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3

세포 내 칼슘 신호 제어를 통한 저자극성 / 기능성 화장품 RHEA

세포 내 칼슘 신호 제어를 통한 저자극성 / 기능성 화장품 RHEA. 광노화. : 주름 방지. 멜라닌 생성. : 미백. 피부장벽. 염증 반응. 피부자극. : 보습. : 민감피부. 세포 의 활성화와 이와 연관된 효소 활성화 및 조직 의 손상 및 변성 유도. 세포 내 칼슘 신호. 자외선 (UVA, UVB). ET-1 분비 : TRPV4. 멜라닌 형성세포. 각질 형성세포. ET-1 receptor, Rhodopsin. PKC 활성화. Orai1 활성화.

warner
Download Presentation

세포 내 칼슘 신호 제어를 통한 저자극성 / 기능성 화장품 RHEA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세포 내 칼슘 신호 제어를 통한 저자극성 / 기능성 화장품 RHEA

  2. 광노화 : 주름 방지 멜라닌 생성 : 미백 피부장벽 염증 반응 피부자극 : 보습 : 민감피부 세포의 활성화와 이와 연관된 효소 활성화 및 조직의 손상 및 변성 유도 세포 내 칼슘 신호

  3. 자외선 (UVA, UVB) ET-1 분비 : TRPV4 멜라닌 형성세포 각질 형성세포 ET-1 receptor, Rhodopsin PKC 활성화 Orai1 활성화 PLC 의존성 신호전달 TRPV1 활성화 TRPV1 증가 TRPA1 활성화 세포 내 칼슘 농도 증가 칼슘의존성 단백들의활성화 Tyrosinase활성화 및 멜라닌 생성 MMP-1,3 활성화 및 증가 광노화 색소 침착

  4. 보존제, 용매, 첨가제 등 노출 접촉성 피부염 면역 및 피부세포유래 면역반응인자 분비 히스타민 의존성 히스타민 비의존성 신경세포 (C-fiber) MrgprA3, MrgprC11 히스타민 수용체 칼슘농도 증가 & 신경세포 활성화 TRPV1 활성화 TRPA1 활성화 소양증 및 민감 피부

  5. 세포 내 칼슘 &염증반응 Ca2+ Feske, Lewis 2007

  6. 세포 내 칼슘 조절 기전 ER Ca2+ store Nature Reviews of Immunology (2007)

  7. 피부 미백 2013년, J Invest Dermatol. ISI 피부과학 분야 1위저널 광노화 2011년, J Dermatol ScI. ISI 피부과학 분야 7위 저널 피부 장벽 형성 (보습) 2010년Cell., IF: 31.957 저자극 (접촉성 피부염) 2013년FASEB J., IF: 5.704 자외선 손상 2013년PNAS, IF: 9.737 세포 내 칼슘 농도 조절 : 초기 단계

  8. 뷰티누리 기사 2013년 8월 13일

  9. K2P, TRP, STIM, SERCA 등 여러 가지 칼슘 신호 조절단백을 통한 세포 내 칼슘 신호 제어 기술 개발 저자극 기능성 화장품 출시

  10. 세포 내 칼슘신호 조절 천연원료 발굴 및 유도체 개발 완료 강황 함유 물질 2. 전기 생리학적 검사 Kojic acid +IBMX 100mM 10mM 1mM control 10mM 3mM 3. 효소 활성 저해 여부 측정 • 천연물 유래 • 유도체 발굴 4. 효능 평가 강황 함유물질처리 후

  11. 신소재 함유 최적화 리포좀 제형 개발 리포좀 스케닝 리포좀개발 <100nm >1,000nm >1,000nm 100-1,000nm <100nm Diosome의 Hydrophobic regin 레시친, 포스포리피드, 콜레스테롤, 지방산, 세라마이드 등으로 최적화 리포좀 제형 개발

  12. 다양한 리포좀 제형 기술 보유 활성 물질 <200nm <100nm Monolayer Multilayer - 비타민 C 및 그 유도체, 히아루론산, 천연보습인자(NMF), 카페인, 아데노신, DPG, 각종 추출물등. - 레티놀 및 그 유도체, 센탈라아시아티카 추출물, 코엔자임Q10, 각종 오일등.

  13. 세포 내 칼슘 신호 조절 신소재를 활용한 저자극 기능성 화장품 개발 RHEA 출시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