립할 수 있게 됩니다. 원래는 Wal-Mart와 P&G사가 공동으로 만든 CFAR에 계획기능(Planning)을 추가하여 CPFR이 만들어 졌다.
2. SCM의 성격 cont. 3-3 운영 효율의 등대
2. SCM의 성격 cont. 1) 재고보충기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수요의 불확실성을 줄이는 것 ; 주별이나 월별 단위의 재고보충기간을 일별이나 2~3일로 단축시키면 수요의 불확실성이 어느 정도 감소됨. ASN(Advanced Shipment Notice), Cross-Docking or Flow Through Transportation ASN(Advanced Shipment Notice)보충될 재고량을 배송 전에 소매점에게 알리고 실제로 배송될 때 이와 대조 시킴으로써 재고를 보충하기 위해 들이는 노력을 감소시킨다. Cross-Docking or Flow Through Transportation배송된 물건을 창고에 보관하지 않고 배송과 동시에 바로 소매점별로 분류하여 배송하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물류창고에서 적체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당연히 재고보충기간이 짧아지게 된다.
2. SCM의 성격 cont. 2) 실제로 과거에 소매점에서 판매된 양에 따라 공급하는 것 ; Turn & Earn 방법으로 현재 소매점들이 주문한 양을 기준으로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과거에 소매점에서 판매된 양에 따라서 공급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실제 판매에 기초하고 있으므로 훨씬 더 정확하다고 볼 수 있다. 3) 생산량과 발주량의 기본단위(Lot Size)를 줄이게 되면 공급망상의 채찍효과를 줄이는 것 ; 발주량의 기본단위를 줄이는 것은 조달,수송,수납과 관련된 각종 재고비용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킨다.
2. SCM의 성격 cont. 3-4 가격전략 수립 • 소매상에게 불필요한 물품을 구매해야 하는 경우가 생기므로 재고가 쌓인다. • 이러한 폐단을 막기위해 EDLP(Every Day Low Pricing) 전략
2. SCM의 성격 cont. 3-5. 리드타임 단축 • 리드타임이 긴 공급망의 경우 • 리드타임이 몇 주라 하더라도 어느 정도 수요가 증대할 경우에 수요왜곡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공급망상에 허수주문이 나타나게 된다 • 리드타임이 짧은 경우 • 제품 회전기간이 빨라지므로 대규모의 허수주문 발생률이 낮아진다.
2. SCM의 성격 cont. 3-5. 리드타임 단축 • 일반 공산품의 경우 • 정부의 정책변경, 국제유가변화 등으로 인해 품귀현상이 나타날 것을 우려하여 사재기 현상이 나타나게 되면, 채찍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 자연생산품의 경우 • 공급망상에서 주문이 늘어나더라도 소, 돼지, 닭고기의 생산량은 어느 정도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갑자기 공급망이 팽창하지는 않는다. • 일일 생활식품의 경우 • 매일 배송(Daily Dispatching)되는 제품의 경우에는 제품이 많이 판매된다고 해서 아무리 주문을 많이 해도 실제로 공급량은 증대되지는 안는다.
정리1 1.SCM 구조는 공급측면 부분 (Supply Chain)과 수요측면 부분 (Demand Chain)의 구조와 Push형(제품을 밀어내는 공급망)과 Pull형(제품을 당기는 공급망)의 구조로 분류할 수 있다. 2.SCM이 시작되는 공급측면인 원재료 공급업체를 보통 Mother Earth라고 부르며, Mother Earth에서 시작한 배송이 제조업체로 흘러가게 됩니다. 이러한 제조업체는 수요측면인 도매상(Vendor)에 제품을 공급해주며, 도매상은 다시 소매점에게 제품을 전달하게 된다. 3.Push형은 제품을 밀어내는 공급망(Push Process of Supply Chain Management)을 말하며, Pull형은 제품을 당기는 공급망(Pull Process of Supply Chain Management)를 말한다. 4.비효율적인 Push형(제품을 밀어내는 공급망)은 1980년대 미국에서 소비자의 실제 구매자료에 근거하지 않고 막연한 예측으로 생산과 판매를 해오면서부터 Push형이 생성, 운영되어 왔다.
정리2 5. 소비자로부터 시작된 변화가 소매상과 도매상을 거쳐 제조업체로 넘어오면서 상당히 부풀려지는 것을 채찍효과(Bullwhip Effect) 라고 부른다. 6.Bullwhip Effect는 실제적으로 공급망상의 왜곡된 정보의 전달 현상이 막대한 비효율성을 야기시켜 생성되는 것으로 다음의 두 가지 현상을 의미한다. - 공급망에 있어서 소매상-도매상-제조업체의 주문현상이 실제 소비자가 구매하는 소매점에서의 실제 수요보다 더 큰 규모의 변화를 유도하는 것. (수요왜곡) - 주문량의 변화가 공급망을 따라가면서 증대하는 것. (변화확산) 7.채찍효과(Bullwhip Effect)를 줄이면서 공급망의 수익성을 올리는 방법에는 공급망상의 목표와 인센티브 조정, 정보의 정확성 향상, 운용효율성의 증대, 가격전략 수립, 리드타임 단축 등의 방법이 있다. 8.정보의 정확성을 현실화 시키는 방법으로는 CRP, VMI, CMI/JMI, CPFR 등이 있다. 9.제조업체, 도매상, 소매상 간의 폐단을 막기 위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EDLP(Every Day Low Pricing)는 소매상이 일년 내내 항상 최저가로 제품을 구매하여, 소비자에게도 일년 내내 항상 최저가로 제품을 판매한다는 방식으로부터 나온 가격 전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