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8

Career development

Career development. 1 주차 발표 박신윤 , 김병호. 진로발달의 정의 관련용어의 개념 진로발달 연구의 필요성 진로발달의 역사적 배경 및 발달 이론적 고찰 1. 진로선택이론 2. 진로발달이론 3. 아동의 진로발달이론 4. 청소년의 진로발달이론 5. 성인의 진로발달이론 6. 직업발달 단계와 발달과업 7. 여성의 진로발달이론 8. 진로이론의 최근 경향. 진로발달 관련변인 1. 아동 , 청소년 , 성인 2. 여성 진로발달 과제. 목 차.

seth-barr
Download Presentation

Career development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Career development 1주차 발표 박신윤, 김병호

  2. 진로발달의 정의 관련용어의 개념 진로발달 연구의 필요성 진로발달의 역사적 배경 및 발달 이론적 고찰 1. 진로선택이론 2. 진로발달이론 3. 아동의 진로발달이론 4. 청소년의 진로발달이론 5. 성인의 진로발달이론 6. 직업발달 단계와 발달과업 7. 여성의 진로발달이론 8. 진로이론의 최근 경향 진로발달 관련변인 1. 아동, 청소년, 성인 2. 여성 진로발달 과제 목 차

  3. 진로발달(Career Development) 진로발달의 정의1. • 진로발달과 경력개발의 정의에 대해 알아보자. 경력(career) 진로(career) • 한 개인이 일생에 걸쳐 일(work)과 관련하여 얻게 되는 경험 • 직업을 갖기 전에 학교에서 배우고 경험하는 것도 포함한다. • 한 개인이 생애동안 일과 관련하여 경험하고 거쳐가는 모든 체험 (김계현, 1995) • 한 사람이 자신의 일생을 통해 수행 하게 되는 일의 총체 (Hoyt, 1974) 진로발달(career development)의 정의 • 개인의 진로에 영향을 주면서 서로 상호 작용하는 심리적, 사회적, 교육적, 경제적, 신체적 요소들과 기회 요소들이 관련되어 있는 평생의 과정(Sears, 1982) 경력개발(career development)의 정의 • 개인이 일생에 걸쳐 일과 관련하여 얻게 되는 경험을 통해 자신의 직무관련 태도, 능력 및 • 성과를 향상시켜 나가는 과정

  4. 진로발달(Career Development) 진로발달의 정의 2. • 직업발달과 생애진로발달의 정의에 대해 알아보자. 직업발달(vocational development) 진로발달이라고도 하고 occupational development의 동의어로, 일의 가치를 발전시키고 직업정체성(vocational identity)을 구체화하며, 직업기회를 배우고, 시간제, 전일제 환경 또는 여가 선용을 계획하며 발전시키는 평생의 과정 또는 개인이 자기의 진로목표에 접근해 가고 목표를 달성해 가는 과정(한국진로교육학회, 1999). 생애진로발달(life career development) 일생에 걸쳐 한 개인의 일상 역할,장면,사건이 서로 상호작용하고 통합되면서 개인이 자기 능력을 개발하는 것(Gysbers & Moore, 1973)

  5. 관련용어의 개념 • 진로발달과 관련한 용어들 career Intervention • 진로의사결정 과정을 포함한 개인의 진로발달의 어떤 특정 부분을 확장하는데 목적을 둔 신중한 행동(Spokane,1991). 진로조정 • 진로교육은 다양한 형태의 교육적인 방법들, 즉 직업정보의 제공, 학교교육과정에서 진로와 관련된 개념의 습득, 실제 직장에서의 현장체험, 다양한 형태의 직업을 대표하는 사람들과의 대화, 진로에 관련된 내용을 학습할 수 있는 수업제공, 진로경험을 체험 할 수 있는 연구소 설립 등과 같은 것을 통해 학생이나 성인의 진로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체계적인 시도 career Education 진로교육 career coaching • 주로 산업현장이나 회사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고용주가 직장 구성원들의 진로발달을 촉진시키기 위해 행하는 노력을 말한다. (Hall & Associates, 1986) 커리어코칭 • 그 외의 용어들 - career guidance (진로지도), career change (진로수정) - career planning (진로계획),vocational development (직업발달)

  6. 진로발달 연구의 필요성 남성과 여성의 진로발달의 차이 • 여성의 진로발달은 남성보다 한 단계가 더 존재한다. • 그것은 직업선택에 앞서 직업 자체의 선택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 단계이다. 여성 진로발달 남성 진로발달 • 여성의 직업세계에의 참여 증가 -주부와 직업세계 종사자로서의 두 가지 역할을 당연하게 생각하는 여성증가 • 남성과 여성의 직업선택에 있어서의 차이 -직업선택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범위가 제한되어 있으며, 그 범위 내에서도 상대적으로 낮은 지위에 위치함 • 가족관계와 가족구조의 변화 -맞벌이 부부에 있어서는 가사일과 자녀양육을 완전히 분담하는 일이 증가하는 추세 • 남성으로서의 성별의 문제 -남성상(男性像)에 대한 사회인식변화

  7. 진로발달 역사적 배경 및 발달 • 1950년대 초 본격적으로 시작 • Ginzberg, Ginsburg, Axelrad 및 Herma(1951), Herma(1956)과 Super(1957) 등의 진로발달 및 직업선택 이론 등의 발표는 진로지도운동의 발전에 획기적인 업적을 남김 • 진로 발달 및 진로선택 이론의 시초 • Holland, Tiedeman, Gelatt, Krumboltz, Bordin 등 • 발달단계 및 단계간의 이동과 관련한 발달과업, 작업환경에 적합한 성격유형의 확인,의사결정 기법 등에 통찰을 제공 • 경력개발제도의 시초 • 2차 대전 후 미국 연방정부 조직의 비능률을 타개할 목적으로 1955년에 구성된 제2차 후버위원회에 제출된 보고서인 ‘인사부문 권고안’에서 시작 • 한국의 경력개발제도 도입 • 1980년대 초 일본의 경력개발제도가 제도적 성숙기에 접어든 시점에서 거론되기 시작하여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에 걸쳐 삼성, LG 그룹 등을 중심으로 도입 본격화

  8. 이론적 고찰 1. 진로선택이론 진로선택이론 (내용이론) • 개인의 진로선택과 관련된 영향 변인들을 내,외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앞으로의 진로선택을 예측하는데 중점을 둠 특성-요인 이론(trait-factor theory) • 내담자가 자신의 지능, 적성, 흥미, 포부, 학업성취, 환경 등을 정확히 이해할 때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진로결정을 할 수 있다고 주장 • 개인-직업간의 합치(person-job match or fit)를 위한 개인의 심리적 특성에 관심을 갖음 • 개인의 흥미에 맞는 직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직업흥미도를 측정하는 도구 직무적응 이론 (theory of work adjustment) • 개인과 직무의 핵심적 요소들 사이의 합치(correspondence) 정도와 직무의 관계에 초점을 둠 • 직무에 대한 적응정도를 근속연수 기간으로 봄 • 개인의 직무적응은 직무와 상호작용하여 나타난 직무성과와 직무만족에 따라 결정된다고 가정 직업선택 조기결정이론 • Roe는 개인의 욕구 강도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한 개인의 어린시절의 부모와의 관계 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 • Roe는 자식에 대한 부모의 행위를 자식에 대한 정서적 집중, 회피, 수용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부모와의 관계는 직업선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함. • 그 외의 이론들 - Holland의 직업선택이론, BTI 성격유형론등

  9. 이론적 고찰 2. 진로발달이론 진로발달이론 (과정이론) • 인간은 자연적으로 성장, 발달하며 일련의 직업선택을 통하여 직업적 자아개념과 성숙도 등도 함께 개발된다는 이론 으로 진로발달을 개인 전체 발달의 한 측면으로 보고자 하는 관점 Super의 직업발달 이론 • 직업생애 단계, 직업성숙도, 자아개념의 직업적 자아개념으로의 전환, 진로유형 등의 네 가지 요소에 초점을 두며 개인적 요인과 환경 요인과의 상호작용을 강조 • 개인의 일부는 개인의 심리, 생리적 속성에 의해 그리고 일부는 의미있는 타인을 포함하는 환경 요인 에 의해 인간발달의 한 측면으로써 직업발달을 한다고 주장 Ginzberg의 직업발달 이론 • 직업에 대한 지식, 태도, 기능도 어려서부터 발달하기 시작하여 일련의 단계를 거치면서 발달한다는 것 • 직업 선택이란 삶의 어느 한 시기에 이뤄지는 일회적인 사건이 아니라 장기간에 걸쳐 발달하는 일련의 의사결정이라고 주장 (직업선택은 내적요인과 외적요인 간의 타협을 통해 이루어지고 점점 발달함) Tiedeman과 O'Hara의 진로발달 이론 • 진로발달은 직업정체감(vacational identity)을 형성해 가는 과정이며 새로운 경험을 쌓을수록 개인의 정체감은 발달되며 어떤 결정을 내려야 할 때 의사결정의 단계에 접어들게 되는데 이 단계들은 예상기( 탐색기, 구체화기, 선택기, 명료화기)와 적응기( 순응기, 개혁기, 통합기 )등 으로 나뉜다. • 그 외의 이론들 - Tuckman의 진로개발 교육이론 등

  10. 이론적 고찰 3. 아동의 진로발달이론 아동기의 인지발달 및 심리발달이론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 인간의 인지발달은 자연적인 성숙과 환경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달 • 인지발달 4단계 : 감각 운동기(0-2세) -전조작기(3-6세) -구체적 조작기(7-11세) -형식적 조작기(12세 이후) 레프 비고츠키의 교육이론 • 유아기의 인지 발달의 기초가 어머니와의 언어적 교감에서 비롯되며 언어를 통한 어머니의 교육이 점차 동적, 심리적, 지적 교육 환경으로 확대되어 제공될 때 유아의 창의성 및 학습 능력 이 가장 이상적으로 계발된다고 주장. 장점 : 타인과 상호 작용 강조, 새로운 지식관 , 새로운 언어관 프로이드의 심리발달이론 • 프로이드는 인간의 성격은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5단계를 거쳐서 발달한다고 보았고 각 단계마다 정신 (원초아, 자아, 초자아) 이 각기 다른 자각 수준 (의식, 전의식, 무의식 )에서 그 기능을 담당한다고 봄 • 그 외의 이론들 - 에릭슨의 심리사회 이론 , Gottfredson 이론 및 성역할 고착화 이론

  11. 이론적 고찰 4. 청소년의 진로발달이론 Ginzberg의 시험적 직업선택 단계 (tentative stage) Ginzberg, Ginsgberg, Axelrad, Herma 등(1951)이 중등학교이상의 백인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직업선택과정을 현존하는 자료와 학생들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작성하여 연구한 결과이다. 환상적 직업 선택단계 시험적 직업 선택단계 현실적 직업 선택단계 전환단계 흥미발달단계 능력발달단계 가치발달단계 • 11,12세 무렵 현재의 • 흥미에 기초한 • 선택을 하는 경향 • 자신의 흥미가 • 바뀔지도 모르며 • 다른 선택도 할 수 • 있다는 것을 인식 • 능력에 대한 판단은 • 상당이 제한적 • 13세에서 14세 • 자신의 능력에 • 대해 평가 • 학교교육과정이 • 그들의 직업을 • 준비하는데 중요 • 미래와 자신에 • 대해 더 실제적 • 관점 • 15세에서 16세 • 진로를 선택할 때 • 자신의 목표나 • 가치에 대해 숙고 • 추상적 또는 이념적 • 질문을 고려하기 • 시작 • 결,혼 삶 등의 계획에 • 대한 이슈가 나타남 • 진로선택에 있어서 • 중요한 역할을 하기 • 시작 • 진로에 실질적인 • 질문을 던짐 직업 • 유효성(Job • availability)과 같은 • 이슈에 대해 주의를 • 기울일

  12. 이론적 고찰 5. 성인의 직업발달이론 • 개인은 인생의 어느 한 지점에서 아래에 나열된 어떤 단계에 진입하거나 혹은 재진입할 수 있다 . 직업 발달 적응 문제 성인의 직업 발달 단계 Campbell, Cellini, Shaltry, Long & Pinkos(1979) (Walsh & Osipow, 1983) • 준비 단계 직업 준비과정과 직장의 획득 • 확립 단계 새로운 작업 환경에의 적응과 능력과시 • 유지 단계 안정된 직업상의 개인의 직위의 유지, 혹은 승진 • 은퇴 단계 직장에서의 쇠퇴 • 의사 결정 자신과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 후 여러 가지 대안들을 평가하고 선택 • 실행 계획 결정을 바탕으로 실행에 옮김 • 조직, 단체 내에서의 성과 받아들일 수 있을 정도의 생산성을 발휘 • 조직, 단체로의 적응 환경에 효과적으로 참여하기 위해서 적응

  13. 직업발달 단계와 발달과업

  14. 이론적 고찰 6. 여성의 진로발달이론 여성의 진로발달이론 Super(1957)의 여성 진로유형(career pattern) 분류 • 여성에게 있어 가사(homemaking)는 핵심적인 역할이라고 보았으며 가속화되는 여성의 직업세계 참여와 이 둘의 상호작용으로부터 상호 배타적인 7개의 여성 진로유형을 분류함. Psathas(1968)의 여성 직업동기(work motivation)에 관한 제안 • 여성은 자신이 원하는 지위에 있는 남성들과의 사회적 거리(social distance)를 좁혀주는 직업 • 에 매력을 느끼며 심리학적인 특성에 있어서의 개인차보다 사회계층, 사회계층 간 이동의 기회정도 • 인식, 결혼시기, 자녀출산시기 등과 같은 것이 여성의 직업선택에 있어서 더 중요한 요인이라고 주장 Zytowski(1969)의 여성 직업참여(vocational participation)에 관한 가정 • 가사와 직업참여는 상호 배타적이며 여성 직업참여 유형은 참여나이, 참여기간, 참여정도의 세 가지 변수에 근거하여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 • 그 외의 이론들 - Astin(1984)의 진로선택과 직업행동(work behavior) 사회심리학적 모델 , Farmer(1985)의 진로동기(career motivation) 모델 • etz, Fitzgerald, Fassinger의 고능력 여성의 진로선택 실제주의 모델 • Hackett, Betz의 여성진로발달에의 자기 효능감(self-efficacy) 접근

  15. 이론적 고찰 7. 진로이론의 최근 경향 • 1990년대에 이르러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진로이론들 • 10개의 기본적인 가정에 기초하며 학습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개인의 처리능력은 발전함. 진로상담을 하나의 학습과정으로 간주 • 개인이 자신의 운명을 결정, 통제하는데 있어서 무엇보다도 인지의 역할이 크다는 것을 강조 Peterson Sampson Reardon (1991) 인지적 정보처리 이론 가치중심적 진로접근 모델 Brown (1996) • 인간행동이 개인의 가치에 의해 상당 부분 영향을 받는다고 가정 • 흥미는 진로결정에 큰 역할을 하지 않음 • 가치는 행동역할을 합리화하는데 매우 강력한 결정요인 • 높은 효능감을 지닌 사람들은 수행을 긍정적, 성공적으로 이끔 • 비효능적인 사고는 동기를 약화시키고 수행을 저하시킴 • 낮은 수준의 효능감을 가지고 있는 여성들은 진로결정을 포기,지연, 회피하는 경향 Hackett Betz (1981) 자기효능감 이론 • 기존 이론들과 새로운 이론들의 지식을 연계하는 3가지 방법 제시 • 진로선택 내용(수학, 과학 등과 같은 내용영역)과 진로선택 과정 (진로의 실행을 증진시키는 행동영역)을 포함한 것 • 인지적 과정과 자기규제 과정, 동기과정을 생애의 현상에 혼합한 이론 Lent Brown Hackett (1996) 사회인지적 진로이론

  16. 진로발달 관련변인 1. 아동, 청소년, 성인 아동기의 진로발달 변인 청소년기 발달변인 성인 직업행동 관련 변인 • 호기심의 촉진 • 탐색활동 • 정보처리 주요인물 • 내적 및 외적 통제 • 흥미의 발달 • 미래감각 • 긍정적 자아개념개발 • 형식적 사고의 발달 • 자아정체감의 확립 • 가치관의 명료화 • 진로성숙 • 이혼율, 경제 불안 • 변화하는 직업의 기회 • 가족 형태의 변화 • 교육 기회의 확대 •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 • 여성 노동력 증가 • 맞벌이, 중년위기, 수명 • 진로발달은 위와 같은 변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17. 여 성 진로발달 관련변인 2.

  18. 진로발달 과제 아동의 진로발달 과제 • 아동기의 매우 기본적인 동인(drive)은 호기심이며 이를 통해 탐색하고 정보를 획득해야 한다. • 진로를 결정하기 위해서, 어린이는 미래를 인지하는 미래감각(time perspective)을 개발해야 한다. 청소년기의 진로발달 과제 • 성숙에 따른 새로운 감정에 적응할 수 있어야 하고 부모로부터 떨어져 나와 독립성을 발달시킴 • 동성 및 이성의 동료들과 협조하고 효과적인 사회적 관계 수립 및 진로 선택에 대비하여 직업세계를 탐색하도록 하고 올바른 직업관과 직업의식을 형성하도록 도와야 한다. 성인의 진로발달 과제 • 성인기 인간발달의 이해는 성인기에 부과되는 변화의 계속성을 인정하는 융통적이고 개방적이어야 한다. • 외부세계에 대한 정확한 개념, 자기 내적 실체에 관한 지각, 자아와 외부세계와의 상호관계에 대한 지각이 요구되며 안정된 가정을 유지하고 직장에서 성취감을 얻고 여가 활용을 발전시킨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