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0 likes | 980 Views
미래에셋자산운용 컴플라이언스 외부지출 확인필 제 1444 호 (2012.03.22). 상품 개요. 01. Table of Contents. 투자 환경의 변화 해외채권 투자란 무엇인가 ? 왜 미래에셋글로벌다이나믹 플러스 펀드인가 ? 회사소개 및 운용조직 구성. 1. 투자환경의 변화. 1. 투자 환경의 변화. + 저성장 ∙ 저금리 시대가 장기화되고 기존 투자상품의 매력도가 낮아지고 있는 상황. 04. 1. 투자 환경의 변화.
E N D
미래에셋자산운용컴플라이언스 외부지출 확인필 제1444호(2012.03.22)
상품 개요 01
Table of Contents 투자 환경의 변화 해외채권 투자란 무엇인가? 왜 미래에셋글로벌다이나믹 플러스 펀드인가? 회사소개및 운용조직 구성
1. 투자 환경의 변화 + 저성장 ∙ 저금리 시대가 장기화되고 기존 투자상품의매력도가 낮아지고 있는 상황 04
1. 투자 환경의 변화 + “정기예금에서 주식형 펀드로” , 저축자산에서 투자자산으로 이동 그러나 이제는 “ 정기예금 + α “ 의 안정형 상품이 필요한 시대 05
1. 투자 환경의 변화 + 투자환경의 패러다임이 변화함에 따른 ‘새로운 투자대상’ 에 대한 고민 일반 투자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대중화 투자상품 ( 정기예금 대체상품 ) 이 필요 06
2. 해외채권 투자란 무엇인가? + 해외채권의 종류 08
2. 해외채권 투자란 무엇인가? + 다양한 기대수익률과 위험을 가진 해외채권 투자 고수익채권 ( 이머징로컬/ 이머징소버린, 하이일드) → 높은 기대수익률 & 높은 변동성 안전 채권 (선진국 국채) → 낮은 기대수익률 & 낮은 변동성 해외채권 섹터별Risk – Return Profile 이머징 로컬 하이일드 이머징소버린 플러스 글로벌 채권 선진국정부채권 선진국 국채 09
2. 해외채권 투자란 무엇인가? + 장기투자시이머징· 하이일드 채권의 우수한 장기성과 안전채권 (선진국, 국내) 에만 장기 투자하는 것은 이득이 없음 최근 10년간 해외채권 섹터별 수익률 추이 10
2. 해외채권 투자란 무엇인가? + 그러나 시장 변동성 급격하게 확대 시, 큰 폭의 손실 가능 주요 채권 섹터의 연도별 수익률 및 순위 Source: Bloomberg 11
2. 해외채권 투자란 무엇인가? + 그러나 시장 변동성 급격하게 확대 시, 큰 폭의 손실 가능 2008년 금융위기 당시 해외채권 섹터별 수익률 비교 12
2. 해외채권 투자란 무엇인가? + 대부분의 채권은 위험자산인 주식, 원자재와 대체적으로 같은 방향반면 안전채권 (선진국 / 국내채권)은 위험자산군과 음 ( - ) 의 상관관계 또는 매우 낮은 양 ( + )의 상관관계 자산간 상관관계 : 2002. 01. ~ 2011. 10, 주간 수익률 Source: Bloomberg 13
2. 해외채권 투자란 무엇인가? + 따라서, 적극적인 채권 섹터별 자산배분이 이뤄지는 글로벌채권 펀드가 투자목적에 적합 14
2. 해외채권 투자란 무엇인가? + 해외채권 투자 시 고려사항 15
2. 해외채권 투자란 무엇인가? • + 1. 정기예금 + α수익률 추구 미래에셋글로벌증권모설정이후 수익률 73.0%, 연환산 수익률 13.4% 기록 (2012년 3월 30일 영업일 기준) 2008.06 운용전략 변경(BM인덱스→전략적 자산배분) 후 적극적인 자산배분 전략을 통해 뛰어난 성과 기록 < 참조 > 기존 당사 미래에셋글로벌증권모 운용성과 Source: 미래에셋자산운용, 2012년 3월 30일 영업일 기준 주) 과거의 성과가 미래의 성과를 보장하지 않습니다. 16
2. 해외채권 투자란 무엇인가? + 2. 안정적인 투자 - 낮은 변동성과 뛰어난 리스크 관리 적극적인 섹터 간 자산배분 및 뛰어난 리스크 관리로 금융위기에도 안정성이 검증 “정기예금 + α “ 수익률 추구하되, 채권형 펀드로서 가져야 할 안정성을 가장 중요시 (총 변동성 일정수준 통제) 채권형 펀드로서의 안정성 가장 중시 Source : 제로인, 2012년 3월 30일 기준 Source: Bloomberg, 미래에셋자산운용, 2007.04 ~ 2010.12 주) 과거의 성과가 미래의 성과를 보장하지 않습니다. 17
2. 해외채권 투자란 무엇인가? + 3. 마켓 타이밍이 필요없는 투자 시장환경, 금리상황 등 투자시점에 따른 마켓 타이밍 걱정없이장기투자시 안정적이고 높은 수익률 달성 실제로 6개월 이하 투자시 원금이 손실된 경우도 발생했으나 1년 이상의 경우 원금 손실 확률 매우 낮아짐 < 참조 > 기존 당사 미래에셋글로벌다이나믹 펀드 2006.10.22(설정일) 이후 투자기간(3개월, 6개월, 1년, 2년, 3년)에 따른 모든 투자가능 경우의 수에 대한 수익률을 계산 3개월 6개월 1년 2년 3년 Source: 미래에셋자산운용, 2006.10.22 – 2012.02.29, 글로벌증권 모펀드의보수차감전 성과자료를 바탕으로 생성 주1) 2년, 3년 수익률은 연환산 수치 주2) 과거의 성과가 미래의 성과를 보장하지 않습니다. 18
2. 해외채권 투자란 무엇인가? + 3. 마켓 타이밍이 필요없는 투자 미래에셋글로벌다이나믹 vs. 고위험채권(이머징, 하이일드) 지수 2006.10.22(설정일) 이후 투자기간(3개월, 6개월, 1년, 2년, 3년)에 따른 모든 투자가능 경우의 수에 대한 수익률을 계산 미래에셋글로벌다이나믹 Source: Bloomberg, 미래에셋자산운용, 2006.10.22 – 2012.02.29 주1) 이머징 로컬본드 지수 : JP Morgan GBI-EM USD Unhedged, 미국 하이일드 지수 : JP Morgan US 하이일드 Bond Index 주2) 2년, 3년 수익률은 연환산 수치 주3) 과거의 성과가 미래의 성과를 보장하지 않습니다. 19
2. 해외채권 투자란 무엇인가? • + 4. 국내투자자 관점에서 최적화된 운용 ( Korea - Oriented ) 2008년말 금융위기로 우리나라의 달러 부족으로 환헤지 비용 연간 5~10%까지 과도하게 발생 당시 글로벌다이나믹펀드는 해외채권을 줄이고 국내채권을 늘리는 유연한 환헤지 전략으로 불필요하게과도한 비용 회피 → 재간접형 펀드 형태*로 운용중인 경쟁사(특히 해외운용사) 해외채권형 펀드 대비 강점 *채권전략은 해외의 모 운용사가, 환 헤지는 국내의 계열 운용사가 하는 이원화된 포트폴리오 구조로 환 헤지 비용 급등시 당사 펀드 대비 유연한 대처가 어려움 [ 유연한 환 헤지 전략 ] [ 원-달러 헤지에 따른 손익 추이(1개월 FX Forward 기준) ] Source: 블룸버그 20
3. 왜 미래에셋글로벌다이나믹 플러스 펀드인가?
3. 왜 미래에셋글로벌다이나믹 플러스 펀드인가? + 운용목표 전세계 채권섹터에 대한 분산 투자를 통해 원화채권 수익률 이상의 성과 추구 + 주요 투자 자산 지 역 : 전 세계 (선진국, 이머징 국가, 한국) 신용등급 : 국제 신용등급 (S&P/Moody’s 기준) B-/B3 이상 (단, “B 등급” 채권은 소버린채권 및 준정부채만 투자가능, 원화채권은 국내채권신용등급 A+ 이상) 통 화 : 선진국통화, 이머징 통화, 원화 섹 터 : 정부채권, 준정부채권, 회사채, 금융채, ETF 등 글로벌다이나믹플러스펀드의투자대상 23
3. 왜 미래에셋글로벌다이나믹 플러스 펀드인가? + 운용전략. 1) 적극적 자산배분 2008년 금융위기 발발 시 선진국 국채 중심의 포트폴리오 ① 2008년 10월 이후 환 헤지 비용 급등 시 원화채권 투자를 통해 환헤지 비용 축소 도모 ② 2009년 후반, 이머징 소버린 채권 및 이머징 로컬통화 채권 비중 확대 ③ 2011년 6월 안전자산 및 유동성 비중확대로 방어적인 포트폴리오로 구성하며 8월 이후의위기국면 사전대응 ④ 2012년 3월말 현재, 글로벌 섹터 전체에 대한 고른 분산투자를 통한 변동성 축소 지향 ⑤ < 참조 > 기존 당사 글로벌다이나믹 펀드의 자산배분 변동 추이 24
3. 왜 미래에셋글로벌다이나믹 플러스 펀드인가? + 운용전략. 2) 국내채권 이상의 수익률 추구 < 참조 > 기존 당사 글로벌다이나믹 펀드의 연간 수익률 2008-2011 Source: Bloomberg, 이머징로컬: JP Morgan GBI-EM Global USD Unhedged, 이머징소버린: JP Morgan Emerging Market Bond Index Global Div (EMBI Global Div) 하이일드: JP Morgan Global 하이일드 Bond Index, 국내채권: KIS 한국채권종합지수, 선진국정부채권: JP Morgan Global Government Bond Index (GBI Global) 주) 과거의 성과가 미래의 성과를 보장하지 않습니다. 25
3. 왜 미래에셋글로벌다이나믹 플러스 펀드인가? + 운용전략. 3) 유연한 외환포지션 관리 외환시장 왜곡으로 인하여 환헤지 비용이 급격히 상승하는 경우, 해외투자를 축소하고 국내채권에 투자 → 불필요하게 과도한 헤지 비용을 회피 → 국내채권 이상의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 본연의 목적에 충실한 투자를 수행 달러-원 헤지에 따른 헤지 손익 추이 (1개월 FX Forward 기준) 26
3. 왜 미래에셋글로벌다이나믹 플러스 펀드인가? + 운용전략. 4) 위험 관리 * 평균신용등급 계산 시 원화채권의 경우에는 신용등급 환산표에 따라 평균등급을 계산함 27
참고: 기존 글로벌다이나믹 펀드와의 차별성 + 주요 투자대상 및 신용등급 비교지수 상이 (세부 비교지수의 커버리지 Asia → Emerging Market으로 확대) 채권의 신용등급 기준과 투자한도 제한을 낮추어 투자기회 확대 28
참고: 기존 글로벌다이나믹 펀드와의 차별성 + 글로벌다이나믹 플러스 펀드 초기 예상 포트폴리오 Source: 미래에셋자산운용(2012.03.13 기준) 주) 위의 포트폴리오는 예시이며, 실제 투자집행 시 투자 대상 채권 및 투자전략은 달라질 수 있음. 29
참고: 기존 글로벌다이나믹 펀드와의 차별성 + 글로벌다이나믹vs글로벌다이나믹 플러스 기본 운용전략 동일 : 전세계 채권섹터에 대한 분산투자를 통해 국내채권 수익률 이상의 성과 추구 글로벌다이나믹 플러스 펀드는 기존에 출시된 글로벌다이나믹 보다 더 높은 기대수익률 추구 이머징 로컬 하이일드 글로벌 다이나믹플러스 이머징소버린 플러스 선진국 국채 선진국정부채권 글로벌 다이나믹 30
3. 왜 미래에셋글로벌다이나믹 플러스 펀드인가? + 체계화된 투자 프로세스 투자 프로세스: Top-Down Approach Credit Analyst Manager 가장 중요한 단계 CIO / Strategist / Manager Country Macro AnalystGlobal Banking Analyst Global Macro Analysis ↓ 위험자산/안전자산 비중 배분 위험자산 內 비중배분 • Sovereign/Corporate 종목 선택 Portfolio 투자실행 • Local / External 위험관리 성과요인 분석 Feedback 31
3. 왜 미래에셋글로벌다이나믹 플러스 펀드인가? + 투자 위험 요인 32
4. 회사소개 및 운용조직 구성 + 회사소개 - 운용규모 미래에셋 채권운용부문 전체 운용자산 약 17조 (수익증권 기준으로 전체 대비 비중약 13%) 국내 최대규모 해외채권형 펀드 운용사- 전체 4.0조 중 미래에셋 약 1.3조 (전체 대비 비중 33.1%) 전체 채권형 펀드 운용사별 비중 해외채권형 펀드 운용사별 비중 Source: 금융투자협회, 2012년 3월 30일 기준, 일임제외 Source: 제로인, 2012년 3월 30일 기준, 해외채권형(사모펀드 포함) 34
4. 회사소개 및 운용조직 구성 + 회사소개 - 풍부한 해외채권 투자자원 채권투자전략팀, 글로벌자산배분본부, 해외 현지법인(브라질, 인도, 홍콩, 미국 등) 국내채권팀 (원화채권과의 투자메리트 점검 및 원화채권 투자) 각종 신용평가사, 은행 및 증권사 리서치 / 45개의 거래상대방을 통한 효율적 매매 수행 Inter Dealer Broker를 이용한 Trading Flow 정보 획득 미래에셋의 해외채권 투자 자원 35
4. 회사소개 및 운용조직 구성 + 운용조직 구성 운용조직 구성 ( CIO 1명 포함 19명으로 구성) 36
4. 회사소개 및 운용조직 구성 + 운용조직 구성 - 해외위탁운용사– 미래에셋자산운용(미국) 37
4. 회사소개 및 운용조직 구성 + 미래에셋 채권운용부문의 우수한 장기성과로 해외에서도 인정 미래에셋자산운용 채권부문 수상내역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