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 likes | 475 Views
Human Gas.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 Eng. 200320134 백인호. 방귀의 정의. 항문으로부터 방출된 혼합가스체 = 장 내용물의 발효에 의해 생겨난 가스 + 음식물과 함께 입을 통해 들어간 공기 평균 13 회 /Day 배출되는 가스의 양 200ml ~ 1500ml/Day. 주 성분. 질소 (N 2 ) 20 ~ 90% 수소 (H 2 ) 0 ~ 50% 이산화탄소 (CO 2 ) 10 ~ 30% 산소 (O 2 ) 0 ~ 10%
E N D
Human Gas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 Eng. 200320134 백인호
방귀의 정의 • 항문으로부터 방출된 혼합가스체 = 장 내용물의 발효에 의해 생겨난 가스 + 음식물과 함께 입을 통해 들어간 공기 • 평균 13회/Day • 배출되는 가스의 양 200ml ~ 1500ml/Day
주성분 • 질소(N2)20 ~ 90% • 수소(H2)0 ~ 50% • 이산화탄소(CO2)10 ~ 30% • 산소(O2)0 ~ 10% • 메탄(CH4)0 ~ 10% 위의 다섯 가지 성분이 약 98%를 차지. 無색無취.
주 성분의 유입 및 생성 과정 대 장 세균발효효소 CH4,H2,CO2 • 질소와산소 - 대기 중 존재. - 말을 하거나, 음식물 섭취 시 삼킨 공기. • 이산화탄소, 수소, 메탄 흡수 되지 못한 탄수화물과 단백질
방귀의 양과 냄새의 원인(기타 성분) 유산균 암모니아(NH3) 뿡~! 황화수소(H2S) H2 CH4 CO2 유기산 스카톨(C9H9N) 탄수화물 섬유질 多 인돌(C8H7N) 대장 내 세균활동 윽~냄새! 단백질 황 질소 아미노산분해
암모니아(NH3) • 냄새가 매우 고약. • 우리의 몸 안에서 생성. • 단백질 섭취 시, 이를 분해. 에너지를 얻고 노폐물로 암모니아를 배출. • 흔히 청소를 잘 하지 않은 화장실,고약한 냄새(찌린내) 가 나는 걸 알 수 있는데, 이는 체내에서 미처 요소로 바뀌지 못한 암모니아가 소변과 함께 몸 밖으로 배출되기 때문. • 식물의 경우, 공기 중으로부터 흡수한 재료들로부터 에너지를 얻기 위해 질소가 필요. 척박한 토양일 경우, 질소가 부족. 암모니아를 비료로 줌으로써 부족한 질소를 채울 수 있다.
황화수소(H2S) • 2개의 수소와 1개의 황 분자. • 발생 • 썩은 계란에서 주로 발생 • 박테리아가 유기물을 산소로 분해 시. • 화산활동. • 물에도 아주 조금 포함되어 있음. • 무색, 유독하며 발화성 기체. 악취. • 이용 • 분석화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 • 유기화합물의 환원제로도 많이 쓰인다. 공기중 ~0.0047ppm 계란 썩는 냄새 50ppm ~ 눈 손상 800ppm~ 사망(유독성기체)
스카톨(C9H9N)& 인돌(C8H7N) • 인간의 방귀, 악취를 내는 물질. • 발생 • 보통 동물들의 배설물에서 발생. 특히, 필수 아미노산중의 하나인 trytophan의 발생물. • 사탕무 , 또는 콜타르에서도 발생. • 어원 • 스카톨(Skatol) • skato , 그리스어의 dung에서 유래. • 인돌(Indole) • 인디고(indigo)와 기름(oleum)의 혼성어. • 인돌 : 1968년, 독일과학자 바이머,인디고를아연말과 함께 환원하여 추출. • 스카톨: 흰색의 크리스탈로도 존재. • 염소, 양, 쥐 들의 호흡기에 부종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
방귀를 유발하는 음식들 • 가스를 만드는 음식 • 냄새를 독하게 하는 음식
방귀에 대한 오해! • 1. 방귀 냄새가 지독하면 건강이 안좋은 것이다? • 방귀의 냄새와 건강은 무관하다. 단백질이 많은 식품의 경우 아미노산 성분이 분해되면서 질소와 황을 발생시키는데 이것이 고약한 냄새의 주범이 된다. 냄새를 유발하는 식품으로는 달걀, 생선, 마늘, 양파, 무 등이 있다. • 2. 방귀를 참는 것은 건강에 해롭다? - 방귀를 참는다고 질병이 더 발생하지는 않지만 꼭 필요한 상황이 아닌 이상 참을 필요는 없다. 다만 과민성 대장증후군의 경우 정상인에 비해 장내 가스를 더 많이 생성하프로 방귀를 참기보다는 방귀를 유발하는 음식의 섭취를 줄이는게 현명하다.
방귀에 대한 오해! • 3. 방귀 소리, 시원하고 클수록 건강하다? - 꼭 그런 것은 아니다. 방귀 소리는 몸 속 가스가 작은 구멍을 통해 한번에 배출되면서 주변 피부가 떨리며 나는 소리다. 가스의 양이 많거나 밀어내는 힘이 유난히 셀 때나 치질 등과 같은 질병으로 통로가 부분적으로 막혔을 경우 소리가 더 크게 날수 있다. • 4. 알고 보면 트림도 방귀의 일종이다?? - 아니다. 트림은 음식물과 함께 들어온 위 내의 공기가 입으로 올라와 배출되는 것이고, 방귀는 음식이 소화되는 과정에서 장내 세균에 의해 만들어진 불필요한 몸속 가스가 밖으로 배출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방귀도 폭발한다?? • 1970년대 말 '대장폭발' 사건이 일어났다. 당시 환자는 내시경검사를 위한 관장약으로 만니톨을 사용했는데 “만니톨”은 대장 내 세균과 작용해 수소를 많이 발생시키는 물질이다. 그런데 적당량의 수소와 산소가 함께 있을 때 전류를 흘리면 물이 만들어지면서 에너지가 방출된다. 따라서 만니톨로 인해 대량으로 만들어진 수소가 몸 속의 산소와 공존한 상태에서 전류가 흘렀기 때문에 '폭발'이 일어난 것이다. 최근에는 이런 폐단을 없애기 위해 “만니톨”을 사용하지 않는다.
방귀 관련 이색 설문조사 • 자신의 방귀냄새가 좋습니까? • 당신은 원할 때 방귀가 나오게 할 수 있습니까?
P.S: 방귀를 참지 마세요~ Thank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