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 likes | 477 Views
국민대학교 BIT 학부. KMU. B. IT. KOOKMIN UNIVERSITY of a college Business Information Technology. U-City. BIT 세미나. 20051530 김지영 20051552 주정아. 국민대학교 BIT 학부. KMU. B. IT. Advanced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Ⅰ. 개요 & 주요목표. Ⅱ. 진화 과정. Ⅲ. 특징. Ⅳ. 서비스 모델 사례. Ⅴ. 국내 / 외 현황. Ⅵ.
E N D
국민대학교 BIT학부 KMU B IT KOOKMIN UNIVERSITY of a college Business Information Technology U-City BIT세미나 20051530 김지영 20051552 주정아
국민대학교 BIT학부 KMU B IT Advanced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Ⅰ 개요 & 주요목표 Ⅱ 진화 과정 Ⅲ 특징 Ⅳ 서비스 모델 사례 Ⅴ 국내/외 현황 Ⅵ 기대효과 Ⅶ 문제점 & 해결방안 Ⅷ 결론 Ⅸ 참고문헌 Agenda
국민대학교 BIT학부 KMU B IT Advanced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개요 & 주요 목표 U-City • IT인프라, 기술 및 서비스를 주거, 경제, 교통, 시설 등 도시의 다양한 구성요소에 적용한 • 미래형 첨단 도시 ■ U-City 구축활성화 기본 계획 정보통신부 06.12
국민대학교 BIT학부 KMU B IT Advanced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개요 & 주요 목표 주요 목표 -도시생활의 편의 증대와 삶의 질 향상, 체계적 도시 관리에 의한 안전보장, 시민복지 향상 신 산업 창출 등 도시 제반 기능 혁신 수요자의 변화 도시 현안 해결 정보기술 패러다임 변화 • 모바일 뱅킹, 차량 네비게이션 등 • 언제 어디서나 쉽게 서비스를 활용 • 시공간 제약 없는 다양한 채널의 • 서비스 요구 • 도시 집중화, 도시 기반 시설의 증가 • 로 인한 도시관리의 복잡도 증가 • ※ 교통혼잡비용 급증(13조 수준), • 미세먼지로인한 사망자수 증가 • 사물에 컴퓨팅 기능 내재화 • 산업 및 디지털 기기간의 융합 • 가속화 •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 U-City 등장
국민대학교 BIT학부 KMU B IT Advanced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진화 과정 기술의 발달 3기 U-City(성숙단계) 1기 U-City(초기단계) 2기 U-City(발전단계) •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저렴하게 유무선 • 인터넷 사용 • 다양한 공공서비스 및 도시관리서비스 • 고도화 •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개발하여 수익 창출 • 도시전역에서 양질의 인터넷 서비스를 • 향유 • 도시전역에서 무선인터넷 접속이 가능 • 공공부문 정보서비스 제공 • 홈네트워크를 비롯한 시범 부가서비스 • 제공 • 도시전체의 지능화 • 유비쿼터스 서비스의 전면적인 실현 • 서비스의 보편화 2007년 2015년 2020년 2010년
국민대학교 BIT학부 KMU B IT Advanced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특징 분류 주요 내용 Intelligence (지능화) - 도로 등의 도시 인프라와 공항 등의 도시기반시설 등을 유비쿼터스 환경으로 실시간 관리 - 도시기능의 지능화를 위해서는IT, BT, NT 등 연계산업이 복합적으로활용 Network (네트워크) - ‘도시’라는 물리적 공간을 전자적 공간으로 구현하는 기반 - 도시의 모든 사람, 사물, 컴퓨터들을 끊임없이 연결(Seamless) Platform (공통/통합) • - ‘누구나’, ‘어디서나’, ‘언제라도’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공통 플랫폼 필요 • 안전하고 편리한 서비스 활용을 보장하기 위해 이를 전체적으로 조정할 통합센터 • 필요성 대두 Application (서비스) • - 실제 도시의 기능을 전자적 공간에서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구현 • 공간(집, 학교, 사무실 등)과 기능(교통, 행정, 건강 등) 측면에서 유비쿼터스 환경 • 구현 가능 출처 : ETRI, 유비쿼터스 도시의 시장 기회와 잠재력
국민대학교 BIT학부 KMU B IT Advanced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U-City 서비스 모델 사례 ■ u-Seoul 비전 “유비쿼터스 기반의 국제 비즈니스 도시”를 비전으로 수립하고, 복지, 문화, 환경 등 6대 분야에 대한 비전을 수립함
국민대학교 BIT학부 KMU B IT Advanced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U-City 서비스 모델 사례 ■ Health-care, Citizen In need-care, Child-care, Silver-care를 연계하여 시민이 다각적인 복지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u-Care 서비스를 실현함
국민대학교 BIT학부 KMU B IT Advanced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U-City 서비스 모델 사례 ■ 문화.예술 정보에 대한 시민의 접근성을 중대하고, 첨단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하여 문화 공간을 고도화하여 시민들에게 일상과 공존하는 문화 서비스를 제공함
국민대학교 BIT학부 KMU B IT Advanced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U-City 서비스 모델 사례 ■ 대기/수질/폐기물/생활환경 등의 생활 환경 정보를 통합 관리하고 시민에게 생태 체험 공간을 제공하여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쾌적한 푸른 도시를 조성함
국민대학교 BIT학부 KMU B IT Advanced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U-City 서비스 모델 사례 ■ 동북아 주요 인접 도시 연결, 광역교통체계 강화, 첨단 도로.교통 관리 및 통합교통 정보 제공 등이 가능한 국제적 수준의 교통체계를 통해 국제 비즈니스 중심도시로서의 위상 구현을 지원함.
국민대학교 BIT학부 KMU B IT Advanced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U-City 서비스 모델 사례 ■ 실생활에서 관련 기술을 체험과 테스트가 가능한 체험공간을 조성하고, 해외 수출기술 등에 대한 테스트 환경을 기업에게 제공하며, 관련 기술의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는 홍보관을 조성하여 국제적인 관광명소로 육성함.
국민대학교 BIT학부 KMU B IT Advanced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U-City 서비스 모델 사례 ■ 다양한 디지털 단말기를 통한 시간, 장소의 제약이없는 행정서비스 체계를 마련하고, 지능화된 시설물 관리, 사전 대응적인 방범/방배 등 지능형 안전 서비스를 제공함.
국민대학교 BIT학부 KMU B IT Advanced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국내/외 현황 ■ 국내현황 구분 도시명 기존 도시 서울, 부산, 대전, 광주, 울산, 인천, 전북, 충남 홍성, 충북 오송, 전주, 양산, 포항 강릉, 제주 신 도시 행정중심복합도시, 인천경제자유구역, 아산 탕정, 화성 동탄, 파주 운정, 판교, 용인 흥덕, 수원 광교 • 서울, 부산 등 14개 기존도시, 행정중심복합 도시, 화성 동탄 등 8개 신도시 등 전국 22개 지역에서 • U-City 사업이 활발히 추진 중. ■ 국외현황 나라 주요 추진 내용 일본 일본 총무성은 오사카의 도시재생 프로그램을 통해 GPS탑재 휴대폰을 이용한 최적경로 검색, RFID, CCTV 부착 자판기를 활용한 유아관리 서비스 등 12개 실증실험 추진 중 홍콩 Cyber Port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및 Intelligent Office 구현을 목표로 2007년 까지 100M~1Gbps 광통신망을 건설 중 두바이 Internet City는 중동의 IT허브 구현을 목표로 다국적 IT기업을 위한 VoIP 등 유무선 기반 구축 덴마크 코펜하겐의 Crossroads 프로젝트는 2014년까지‘mCluster’ 구현을 목표로 다양한 모바일 기반 서비스 제공 예정 • 외국의 U-City 사업은 접속 가능한 인터넷 도시를 구현하기 위한 IT인프라 광대역화 중심 추진.
국민대학교 BIT학부 KMU B IT Advanced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기대효과 ■ u-City 주요 추진 주체별 목적, 대상, 영역, 기대효과 주체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통신사업자/SI사업자 추진 목적 • 국토의 균형, 개발과 효율적 관리 • 신규 산업 육성과 첨단 기술개발 • 거주민과 지방 기업 서비스 제고 • 제정자립도 확충 • 차세대 성장동력과 수익원 확보 • 신규 사업영역 확대와 비즈니스 • 포트폴리오 대상 • 전체 국민 • 유망 기업과 첨단 기술 기업 • 해당 지역 거주민과 기업 • 주변 지역 주민과 기업 • u-City 추진 정부와 지자체 • u-City 범용과 특화 서비스 이용자 추진 영역 • 국가 u-City 사업 추진과 개발 계획 수립 • u-City 육성 정책/법/제도 제정과 추진 • 지자체, 사업자와의 협력 체계 구축 • 지역 u-City 지역 선정 및 개발 계획 수립 • 재원조달과 사업 추진 • 생활 및 산업 환경 개선 • 유비쿼터스 IT 인프라 확충. • u-City 통신 인프라 구축과 관리 • u-City 솔류션 구축과 운영 • u-Coty 부가서비스 개발과 제공 기대효과 • 국가 산업과 경제적 파급 효과 • 국민의 삶의 질 제고 • 지역 산업과 경제적 파급 효과 • 거주민 삶의 질 제고 • 사업자의 수익성 제고 • 거주민의 충성도 제고
국민대학교 BIT학부 KMU B IT Advanced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기대효과 ■ u-City 경제적 파급 효과
국민대학교 BIT학부 KMU B IT Advanced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기대효과 ■ u-City의 기대효과 국가균형발전, u-Korea 실현 정부정책 목표실현 • 언제 어디서나 도시전역에서 • 초고속으로균일한 정보통신 • 서비스 이용 • 쾌적하고 안전한 생활환경 향유 • 편리하고 즐거운 삶을 위한 • 각종 정보화 서비스 이용 • 주거환경 우위에 따른 자산 • 가치의 경제적 이득 • 기업환경에 적합한 정보 • 인프라 지원 극대화 • u-City 관련 신규산업 진입 기회 • 첨단 기업들의 R&D 기지화 • 촉진으로 도시 산업활동 활성화 • 도시관리 효율화를 통한 • 대민서비스 향상 및 비용절감 • 최상의 공공 서비스 제공으로 • 지자체의 위상 제고 • 도시의 가치 상승에 의한 • 지방세 등 소득 증가 가정 / 개인 기업 지자체
국민대학교 BIT학부 KMU B IT Advanced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문제점 & 해결방안 ■ u-City 문제점 • 1. u-City 표준화 필요성 • u-CIty 도시건설이 표준화에 기반을 둔 유비쿼터스 기술과 접목된 도시통합관제 기술의 융·복합화 기술이 반영되지 않으면 u시티가 완공되자마자 ‘올드시티’로 변모할 것이 너무나 뻔한 일 • 2. 수요자 차원에서의 접근이 부족 • u-시티 전략들이 공급자 중심의 시각에서 이뤄지고 있는 점은 큰 문제. • 수요자 의견을 반영한 서비스 발굴과 표준모델 개발에 더욱 노력해야 함. • 도시간 서비스에서의 연계와 호환성 문제 • 공급자 위주로 서비스를 계획하고 실행하면서 상호 호환이 이뤄지지 않아 국민들에게 많은 불편과 혼란을 준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버스카드‘임.
국민대학교 BIT학부 KMU B IT Advanced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문제점 & 해결방안 ■ u-City 문제점 • u-City 건설을 위한 철학도 없이 단기간에 지나치게 서두른다는 점 • 최근 u-시티가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데 기본개념뿐 아니라 적용 범위ㆍ 서비스 등에 대한 정의 조차 명확히 정립돼 있지 않은 실정임. • 5. 도시별 독자 추진이나 관련부서의 독자적인 판단에 따라 진행을 하다보면 난개발, 인간중심이 아닌 기술중심, 소외계층 심화, 칸막이 부서별 시행에 따른 비효율적 구축 등이 문제점으로 부각될 수 있음
국민대학교 BIT학부 KMU B IT Advanced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문제점 & 해결방안 ■ u-City 해결방안 • 전국 곳곳에서 추진 중이거나 계획 중인 u시티가 체계적인 △미래전략도시 △유비쿼터스 공간기술 △유비쿼터스 기술 기반의 u생태 도시건설 등 친환경 첨단도시 건설 개념이 적용돼야 함 • u-City 관련 법·제도 정비의 조속한 확정이 시급 • 도시통합관제센터 구축과 첨단도시 기능구현을 위해 u시티는 신도시 건설 초기설계부터 확실히 반영돼야 함 • 도시 건축물도 완공되기 전에 각종 센서나 유비쿼터스 센서망이 구축되고 재난·재해·교통·의료·통신·교육·환경·방범 등이 통합적으로 관제돼야 첨단 도시의 제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음 • 유비쿼터스 환경의 도시건설과 도시통합관제센터의 필요성과 당위성이 인정된만큼 주변 상황을 미리 인식하고 실시 설계부터 이를 반영해야 함
국민대학교 BIT학부 KMU B IT Advanced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문제점 & 해결방안 ■ u-City 해결방안 • 향후 도시통합관제센터 운영비 확보와 근거 마련이 시급. 관련 부처 간 의견 충돌이 있는 상황에 정부 u시티 특별위원회라도 설치해 u시티 운영관리비 확보 기준을 조속히 마련해야 함 • u시티 인프라 부문별 종합 인증제 도입이 필요. 초고속 정보통신건물 및 홈네트워크 인증제와의 연계, 지능형 건축물 인증심사기준에 의한 6개 분야(건축계획 및 환경인증 등)의 인증제도 도입이 필요
국민대학교 BIT학부 KMU B IT Advanced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결론 도시 개발 주체간 유기적인 협력과 역할분담을 바탕으로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u-City 구축 추진 필요 개발 주체 개발 주체 관리적 위험요소 기술적 위험요소 지자체별 분산 추진 및 서비스와 구현 기술의 표준 부재에 따른 도시간 서비스 호환성과 연계성 부족 문제 해결 서비스 관리적 위험요소 기술적 위험요소 관련 법령과 관리주체들이 산재되어 있어 효율적 • 체계적인 u-City 추진의 제도적 기반 마련 법제도 관리적 위험요소 기술적 위험요소 관리적 위험요소 기술적 위험요소 법제도
국민대학교 BIT학부 KMU B IT Advanced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참고문헌 • 서울특별시 홈페이지 http://www.ucitycenter.org • 한국유비쿼터스도시협회http://www.ucta.or.kr • u-city 지원센터 http://www.ucitycenter.org/index/index.asp(u-city지원센터) • u-city 포럼 http://www.ubicity.org • 정보통신부 홈페이지http://www.mic.go.kr/user.tdf?a=user.index.IndexApp&c=1001 • 정보통신연구진흥원 http://www.iita.re.kr • http://itreport.co.kr/233?srchid=BR1http%3A%2F%2Fitreport.co.kr%2F233 • http://blog.naver.com/kyoo49/90024421358 • http://www.utrend.org/231 • http://www.e-msit.co.kr/ • http://www-903.ibm.com/kr/ubiquitous/ucity/ • http://itreport.co.kr/tag/U-city • http://www.fkii.or.kr/pub/publication/2005%EB%85%84/pdf/pdf/2005_05_02.pdf
국민대학교 BIT학부 KMU B IT Advanced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참고문헌 http://blog.naver.com/brian1105?Redirect=Log&logNo=70033817132 http://blog.naver.com/dhjjh0153?Redirect=Log&logNo=100053635766 http://ing7.tistory.com/293?srchid=BR1http%3A%2F%2Fing7.tistory.com%2F293 http://blog.naver.com/castlemidst?Redirect=Log&logNo=150035133662 http://blog.naver.com/aphise?Redirect=Log&logNo=130006689256 http://blog.naver.com/shimon?Redirect=Log&logNo=90003068974
국민대학교 BIT학부 KMU B IT Advanced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