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4

Global Call To Action Against Poverty (GCAP) 2005 년부터 2007 년 까지 GCAP 사업보고 및 계획

Global Call To Action Against Poverty (GCAP) 2005 년부터 2007 년 까지 GCAP 사업보고 및 계획. 2007. 5. 9. 목 차. 1. 사업소개 1) GCAP 설립배경 2) 화이트밴드 캠페인 보고 3) 전세계 “ 화이트밴드 캠페인 ” 행사 2. 2007 년 GCAP 계획 3. GCAP 조직도. GCAP 사업 보고. 설립 배경.

vail
Download Presentation

Global Call To Action Against Poverty (GCAP) 2005 년부터 2007 년 까지 GCAP 사업보고 및 계획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Global Call To Action Against Poverty (GCAP) 2005년부터 2007년 까지 GCAP 사업보고 및계획 2007. 5. 9.

  2. 목 차 1. 사업소개 1) GCAP 설립배경 2) 화이트밴드 캠페인보고 3) 전세계 “화이트밴드 캠페인” 행사 2. 2007년 GCAP 계획 3. GCAP 조직도

  3. GCAP 사업 보고 설립 배경 • 2005년 1월 27일, 브라질에서 열린 세계사회포럼(World Social Forum)에서 창립식을 가짐 • 지구촌 빈곤퇴치의 메시지를 국제기구와 각국 정부에 전달하기 위해 만들어진 전 세계 NGO들의 네트워크로서, 21세기에도 여전히 매일 5만 8천여 명이 기아와 쉽게 치유 가능한 질병으로 사망하고 있는 현실에 주목 • 각 국 정부가 지구촌 빈곤 해소를 위해 노력할 것을 촉구하고, 정부 차원의 노력이 제대로 기능하는지 감시 • 남반구와 북반구 NGO들이 “지구촌빈곤퇴치”라는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하나의 목소리를 내는 사상 초유의 캠페인임

  4. GCAP 사업 보고 전세계 화이트밴드 캠페인 화이트밴드의 날 ’은 지구촌 빈곤 퇴치를 위한 정부 지도자들의 책임을 촉구하자는 취지로 뜻을 함께 하는 모든 사람들이 빈곤 퇴치를 상징하는 ‘흰 띠(white band)’를 착용하는 날 G8 정상회담, 유엔 밀레니엄 정상회의, WTO 장관급 회의 등 각국 지도자들이 모이는 중요 국제회의에 맞추어 전 세계인들이 손목에 화이트 밴드를 착용함으로 ‘ 빈곤 없는 지구촌 만들기’에 동참

  5. GCAP 사업 보고 화이트밴드캠페인 • 2007년 현재 100여 개국 이상의 국가에서 시민단체 주도의 화이트밴드캠페인 개최 • 2005년: 7월, 9월, 12월 전 세계에서 3차례에 걸쳐 화이트밴드 캠페인 개최, 1억 명 이상의 시민들이 참가하는 기록을 세움 • 2006년: 10월 17일, 세계빈곤퇴치의 날을 기념한 화이트밴드캠페인을 통해 23,542,614명이 빈곤퇴치에 대한 열망을 담아 화이트밴드를 착용하고 기립하는 행사에 참가하여, 기네스 신기록을 수립 • 2007년: 2015년 MDG 달성 목표 년도의 정확히 절반이 되는 해인 만큼 2007년 7월 7일(half day for MDG)을 기념하는 캠페인과, 10월 17일 세계빈곤퇴치의 날 기념 캠페인 계획 중

  6. GCAP 사업 보고 실제 캠페인 사례 - 미국 미국: ONE 캠페인 • 의미: 미국예산의 1%를 추가로 빈곤국가에 지원하여 기초적인 생활 • 안정과 교육 확대, 질병퇴치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자는 의미 • 주요 캠페인: LIVE 8 콘서트, U2 全美 투어콘서트 등 유명 연예인 • 을 동참하게 만들어 캠페인 확산에 힘씀

  7. GCAP 사업 보고 실제 캠페인 사례 - 일본 일본: Hottokenai Sekai no Mazushisa (Don't let it be - World Poverty) • 의미: 전 세계에서 3초 마다 한 명씩 절대빈곤으로 인해 사망자가 • 나오고 있다는 의미에서 3개의 꽃 모양을 모티브로 삼아 화이트 • 밴드를 제작함 • 주요 캠페인: 화이트밴드 프로젝트(기업과 연계하여 4백 만개의 • 밴드 판매_2005년 기준) • 도쿄타워 밴드 두르기(2005년), Live 8 콘서트 개최 • 밴드 판매 수익금을 다른 아시아 국가에서 GCAP 활동을 하는 • 단체들에게 나누어준 일례가 있음(2005년) • 2007년 계획: 통신회사와 연계하여 핸드폰을 통해 화이트밴드 • 캠페인을 설명하고 서명운동을 전개할 계획에 있음

  8. 일본 GCAP 관련 사진 (신문 광고를 통한 캠페인 홍보) (Live 8 콘서트/도쿄타워/록본기 광장)

  9. GCAP 사업 보고 실제 캠페인 사례 – 그 외 2005년 7월 1일, ‘ 제 1차 화이트밴드의 날’을 맞아 세계 각국 도시의 대표적 상징물에 대형 흰색 띠를 두르는 행사 실시 독일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문 프랑스 - 파리 트로카데로가 영국 - 런던 세인트 폴 대성당

  10. GCAP 사업 보고 - 런던, 파리, 로마, 필라델피아, 토론토, 도쿄, 등 세계 10여 개 도시에서 아프리카 빈곤해결을 촉구하는 ‘라이브 8’콘서트 실시 - 스리랑카, 브라질, 남아프리카에서도 콘서트와 집회, 대규모 행진 등 다양한 행사 실시 실제 캠페인 사례 – 그 외 미국 / 필라델피아 - ‘ 라이브 8 ’ 콘서트 독일 베를린 - ‘ 라이브 8 ’ 콘서트 현장 스페인 마드리드 - 빈곤퇴치 촉구 대규모 집회 실시

  11. 2007 GCAP 계획 2007년화이트밴드캠페인 • 일정: 2006년과 마찬가지로 10월 17일, 세계 빈곤퇴치의 날을 기념하여 전세계에서 화이트밴드캠페인 진행 예정 • 슬로건: “Stand up and Speak out” • - 지구촌빈곤퇴치에 대한 열망을 상징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화이트밴드를 하고 자리에서 일어나(stand up) 빈곤퇴치의 메시지를 말한다(speak out)

  12. 2007 GCAP 계획 2007년GCAP 아시아 연대 사업(예정) • ODA conference • ① 일시 및 장소: 2007년 7월 12일-14일(변동가능) / 필리핀 마닐라 • ② 목적: ODA 정책제언 및 감시활동을 하는 아시아 NGO의 활동계획을 논의 • Youth conference • ① 일시 및 장소: 2007년 8월 중순 / 인도네시아 • ② 목적: 8월 12일 국제청소년의 날을 기념하여 아시아 청소년들이 MDG의 중요성을 공유하고 청소년 에드보커시 활동을 공유 • 7-7-7 (2007년 7월 7일): 기후변화에 대한 행사, Live Earth 콘서트 등

  13. GCAP 조직도 IFT(International Facilitation Team) 지역별 대표: 아프리카, 아시아, 라틴아메리카, 중동, 유럽, 북미 태스크포스팀: 페미니스트 태스크포스, 유스 태스크포스 INGO: 옥스팜, Actionaid 등 Observers: 유엔 밀레니엄캠페인 Regional or Sub-regional 사무국 국가 별 GCAP • 2006년 레바논 베이루트에서 열린 GCAP Global 회의 이후 적용된 조직도임. IFT Support Team - E-communication Team - Media Team - Mobilization Team • 아시아 지역 사무국은 다른 지역과 달리 2군데로 나누어져 있음. • 1) 남아시아 사무국(방글라데시 소재): 인도, 파키스탄, 스리랑카 등을 포함 • 2) 동남/북/중앙 아시아 사무국: (줄여서 SENCA, 필리핀 소재) • 남아시아를 제외한 동남/북/중앙 아시아를 포함 • 한국은 SENCA 에 소속되어 있음

  14. 감사합니다. 2007. 5. 9.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