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 likes | 393 Views
contents development. 전체 교육의 영역 속에서 교수설계 및 개발의 위치 교육 > 교수 . 학습 , 교육과정 , 상담 , 교육행정 , 교육평가 컨텐츠 설계 컨텐츠 개발의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사고하고 계획을 세우는 작업 컨텐츠 개발 설계 결과에 기초하여 각종 멀티미디어와 웹기반학습 (WBI : web based instruction) 자료를 제작 , 구성하고 형성평가를 실시하여 개발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수정하는 작업 특성
E N D
contentsdevelopment • 전체 교육의 영역 속에서 교수설계 및 개발의 위치 • 교육> 교수.학습, 교육과정, 상담, 교육행정, 교육평가 • 컨텐츠 설계 컨텐츠 개발의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사고하고 계획을 세우는 작업 • 컨텐츠 개발 설계 결과에 기초하여 각종 멀티미디어와 웹기반학습 (WBI : web based instruction) 자료를 제작, 구성하고 형성평가를 실시하여 개발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수정하는 작업 • 특성 교수 · 학습의 세부 활동들, 계획, 설계, 개발, 활용 및 관리, 평가 등의 활동 들은 서로 밀접히 관련되어 있고 여러가지 측면에서 상호 의존적이다.
contentsdevelopment • 체제 systems collection of elements which interact each other to achieve purposes • 교수체제 instructional systems collection of elements which interact each other to achieve educational purposes by stimulating learning activities • 체제적 접근방법 systems approach systematic approach by keeping functions of each element independent yet compensate each other
Models of Systematic Instructional Design • Kemp, Morrison&Ross : 9 stages • Need assessment, students characteristics, task analysis, instructional objectives, contents analysis, presentation order, instructional strategies, delivery methods, evaluation tools 요구분석, 학습자 특성분석, 학습과제 분석, 교수학습 목표 설정, 학습 내용 제시 순서 결정, 교수학습 전략 구상, 메시지 설계, 전달 방법 결정, 평가도구 • Seels&Richey : ADDIE model 분석(Analysis),설계(Design),개발(Development),실행(Implementation), 평가(Evaluation) A D D I E <평가> · 총괄평가 (교육성과 평가) <분석> · 요구분석 ·학습자분석 · 환경분석 · 과제분석 <설계> · 목표명시 ·평가도구 개발 · 교수전략및 계열롸 <개발> · 교수자료 개발 · 평성평가 및수정 <실행> · 설치 및 사용 · 유지 및 관리
체제적 교수설계 개발 모형 • Alessi & Trollip model 8 stages to include characteristics of computer media on top of systematic instructional design 학습 콘텐츠 개발을 위한 8단계 모형 일반적인 체제적 설계모형에 컴퓨터 매체의 특성을 고려한 컨텐츠 개발 과정을 제안 evaluation development design 1. 목적의 구체화 2. 필요한 정보 및 자료 수집 3. 수업 아이디어 개발 4. 개발된 전략의 조직 5. 화면 설계의 구체화 6. 플로우차트의 작성 7. 프로그래밍 작업 8. 수업의 질 및 효과 평가
8 stagesof Alessi & Trollip model • 제 1단계 : instructional objectives based on task analysis and hierarchy of contents 학습과제 분석과 학습내용의 위계를 정해 수업의 목표를 정한다. • 제 2단계 : collect data (textbook, related contents, computer technology related information,..) 자료를 수집하는 단계로서 교과자료, 수업개발자료, 컴퓨터에 관한 자료 등으로 크게 분류. • 제 3단계 : idea creation using brain storming for a unit instruction 단위수업을 위해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단계로서 브레인스토밍 기법사용 • 제 4단계 : organize ideas for a unit instruction 단위수업을 위하여 아이디어를 '조직'하는 단계. • 제 5단계 : presentation order 종이 위에 수업 활동 및 순서를 표현 • 제 6단계 : 수업흐름도(flowchart)를 작성 • 제 7단계 : programming 수업프로그램을 작성, 프로그래밍 제작 • 제 8단계 : QA, evaluation 프로그램의 질 및 효과성을 평가
Dick, Carey,Carey model • 교수설계 및 개발의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제시 학습 과제 분석 수정 요구 분석 과 목적 설정 학습 목표 기술 평가 도구 개발 교수 전략 개발 자료 개발및 선정 형성 평가의 준비및 실행 학습자 와학습 상황 특성 분석 총괄 평가의 준비및 실행
Trip& Bichelmeyer model • 요구분석 및 학습내용 분석 • (assessneeds and analyze contents) • 목표 설정 (set objectives) • 프로토타입 구축 (construct prototype) • 프로토타입의 활용 (Utilize prototype) • 시스템 설치와 유지 (installand maintain system) • Rapid prototyping • 전통적인순차적 설계 개발의 문제점 극복 • 설계 초반부터 설계자와 사용자가 서로 협동하여 프로토타입을 구축, 활용, 즉각 사용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수정 보완
Commons in ID models • Planning • Analysis • Design • Development • Operation and evaluation • Each stage has sub activities. • Each stage has evaluation process • Stages can be corrected as activities are taken
Educational Contents Development design planning 목표 분석 및 학습구조 설계 교수학습전략 설계 평가전략 설계 운영전략 설계 상호작용 설계 인터페이스 설계 Need assessment Learner analysis Instructor and operator analysis Contents analysis Environment analysis Selecting instructional media Development plan development Selecting development tools Multi media development Program development Contents structure Story board Development plan Management 관리 project Quality assurance data program operation evaluation Management of Pre-instruction Instructional process Student evaluation statistics 학습 전 관리 학습진행관리 학습평가 관리 통계관리 Operation system evaluation Instructional process Post instruction evaluation 운영 시스템 평가 학습과정 평가 학습 후 평가 Operation report Evaluation report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 활용성 높은 컨텐츠 개발 및 보급 ▷ 교사들이 우수한 컨텐츠를 확보하는 방안을 알고 있어야 함 ▷ 교사들이 교육용 컨텐츠를 단위 수업에 활용하는 방법을 알고 있어야 함 ▷ 다양한 유인책을 통해 교사의 활용 의지 고취 ▷ 수업에 활용할 컨텐츠 제작,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평가, 에러 처리 능력 등을 기를 수 있는 질 높은 연수 확대 ▷ 활용을 위한 교재 연구 시간을 충분히 확보
Future of the educational contents • Standardization 교육용 컨텐츠 표준 정립 • Methods for development 국가 교육용 컨텐츠 제작방법 표준개발 • Classification 국가 교육용 컨텐츠 분류체계 표준 정립 • Meta data 국가 교육용 컨텐츠 메타데이터 표준 정립 • Copy right 국가 교육용 컨텐츠 저작권 보호기술 적용 지침 개발 • Sharing system 교육용 컨텐츠 공유체제 구축 • Contents DB with meta data 교육용 컨텐츠 통합 메타 데이터 DB구축 • Distribution with meta data 메타데이터 등록,유통시스템 • Operation of combined contents교육용 컨텐츠 통합 검색 시스템 운영 • Statistics 통계시스템 개발 • Meta data classification system 메타데이터 및 분류체계 보완갱신 • User education 사용자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