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0 likes | 1.06k Views
환경호르몬이란 무엇인가 ?. 환경호르몬 , 어원의 유래. 환경에 노출된 화학물질이 생체내 로 유입돼 마치 “ 호르몬 ” 처럼 작용한다는 의미 ’ 97 년 5 월 일본학자들에 의해 처음 사용 학술적의미로는 내분비교란물질 (Endocrine Distruptor) 임 1990 년대 들어 본격적인 위해성 지적. 내분비계장애물질이란 ?. 내분비계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는 화학물질 대부분 산업용 화학물질 , 그밖에 에스트로젠 기능약물 , 식물에서 생산되는 식물성 에스트로젠 등이 포함
E N D
환경호르몬, 어원의 유래 • 환경에 노출된 화학물질이 생체내로 유입돼 마치 “호르몬”처럼 작용한다는 의미 • ’97년 5월 일본학자들에 의해 처음 사용 • 학술적의미로는 내분비교란물질 (Endocrine Distruptor) 임 • 1990년대 들어 본격적인 위해성 지적
내분비계장애물질이란? • 내분비계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는 화학물질 • 대부분 산업용 화학물질, 그밖에 에스트로젠 기능약물, 식물에서 생산되는 식물성 에스트로젠 등이 포함 • 생태계 및 인간의 생식기능저하, 기형, 성장장애, 암 등을 유발하는 물질로 추정 • 오존층 파괴, 지구온난화 문제와 함께 세계 3대 환경문제로 등장
내분비계장애물질이란? • 세계야생보호기금 (WWF) : 환경호르몬의 종류를67종으로 선정 • 농약류 (43종), 합성화합물류 (24종) • 매년 수십만종 이상의 화학물질이 합성되고 있어 그 수 및 종류는 휠씬 다양함 • 일본의 경우 1백 42종으로 선정 • 미국의 경우 주별로 규제물질의 종류가 다양 • 앞으로 얼마나 늘어날지는 예측 못함
내분비계 기능 • 체내의 항상성 유지(영양, 대사, 분비활동, 수분과 염의 균형유지) • 외부자극에 대한 반응 • 성장, 발육, 생식에 대한 조절 • 체내에너지 생산, 이용, 저장
내분비계장애물질의 성질 • 생체호르몬과는 달리 쉽게 분해되지 않고 안정 • 환경 중 및 생체 내에 잔존하며 심지어 수년간 지속 • 인체 등 생물체의 지방 및 조직에 농축되는 성질이 있음
세계생태보전기금 (WWF) 분류(67종) 일본 후생성의 분류 (142종) 내분비계장애물질 용출우려가 되는 생활용품 • - 다이옥신류 등 • 유기염소물질 6종 • DDT 등 농약류 44종 • 펜타 - 노닐 페놀 • - 비스페놀 A • -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 • 등 프탈레이트 8종 • - 스티렌 다이머,트리머 • - 벤조피렌 • - 수은 등 중금속 3종 - 프탈레이트류 가소제 9종 - 플라스틱에 존재하는 물질 17종 - 다이옥신 등 산업장 및 환경오염물질 21종 - 농약류 75종 - 수은 등 중금속 3종 - DES 등 합성에스트로젠 8종 - 식품 및 식품첨가물 3종 - 식물에 존재하는 에스트로젠 유사호르몬 6종 - 플라스틱 용기, 음료캔, 병마개, 수도관의 내장코팅제, 치과치료시 이용되는 코팅제 : 비스페놀 A - 합성세제: 알킬페놀 - 컵라면 용기 : 스티렌 다이머, 트리머 - 폐건전지 : 수은 내분비계 장애 우려 오염물질
. 내분비 장애물질의 예
내분비 장애물질의 예 • 17β-estradiol • 인체 및 동물내에 존재하는 대표적인 에스트로젠으로서 여성으로서의 특징 및 생식을 위해 필요 • DES(diethylstilbestrol) • 여성의 유산방지제로 널리 복용되었던 약물로서 에스트로젠 유사 효과
퓨란류(PCDFs) I-TEF 다이옥신류(PCDDs) I-TEF 2,3,7,8-T4CDF 1,2,3,7,8-P5CDF 2,3,4,7,8-P5CDF 1,2,3,4,7,8-H6CDF 1,2,3,6,7,8-H6CDF 2,3,4,6,7,8-H6CDF 1,2,3,7,8,9-H6CDF 1,2,3,4,6,7,8-H7CDF 1,2,3,4,7,8,9-H7CDF O8CDF 0.1 0.05 0.5 0.1 0.1 0.1 0.1 0.01 0.01 0.001 2,3,7,8-T4CDD 1,2,3,7,8-P5CDD 1,2,3,4,7,8-H6CDD 1,2,3,6,7,8-H6CDD 2,3,4,6,7,8-H6CDD 1,2,3,4,6,7,8-H7CDD O8CDD 1.0 0.5 0.1 0.1 0.1 0.01 0.001 다이옥신 농도 표시 TEQ = [각 성분의 농도 X 독성 등가 환산계수 (TEF)] 의 합
소각시설 ‘97년 배출농도 최근 배출농도 배출농도 년도 일 산 2.86 0.045 ‘99 평 촌 0.99 0.435 ‘98 의 정 부 8.68 폐쇄(‘97) - 중 동 23.12 0.001 ‘99 목 동 0.06 0.028 ‘98 상 계 0.17 0.114 ‘99 성 서 20.24 0.05(2호기), 0.018(3호기) ‘98 창 원 1.04 0.024 ‘99 성 남 4.02 폐쇄(‘98) - 다 대 0.32 0.163 ‘99 해 운 대 0.75 0.466 ‘99 국내 도시고형 폐기물 소각시설 다이옥신 배출농도
국가 또는 규제 기관명 일일허용섭취량 (TDI)[pg TEQ/kg/일] 한국일본캐나다WHO네덜란드스웨덴독일영국이탈리아미국환경보호청(EPA)미국캘리포니아주미국식품의약청(FDA) 44101∼4 (98년 5월)10(1을 제안 중)510(목표치 1)1010.01**0.067**0.06** 다이옥신 일일 허용 섭취량
내분비계장애 기전 • 호르몬이 체내에서 작용하기 위해서는 보통 합성, 방출, 목적장기의 세포로의 수송, 수용체결합, 신호전달, 유전적 발현 활성화 등의 일련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짐 • 내분비계장애물질은 이러한 과정중의 어느 단계를 저해 또는 교란함으로써 장애를 나타냄
내분비계장애 기전 • 지금까지 알려진 수용체 결합과정에서의 내분비계장애물질의 작용 • 호르몬 유사(mimics) • 호르몬 봉쇄(blocking) • 촉발(trigger)작용
호르몬 유사작용 • 호르몬수용체와 결합하여 내분비계장애물질이 마치 정상호르몬과 유사하게 작용하는 것 • 대표적인 예가 합성에스트로젠인 DES (diethylstilbestrol) • 정상 호르몬보다 강하거나 약한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내분비계의 교란작용을 유발
호르몬 봉쇄작용이란 • 호르몬 수용체 결합부위를 봉쇄 • 정상호르몬이 수용체에 접근하는 것을 막아 내분비계가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 • 대표적인 예로서 DDE(DDT의 분해산물)의 경우 정소의 안드로젠호르몬의 기능을 봉쇄
촉발작용 • 내분비계장애물질이 수용체와 반응함으로써 정상적인 호르몬작용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생체내에 해로운 엉뚱한 대사작용을 유발 • 암과 같은 비정상적 생장, 대사작용의 이상, 불필요하거나 해로운 물질의 합성 • 다이옥신 또는 다이옥신 유사물질 등은 이와 같은 작용기전으로 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됨
생태계 및 인체에 대한 영향 • 호르몬 분비의 불균형 • 생식능 저하 및 생식기관 기형 • 생장저해 • 암유발 • 면역기능 저해
야생생물에 대한 영향 • 야생생물에 대한 내분비계장애가 관찰되었다는 연구 보고는 상당히 많으며, 그 대상이 되고 있는 야생동물도 파충류, 어류, 조류, 그리고 포유류 등 광범위 • 야생동물의 생태학적 조사 결과 장애 영향과 오염물질의 실제 노출량과의 상관관계 등을 확실히 밝힌 보고는 극히 드묾
생 물 장 소 영 향 추정되는 원인물질 패류 고둥 일본해안 웅성화, 개체수 감소 유기주석화합물 어 류 옥새송어 영국하천 자성화, 개체수 감소 노닐페놀 *판정되지않음 잉어 영국하천 자웅동체화 노닐페놀 *판정되지않음 연 어 미국오대호 갑상선비대형성, 개체수감소 불명 파 충 류 악 어 미국 플로리다주 호수 음경왜소화, 알의 부화율 저하, 개체수 감소 호수에 유입된 DDT 등 유기 염소계 농약 야생생물에 대한 영향
조 류 갈매기 미국오대호 자성화, 갑상선종양 DDT, PCBs *판정되지않음 미국 가마우지 미국미시간호 알의 부화율저하 DDT, PCBs *판정되지않음 포유류 바다표범 네덜란드 개체수 감소, 면역기능 저하 PCBs 흰돌고래 캐나다 개체수 감소, 면역기능 저하 PCBs 아메리카 표범 미 국 정류정소, 정자수 감소 불명 양 호 주 (1940년대) 다발성사산, 기형발생 클로버유래의 식물성 에스트로겐 야생생물에 대한 영향
인간에 대한 영향 • 여성의 경우 • 유방 및 생식기관의 암, 내분열증(endometriosis), 자궁섬유종(uterinefibroid), 유방의 섬유세포 질환, 골반염증성 질환(pelvic inflammatory disease) 등 • 남성의 경우 • 정자수감소, 정액감소, 정자운동성감소, 기형정자 발생증가, 생식기 기형, 정소암, 전립선질환, 기타 생식에 관련된 조직의 이상
내분비 장애물질에 대한 관리방안 생활환경 관리 ⹊ 음식물 및 용기 - 지방질이 많은 육류보다는 곡류, 채소, 과일이 풍부한 식단 선택 - 전자렌지에 플라스틱 또는 랩으로 음식을 씌워 데우는 일 삼가 - 과일이나 야채는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고, 껍질을 벗겨 섭취 - 1 회용 식품용기 사용 자제 - 바퀴벌레 퇴치(붕산 등과 같은 물질로 예방)
내분비 장애물질에 대한 관리방안 ⹊ 생활주변 관리 - 금연 - 파리, 모기 등 해충 구제를 위한 살충제의 과도한 사용 억제 - 주거지 주변의 정원이나 텃밭에 농약 살포 자제 - 플라스틱제품을 어린이가 입에 대지 않도록 주의 - 폐건전지, 파손된 수은온도계, 형광등 등 유해폐기물 적절한 처리 - 세척력이 지나치게 강한 세제의 사용 자제 - 손의 청결 유지
내분비 장애물질에 대한 관리방안 원인물질 관리 ⹊ 정부의 관리 대책 - 실제 또는 잠재적 위해성에 따른 관리대상물질의 우선순위 선정 - 환경 및 인간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농도 이하의 환경기준치 설정 및 모니터링 - 환경중 방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배출목록 작성 및 보고제도 운영 - 농약의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대체물질, 품종 및 방법의 개발 - 청정생산 기술 장려 및 지원, 대체물질 개발에 대한 지침 마련 - 내분비 장애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과 환경중 규제치 를 감시할 수 있는 지표(biomarker) 개발
내분비 장애물질에 대한 관리방안 원인물질 관리 ⹋ 산업체의 대응 방안 - 생산 또는 폐기하는 물질에 대한 내분비 장애독성 평가 및 시험 - 소비자에게 상품과 위해성에 대한 정보 제공 - 생산에서부터 폐기에 이르기까지의 전과정(life-cycle) 평가를 통한 오염방지 및 청정생산 기술 이행 - 내분비계장애물질에 의한 제품의 오염여부 감시를 위한 측정
내분비 장애물질에 대한 관리방안 원인물질 관리 ⹌ 연구계의 추진 방안 - 관련부처연구기관 및 민간전문가로 구성된 연구기관간 전문연구 협의체 운영 - 과학적이고 합리적 연구 수행을 위한 중ㆍ장기 연구추진전략 수립 - 내분비계장애물질 현황과 환경생태계에 대한 영향 등을 조사 - 내분비계장애물질 규제를 위한 평가 및 시험방법 등의 확립 - 내분비계장애물질에 대한 환경중의 노출량 및 인체 노출량 조사 - 내분비계장애물질의 지정 및 환경중 기준농도 등을 마련하기 위한 역학조사 및 위해성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