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 likes | 446 Views
곤충의 생활전략 “ Behavior ”. Hallym Univ. 배우행동 (Mating behavior). 혼인증정 (nuptial gift) : 교미에 앞서 수컷이 암컷에게 물건 ( 먹이 ) 을 선물 , 각다귀붙이속 , 춤파리 , 밑들이과 , 초파리과 , 노린재과 혼인비행 (nuptial flight): 여왕벌이 혼인 비행을 하면 수컷은 성 페로몬에 이끌려 공중에서 교미를 함 . 구애행동 (courtship behavior): 곤충에 따라 특이한 행동 후에 교미를 함. 노랑초파리의 구애행동
E N D
곤충의 생활전략“Behavior” Hallym Univ.
배우행동(Mating behavior) • 혼인증정(nuptial gift) : 교미에 앞서 수컷이 암컷에게 물건(먹이)을 선물, 각다귀붙이속, 춤파리, 밑들이과, 초파리과, 노린재과 • 혼인비행(nuptial flight): 여왕벌이 혼인 비행을 하면 수컷은 성 페로몬에 이끌려 공중에서 교미를 함. • 구애행동(courtship behavior):곤충에 따라 특이한 행동 후에 교미를 함
노랑초파리의 구애행동 • 수컷 - 0.006초의 날개 진동과 0.034초의 휴지를 반복하여 구애 • 암컷 –촉각의 단사로 감지
2. 행동의 기반 • 생득적 행동 패턴 –유전적으로 생기는 행동 양식 • 학습행동(learned behavior) –습관, 예민화, 강화, 모방, 잠재학습, 연합학습 *잠재학습 실험 A.노래기벌은 먹이를 잡으러 나가기전 집 주위를 학습함. B.솔방울을 이동시키면 옮긴 쪽으로 귀소
3. 정보전달 • 정보 전달 수단 • Chemical communication • Mechano communication • Visual communication • 촉각적 communication
Chemical communication • 화학물질에 의한 개체간의 정보교환 • 종류 • Pheromone : 동종의 다른 개체에 영향 • Allelochemical(이종감응물질) : 이종간의 개체에 대해 특정한 행동변화를 유발 • Pheromone의 종류- 성 페로몬, 집합 페로몬, 경보 페로몬, 길잡이 페로몬
Mechano communication • 기능 –유인, 배우, 집합, 경보, 방해 • 배우신호 : 울음소리,구애가,교미가귀뚜라미류, 매미, 메뚜기류 • 집합신호 : 발신자의 음신호에 대해 다수의 수신자가 반응하여 집합이 형성 • 경보신호 : 사회성 곤충(개미,흰개미)은 마찰음을 내어 위험을 알림 • 공격신호 : 귀뚜라미류, 나무좀은 경쟁음을 내어 개체간의 순위를 결입
Visual communication • 체색과 색체의 패턴, 빛의 점멸 패턴, 몸의 자세와 동작, 표정 및 타이밍 • 반딧불이의 발광: 성충의 발광은 암,수간의 의사소통으로 사용
촉각적 커뮤니케이션 • 꿀벌의 춤 언어 : 먹이가 있는 거리에 따라 2 종류의 춤이 있다. A : 원무(먹이가 가까이 있을때) B : 8자형 흔들춤(먹이가 멀 때)
4. 이타행동 • 이타행동 : 자신의 생존, 번식을 희생하여 다른 개체에게 이익을 주는 행동 -사회성 곤충의 노동계급, 병정계급은 자식을 남지지 않든가 극히 소수를 남김 • 혈연선택 : 혈연자의 적응도를 높임으로서 진화하는 경우, 그 과정에 작용하는 선택
*사회성 곤충의 이타행동 • 반배수성(haplodiploidy): 암컷은 2배체(diploid), 수컷은 1배체(haploid) • 불임계급의 진화 : 불임계급, 사회성 곤충의 진화에는 혈연선택이 중요한 역할.
비혈연자간의 이타행동 • 상호협력행동, 조작 및 호혜적 행동 • 상호협력행동-복수의 개체가 협력하여 서로 이익을 얻는 행동. Ex. 찌르레기의 탁란 • 조작된 이타행동 • 기생자가 숙주의 행동을 바꾸는 경우 • Dicrocoelium dendriticum(흡충) –개미를 중간 숙주로 하고 양이 최종 숙주 ← 개미의 식도하 신경절에 잠입 후 행동 변화 유발
5. 자극에 대한 반응 • 무정위 운동성(Kinesis) • 변속 무정위 운동성, 변향 무정위 운동성 • 주성(Taxis) • 화학,중력, 온도, 광, 접촉, 굴곡주성 등. • 고정적 행동 패턴(Fixed action pattern) • 배우, 영소, 방어 등의 복잡한 행동 • 학습행동(Learned behaviour) • 습관, 강화, 연합학습, 잠재학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