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5

18 장 프레임 중계

18 장 프레임 중계. 18.1 개요 18.2 프레임 중계 동작 18.3 프레임 중계 계층 구조 18.4 혼잡 제어 18.5 leaky bucket 알고리즘 18.6 트래픽 제어 18.7 그 외의 특성들 18.8 요약. 18.1 개요. 사용자 요구 변화 높은 데이터율 (T-3 회선 ) 낮은 비용 ( 그물형이 아닌 연결을 제공 ). 18.1 개요 ( 계속 ). bursty 데이터 ( 요구 대역폭 제공 ). 18.1 개요 ( 계속 ).

sheldon
Download Presentation

18 장 프레임 중계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18 장 프레임 중계 18.1 개요 18.2 프레임 중계 동작 18.3 프레임 중계 계층 구조 18.4 혼잡 제어 18.5 leaky bucket 알고리즘 18.6 트래픽 제어 18.7 그 외의 특성들 18.8 요약

  2. 18.1 개요 • 사용자 요구 변화 • 높은 데이터율(T-3회선) • 낮은 비용(그물형이 아닌 연결을 제공)

  3. 18.1 개요(계속) • bursty 데이터(요구 대역폭 제공)

  4. 18.1 개요(계속) • 개선된 전송매체로 인한 오버헤드 감소(광케이블) • X.25 트래픽

  5. 18.1 개요(계속) • 프레임 중계 트래픽 • 데이터 링크층에서 오류 검사와 확인응답기능 제공하지 않음

  6. 18.1 개요(계속) • X.25와 프레임 중계 비교 Feature X.25 Frame Relay Connection establishment At the network layer None Hop-by-hop flow control and error control At the data link layer None End-to-end flow control and error control At the network layer None Data rate Fixed Bursty Multiplxing At the network layer At the data link layer Congestion control Not necessary Necessary

  7. 18.1 개요(계속) • 장점 • 높은 속도(44.376Mbps)에서 동작 • 물리층과 데이터 링크층에서만 동작 • bursty data허용(bandwidth on demand) • 기존 WAN에 비해 저렴 • 단점 • 사용자에 따라 다양한 지연이 생길 수 있음. • B-ISDN보다 낮은 데이터율 제공 • 실시간 음성이나 비디오와 같은 데이터에 적합하지 않음

  8. 18.2 프레임 중계 동작 • 영구 가상 연결과 교환 가상 연결 제공 • 사용자 장치 : DTE, 교환기 : DCE • LAN이나 Main Frame 컴퓨터를 연결하는 WAN으로 이용 • LAN을 연결하는 경우 • 라우터나 브리지 : DTE • 프레임 중계 교환기 : DCE

  9. 18.2 프레임 중계 동작(계속) • 프레임 중계 네트워크

  10. 18.2 프레임 중계 동작(계속) • 가상회선 • 데이터 링크층에서 동작하는 가상회선 식별자 사용 • 데이터 링크 연결 식별자(DLCI:Data Link Connection Identifier)

  11. 18.2 프레임 중계 동작(계속) • PVC(permanent Virtual Circuit) • 영구가상회선 • 네트워크 제공자에 의해 DTE간에 설정

  12. 18.2 프레임 중계 동작(계속) • SVC(Switched Virtual Circuit) • 교환가상회선 • 네트워크층이나 네트워크층 주소를 갖는 다른 프로토콜 서비스 필요

  13. 18.2 프레임 중계 동작(계속) • SVC 연결에 필요한 DLCI

  14. 18.2 프레임 중계 동작(계속) • 네트워크내에서 DLCI

  15. 18.2 프레임 중계 동작(계속) • 교환기 • 프레임 경로를 지정해주는 표 이용

  16. 18.3 프레임 중계 계층 구조 • 물리층 • ANSI에서 인정하는 모든 프로토콜 지원 • 데이터 링크층 • 단순화된 HDLC사용

  17. 18.3 프레임 중계 계층 구조(계속) • 프레임 중계와 X.25 비교

  18. 18.3 프레임 중계 계층 구조(계속) • 프레임 중계 프레임

  19. 18.4 혼잡 제어 • 사용자가 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률보다 큰 데이터를 전송할 때 발생 • 네트워크 교환기가 처리하기 전에 도착한 패킷을 저장할 버퍼 크기 제한 • 높은 처리율과 적은 지연이 목표

  20. 18.4 혼잡 제어(계속) • 혼잡 회피(Congestion avoidance) • 혼잡이 일어났음을 발신지와 목적지에게 알리기 위해 2개의 비트 사용 • BECN(Backward 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 • 트래픽 혼잡이 일어났다는 것을 송신자에게 경고하는데 사용

  21. 18.4 혼잡 제어(계속) • FECN(Forward 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 • 트래픽 혼잡이 일어났다는 것을 수신자에게 경고하는데 사용

  22. 18.4 혼잡 제어(계속) • 혼잡이 발생할 수 있는 4가지 경우

  23. 18.5 leaky bucket 알고리즘 • 프레임 중계 네트워크 교환기의 동작 • leaky bucket으로 simulation • 물통에 물이 있는 한 일정 비율로 물이 빠져나감

  24. 18.5 leaky bucket 알고리즘(계속) • 예) • 하나의 입력과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갖는 교환기 • 출력 인터페이스 데이터율 : 1.544 Mbps • 입력 데이터가 100밀리초동안 40Mbps 비율을 갖는 버스티 데이터인 경우 큐의 크기는 ? • 40Mbps X(100/100) = 4 megabits

  25. 18.5 leaky bucket 알고리즘(계속) • 출력율을 제어하는 교환기

  26. 18.5 leaky bucket 알고리즘(계속) • 리키 버킷 알고리즘 순서도

  27. 18.5 leaky bucket 알고리즘(계속) • 알고리즘 동작 예

  28. 18.6 트래픽 제어 • 트래픽 제어가 필요한 경우 • BECN 비트나 FECN 비트를 설정할 때 • DE 비트를 설정해야 할 때 • 프레임을 폐기해야 할 때 • 트래픽 제어 속성 • 접근율(access rate) • 허용 버스트 크기(Committed burst size) • 허용 정보율(Committed information rate) • 초과 버스트 크기(excess burst size)

  29. 18.6 트래픽 제어(계속) • 트래픽 제어 속성간의 관계

  30. 18.6 트래픽 제어(계속) • 접근율(access rate) • 채널 대역폭에 따라 다를 수 있음 • 사용자는 절대로 접근율을 초과할 수 없음 • 허용 버스트 크기(Committed burst size:Bc) • 프레임 폐기나 DE 비트 설정 없이 정해진 시간동안에 네트워크에서 전송할 수 있는 최대 비트 수 • 허용 정보율(Committed information rate:CIR) • CIR = Bc/T bps • 초과 버스트 크기(Excess burst size:Be) • 사용자가 정의된 기간동안 Bc를 초과해서 보낼수 있는 최대 비트수

  31. 18.6 트래픽 제어(계속) • Bc와 Bc+Be에 대한 사용율

  32. 18.7 그밖의 특성 • 확정 주소 • DCLI의 범위를 확정하기 위해서 사용

  33. 18.7 그밖의 특성(계속) • FRAD(Frame Relay Assembler/Disassembler) • 다른 프로토콜로부터 도착한 프레임 처리를 위해 사용

  34. 18.7 그 밖의 특성(계속) • VOFR(Voice Over Frame Relay) • 음성 통신을 위해 사용 • LMI(Local Management Information) • 보다 많은 관리 특성 제어를 위해 제공

  35. 18.8 요약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