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 likes | 1.18k Views
제 1 장 . 미생물학의 역사. 1.1 미생물의 발견 1.2 자연발생설에 관한 논쟁 1.3 미생물의 역할 1.4 미생물학의 미래. 1.1 미생물의 발견.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생명체 광학현미경의 발달로 미생물 발견 루벤후크 ( 이 ) 에 의해 조류 , 원생동물 관찰 , 기록 1820 년 복합현미경의 발전으로 미생물 지식 축척 미생물학 발전. 1.2 자연발생설에 관한 논쟁. 현미경적 생물의 기원에 대한 의문가짐 자연발생설 ; 무생물로부터 생물체가 자연적으로 생겨난다는 생각
E N D
제 1 장. 미생물학의 역사 1.1 미생물의 발견 1.2 자연발생설에 관한 논쟁 1.3 미생물의 역할 1.4 미생물학의 미래
1.1 미생물의 발견 •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생명체 • 광학현미경의 발달로 미생물 발견 • 루벤후크 (이)에 의해 조류, 원생동물 관찰, 기록 • 1820년 복합현미경의 발전으로 미생물 지식 축척 • 미생물학 발전
1.2 자연발생설에 관한 논쟁 • 현미경적 생물의 기원에 대한 의문가짐 • 자연발생설; 무생물로부터 생물체가 자연적으로 생겨난다는 생각 • 논쟁; • Redi ; 구더기 발생에 관한 실험 • Spallanzani ; 부패가 미생물의 침입을 막기만 하면 방지될 수 있음을 실험 • Pasteur ; 공기중 미생물 실험 • 틴탈 ; 간헐가열 멸균 실험
결론적으로, • 파스테르와 틴탈의 연구로 자연발생설 반증하여 자연발생설이 절대로 일어나지 않는다는 주장을 뒷받침. • 그러나 이는 파스테르와 틴탈의 발견에 대한 정당하지 않은 확대해석. • 지구상에 생명의 최초의 기원은 일종의 자연발생적일 것으로 오늘날 추론.
1.3 미생물의 역할 • 유기물질의 전환에 있어서의 역할. 유기물침출액내에서의 미생물의 증식과 침출액의 화학적 변화에는 상관관계가 있음을 관찰. • 발효; 식물성 탄수화물의 분해결과 • 부패; 동물성 단백질의 분해결과
예; 알코올 발효 • C6H12O6→2C2H5OH + 2CO2 • 알코올 발효는 효모의 생리적 기능 제안 • 파스테르; 특정한 발효는 형태의 미생물의 증식에 수반되어 일어남을 밝힘. • 젖산발효, 알코올발효, 부티르산발효 • 호기성, 혐기성, 조건적 혐기성 미생물구분
부크너의 실험; 생화학 시조 • 효모를 모래로 갈아 추출액을 당에 첨가 알코올 생성 확인. • 알코올 발효를 일으킬 수 있는 효소 발견 • 복잡한 생명현상도 각각 특이한 효소에 의해 촉매되는 일련의 화학 반응의 결과 • 생화학 발전
질병의 원인으로서의 미생물의 역할 • 맥주와 포도주의 부패를 미생물에 의한 질병; 파스테르 • 곰팡이에 의한 감자질병 • 누에 곰팡이 • 인류 피부병 곰팡이 • 리스트의 외과수술을 위한 소독; 패혈증감소; 질병의 배종설 간접적 증거 제시
코흐의 가설; 직접적 증거 (탄저균 규명) -어떤 질병이든 미생물 존재 -질병에 걸린 숙주에서 미생물 분리/배양 -다른 건강한 숙주에 접종시 특정질병 유발 -감염시킨 숙주로부터 그 미생물 분리. ※특정 미생물과 특정 질병과의 인과관계 (병원균을 고체배지 표면에서 순수배양)
그후, 병원세균학 발전 • 파스테르; 탄저병과 광견병 백신 개발 • 폰베링과 기타사토; 디프테리아 및 파상풍 항독소 개발 • 매치니코프; 식균작용으로 병원균을 없애는 백혈구 발견 • 인위적 면역, 위생적 수법, 질병예방법 개발; 의학 혁명기 • 파스테르; 여과장치 개발 • 이반노프스키;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 발견; 여과장치를 통과하여 현미경으로 관찰이 불가능한 병원체, 나중에 바이러스로 밝혀짐.
지구화학적 요인으로서의 미생물 • 지구상의 생물학적 중요 물질 순환, 탄소, 질소, 황의 순환에서 미생물이 중요한 역할 (위노그라스키와 베이링크 연구) • 화학독립영양세균; 무기화합물의 산화에 의해 에너지를 얻고 탄소원으로 이산화탄소 이용. 예; 질소고정박테리아, 질화세균, 황세균
1.4 미생물학의 미래 • 19세기말 미생물학으로 독립적 발전 • 부크너에 의해 생화학 발전 • 20세기초 멘델에 의해 세포학 발전 • 1953년 와트슨과 크릭에 의해 DNA 구조 발표; 분자생물학 시대 열림 • 재조합기술 등으로 Biotechnology시대도래.
미생물의 영향과 도전. • 미생물학은 의학, 공중보건, 산업, 식품 같은 응용분야, 미생물생태학, 생리학, 생화학, 유전학과 같은 기초분야에 영향. • 현재 질병의 치료, 환경오염 제거, 식량문제의 해결과 같은 중요하고 흥미로운 도전 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