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 likes | 269 Views
What is Samguk yusa. Eun-su Cho Dept. of Philoso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삼국유사 Samguk Yusa , or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
E N D
What is Samguk yusa Eun-su Cho Dept. of Philoso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삼국유사Samguk Yusa, or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A collection of legends, folktales, biographies, and historical accounts relating to the Three Kingdoms of Korea (Goguryeo, Baekje and Silla), as well as to other periods and states before, during, and after the Three Kingdoms period.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Compiled/composed by the Buddhist monk 일연 Iryeon (1206 - 1289), during 1281-1283, at the end of the 13th century, a century after the Samguk Sagi,a more factually-oriented history. This contains the earliest extant record of the Dangun legend, which records the founding of Gojoseon as the first Korean nation.
Composition/Names of the Chapters <5 volumes in 9 chapters> 1권 (Book One) 왕력(Chronology of the kings) 기이 I(Wonder I – before unification) 2권 (Book Two) 기이 II (Wonder II – after unification) 3권 (Book Three) 흥법III (Rise of Buddhism) 탑상IV (Pagodas and Buddhist Images) 4권 (Book Four) 의해 V (Anecdotes of Renowned Monks) 5권 (Book Five) 신주 VI (Miracles) 감통VII (Tales of Devotion) 피은VIII (Seclusion) 효선 IX (Fillial Piety)
신라왕조 계보 『삼국사기』: -진덕왕(647-654)상대; 무열왕(654-661)-혜공왕(765-780) 중대; 宣德王(780-785)-경순왕(927-935)까지를 하대 『삼국유사』:-지증왕(500-514)상고上古;법흥왕(514-540)부-진덕왕까지를 중고 中古, 무열왕 이후 경순왕까지의 시기를 하고下古. • 1대 혁거세(赫居世) (B.C.57) : 박, 거서간(居西干 혹은 거세간) • 2대 남해(南解, A.D.5) : 박, 차차웅 • 3대 유리(儒理, A.D.24) : 박, 이사금 • 4대 탈해(脫解, A.D.57) : 석, 이사금, 토해(吐解). • 5대 파사(婆娑, A.D.80) : 박, 이사금, 유리의 둘째 아들. • 6대 지마(祇摩, A.D.112) : 박, 이사금, 기미(祇味). • 7대 일성(逸聖, A.D.134) : 박, 이사금, 유리의 아들 혹은 일지(日知) 갈문왕의 아들 • 8대 아달라(阿達羅, A.D.154) : 박, 이사금 • 9대 벌휴(伐休, A.D.184) : 석, 이사금, 탈해의2대손으로 아버지는 각간(角干) 구추(仇鄒)이다. • 10대 내해(奈解, A.D.196) : 석, 이사금, 벌휴(伐休)의 손자. • 11대 조분(助賁, A.D.230) : 석, 이사금, 제귀(諸貴). 벌휴의2대손으로,아버지는 골정(骨正) 갈문왕 • 12대 첨해(沾解, A.D.247) : 석, 이사금, 조분의동생 • 13대 미추(味鄒, A.D.262) : 김, 이사금, 미조. 김알지(金閼智)의 5대손 仇道의 아들. • 14대 유례(儒禮, A.D.283) : 석, 이사금, 조분의 장자. • 15대 기림(基臨, A.D.298) : 석, 이사금, 기립(基立). 조분의2대손. 父는 이찬 걸숙(乞淑) • 16대 흘해(訖解, A.D.310) : 석, 이사금, 내해의 2대손. 父는 각간 우로(于老). • 17대 내물(奈勿, A.D.356) : 김, 이사금, 나밀(那密). 구도仇道)의 2대손. 父는 각간 말구(末仇). • 18대 실성(實聖, A.D.402) : 김, 이사금, 김알지의 후손. 父는 대서지 이찬. 내물왕의 둘째 아들 복호는 고구려에, 셋째 아들 미사흔은 일본에 볼모로 보낸다. • 19대 눌지(訥祗, A.D.417) : 김, 마립간, 내물왕의 장자. 실성왕을 죽이고 왕이 된다. • 20대 자비(A.D.458) : 김, 마립간 • 21대 소지(炤知, A.D.479) : 김, 마립간, 비처(毗處). • 22대 지증(智證, A.D.500) : 김, 마립간, 휘(諱)는 지대로(智大路). 내물 3대손 갈문왕습보(習寶)의 아들. • 23대 법흥(法興, A.D.514) : 김, 왕, 휘(諱)는 원종(原宗). 연호는 건원(建元) • 24대 진흥(眞興, A.D.540) : 김, 왕, 휘(諱)는 삼맥종(삼麥宗) 혹은 심맥부(深麥夫) 법흥의왕제 • 갈문왕입종(立宗)의 아들. 연호는 개국(開國) • 25대 진지(眞智, A.D.576) : 김, 왕, 휘(諱)는 사륜(舍輪). 진흥의 2자. • 26대 진평(眞平, A.D.579) : 김, 왕, 휘(諱)는 백정(白淨). 진흥의 태자 동륜의 아들. 연호는 건복(建福) • 27대 선덕(善德, A.D.632) : 김, 왕, 휘(諱)는 덕만(德曼). 진평의 장녀. 연호는 인평(仁平) • 28대 진덕(眞德, A.D.647) : 김, 왕, 휘(諱)는 승만(勝曼). 진평의 모제국반(國飯) 갈문왕의 딸. 연호는 태화(太和)
29대 태종무열(武烈, A.D.654) : 김, 왕, 휘(諱)는 춘추(春秋). 진지의 아들 이찬 용춘(龍春)의 아들 • 30대 문무(文武, A.D.661) : 김, 왕, 휘(諱)는 법민(法敏). 무열의 원자. • 31대 신문(神文, A.D.681) : 김, 왕, 휘(諱)는 정명(政明) 혹은 명지(明之). 문무의 장자. • 32대 효소(孝昭, A.D.692) : 김, 왕, 휘(諱)는 이홍(理洪). 신문의 태자. • 33대 성덕(聖德, A.D.702) : 김, 왕, 휘(諱)는 흥광(興光). 신문의 둘째 아들로 효소의 동복 아우. • 34대 효성(孝成, A.D.737) : 김, 왕, 휘(諱)는 승경(承慶). 성덕의 둘째 아들. • 35대 경덕(景德, A.D.742) : 김, 왕, 휘(諱)는 헌영(憲英). 효성의 이복 동생. • 36대 혜공(惠恭, A.D.765) : 김, 왕, 휘(諱)는 건운(乾運). 경덕의 적자 • 37대 선덕(善德, A.D.780) : 김, 왕, 휘(諱)는 양상(良相). 내물의10대손으로 아버지는 사찬효방(孝芳). • 38대 원성(元聖, A.D.785) : 김, 왕, 휘(諱)는 경신(敬信). 내물의12대손. • 39대 소성(昭聖, A.D.799) : 김, 왕, 휘(諱)는 준옹(俊邕). 원성의 태자 인겸(仁謙)의 아들. • 40대 애장(哀莊, A.D.800) : 김, 왕, 휘(諱)는 청명(淸明). 소성의 태자. • 41대 헌덕(憲德, A.D.809) : 김, 왕, 휘(諱)는 언승(彦昇). 소성의 동복아우. • 42대 흥덕(興德, A.D.826) : 김, 왕, 휘(諱)는 수종(秀宗). 헌덕의 동복 아우. • 43대 희강(僖康, A.D.836) : 김, 왕, 휘(諱)는 제륭(悌隆). 원성의 손자이고 이찬 헌정(憲貞)의 아들 • 44대 민애(閔哀, A.D.838) : 김, 왕, 휘(諱)는 명(明). 원성의 증손이며 대아찬 충공(忠恭)의 아들. • 45대 신무(神武, A.D.839) : 김, 왕, 휘(諱)는 우징(祐徵). 원성의 손자이며 상대등균정(均貞)의아들. • 46대 문성(文聖, A.D.839) : 김, 왕, 휘(諱)는 경응(慶膺). 신무의 태자. • 47대 헌안(憲安, A.D.857) : 김, 왕, 휘(諱)는 의정(誼靖). 신무의 이복 아우. • 48대 경문(景文, A.D.861) : 김, 왕, 휘(諱)는 응렴(膺廉). 희강의 아들 아찬 계명(啓明)의 아들. • 49대 헌강(憲康, A.D.875) : 김, 왕, 휘(諱)는 정(晸). 경문의 태자. • 50대 정강(定康, A.D.886) : 김, 왕, 휘(諱)는 황(晃) 경문의 둘째 아들. • 51대 진성(眞聖, A.D.887) : 김, 왕, 휘(諱)는 만(曼). 헌강의 여동생. • 52대 효공(孝恭, A.D.897) : 김, 왕, 휘(諱)는 요(嶢). 헌강의 서자. • 53대 신덕(神德, A.D.912) : 박, 왕, 휘(諱)는 경휘(景暉). 아달라왕(阿達羅王)의 후손. • 54대 경명(景明, A.D.917) : 박, 왕, 휘(諱)는 승영(昇英). 신덕의 태자. • 55대 경애(景哀, A.D.924) : 박, 왕, 휘(諱)는 위응(魏膺). 경명의 동복아우. • 56대 경순(敬順, A.D.927) : 김, 왕, 휘(諱)는 부(傅). 문성의 후손으로 이찬 효종(孝宗)의 아들.
17대 내물(奈勿, A.D.356) : 김, 이사금, 나밀(那密). 구도仇道)의 2대손. 父는 각간 말구(末仇). • 18대 실성(實聖, A.D.402) : 김, 이사금, 김알지의 후손. 父는 대서지 이찬. 내물왕의 둘째 아들 복호는 고구려에, 셋째 아들 미사흔은 일본에 볼모로 보낸다. • 19대 눌지(訥祗, A.D.417) : 김, 마립간, 내물왕의 장자. 실성왕을 죽이고 왕이 된다. • 20대 자비(A.D.458) : 김, 마립간 • 21대 소지(炤知, A.D.479) : 김, 마립간, 비처(毗處). • 22대 지증(智證, A.D.500) : 김, 마립간, 휘(諱)는 지대로(智大路). 내물 3대손 갈문왕습보(習寶)의 아들. • 23대 법흥(法興, A.D.514) : 김, 왕, 휘(諱)는 원종(原宗). 연호는 건원(建元) • 24대 진흥(眞興, A.D.540) : 김, 왕, 휘(諱)는 삼맥종(삼麥宗) 혹은 심맥부(深麥夫) 법흥의왕제 • 갈문왕입종(立宗)의 아들. 연호는 개국(開國) • 25대 진지(眞智, A.D.576) : 김, 왕, 휘(諱)는 사륜(舍輪). 진흥의 2자. • 26대 진평(眞平, A.D.579) : 김, 왕, 휘(諱)는 백정(白淨). 진흥의 태자 동륜의 아들. 연호는 건복(建福) • 27대 선덕(善德, A.D.632) : 김, 왕, 휘(諱)는 덕만(德曼). 진평의 장녀. 연호는 인평(仁平) • 28대 진덕(眞德, A.D.647) : 김, 왕, 휘(諱)는 승만(勝曼). 진평의 모제국반(國飯) 갈문왕의 딸. 연호는 태화(太和) • 29대 태종무열(武烈, A.D.654) : 김, 왕, 휘(諱)는 춘추(春秋). 진지의 아들 이찬 용춘(龍春)의 아들 • 30대 문무(文武, A.D.661) : 김, 왕, 휘(諱)는 법민(法敏). 무열의 원자.
“Old Chosŏn” 고조선 • Wei-shu: “TangunWanggŏm • Asadal • Paegak-kung (modern P’yŏngyang) • Chosŏn” • Old Book: “Hwan-in • Hwan-ung • T’aebaek-san (Myohyang-san) • She-bear • TangunWanggŏm, the King of Sandalwood • 1500 years • Became a mountain god at the age of 1908
“King Hyŏkkŏse, the Founder of Silla” 박혁거세 • Six clans • Large red egg lying on a rock near the well – baby boy • Another well – baby girl • Sŏrabol, Sŏbol
King Naemul and Pak Che-sang 박제상 • King Naemul (r. 356-402) • King Nulji (r. 417-458) • Prince Mihae • Prince Pohae
King Chinhŭng 진흥왕 • King Chinhŭng, 540-576 • His mother is the daughter of King Pŏphŭng
The Three Prophesies of Queen Sŏndŏk 선덕여왕 • Queen Tŏkman • T’aitsung of Tang China, sent her a picture of peonies • Woman’s root valley – Packche invasion • Predicting her own death
QueekChindŏk진덕여왕 • Sent embroidered brocade
Kim Yu-sin 김유신 • Became hwarang at age 18
T’aejongCh’ungch’u-gong (King Muyŏl) 태종 무열왕 • Two sisters Pohŭi and Munhŭi • Longest entry in the Samguk yusa • Demise of Packche and the King Ŭija “Packcheis a round moon; Sillais a new moon”
Changch’un-nang and P’arang • A sample of hwarang • Killed at Hwangsanbattle and appeared at the dream of King Muyŏl
King Kyŏngsun경순왕 • Last king of Silla • Kim Pu • By Wang Kŏnto be founding a new dynasty, Kory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