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 likes | 822 Views
환경오염. 성정중학교 2 학년 11 반 38 번 신진호. 차례. 바다오염 (ex: 태안기름유출사건 ) 대기오염 (ex: 캐나다대기오염 ) 지구온난화 (ex: 남해안아열대어류 ` 대 박 `) 토양오염 (ex: 미군 송유관 매립지 23 곳 토양오염 심각 ) 오존층파괴 (ex:[ 올해 노벨상 ] 오존층이 파괴되는 이유가 멀까 ). 바다오염 (ex: 태안기름유출사건 ).
E N D
환경오염 성정중학교 2학년11반38번 신진호
차례 • 바다오염(ex:태안기름유출사건) • 대기오염(ex:캐나다대기오염) • 지구온난화(ex:남해안아열대어류`대 박`) • 토양오염(ex:미군 송유관 매립지 23곳 토양오염 심각) • 오존층파괴(ex:[올해 노벨상]오존층이 파괴되는 이유가 멀까)
바다오염(ex:태안기름유출사건) • 2007년 12월 7일 태안반도 해안10km앞에 홍콩유조선과 삼성중공업 예인선이 충돌했다. 넓은 백사장으로 유명한 만리포해수욕장은 말 그대로 `기름 범벅`이 됐다. 백사장은 기름을 제거하기 위하여 이웃주민과 자원봉사자들이 전쟁터와 같았다. 주변주민들은 생존을 위해 `많이 호전이 됐다`고 했다. 만리포가 예전 모습을 찾으려면 몇 년이 더 걸릴 전망 이지만 환경과 이웃주민들을 돕기 위한 자원봉사자의 모습에 그 이상의 뭉클함을 남겼다.
대기오염(ex:캐나다대기오염) • 올해 캐나다에 2만천여명이 대기오염으로 인해 목숨을 잃게 될 것이라고 지적이 나왔다. 캐나다의학협회가 2031년까지 9만명이 대기오염 단기적 피해로 인해 사망하고, 70만명은 장기적 노출 피해로 사망하게 될 것이라고 보도 했다. 대기오염으로 경제적 피해가 2008년 80억 달러에서 2031년 2500억 달러로 급증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CMA회장인 브라이언 데이 박사는 `캐나다는 대기오염의 심각성을 잘 모른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올해 대기오염으로 인해 62만명이 병원에서 일반적인 진료를, 3만명은 응급실 치료를, 9000여명 이상은 전문적 병원 치료를 받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구온난화(ex:남해안 아열대어류 `대 박`) • 지구 온난화롤 인해 바다 수온이 올라가면 서 대형 어망 선들이 대박을 터뜨리고 있다. 올 들어 남해안 아열대성 온대성 어류들이 대량 잡히면서 치솟는 기름 가격에 시름하던 수산업계에 희소식이 되고 있다. 수산 과학원 관계 자는 `수 년 전부터 한반도 해역에 명태와 대구 청어 등 한류 성 어종이 어획량이 감소한대신, 참치와 전갱이 갈치 고등어 멸치 등 난류성 어류들이 증가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지구 온난화가 남해안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토양오염(ex: 미군 송유관 매립지 23곳 토양오염 심각) • 주한미군기지에 유류를 공급했던 한국종단송유관(TKP)이 매설된 지역 중 11개 지방자치단체 23곳의 유류 토양오염 수준이 환경부가 정한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육군에 따르면 천안 소사리의 경우 총석유계 탄화수소(TPH)가 9889㎎/㎏ 검출됐다. 이는 환경부가 정한 토양오염우려기준 ‘가’ 지역(농업) 기준치 500㎎/㎏의 20배,‘나’ 지역(공업) 기준치 2000㎎/㎏의 5배 가까이 되는 수치다. 또 연기 소정면 소정리의 TPH가 7024㎎/㎏, 경북 김천시 지자동에서 5910㎎/㎏, 영동 고당리에서 5268㎎/㎏씩 검출되는 등 모두 21곳에서 TPH가 ‘가’(농업) 지역 기준치를 넘었고 이 중 ‘나’(공업) 지역 기준치까지 넘은 지역도 10곳에 달했다. 아울러 BTEX(휘발유에 포함된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크실렌 등 4개 성분)가 기준치(80㎎/㎏)를 초과한 연기 조치원읍 신안리(898㎎/㎏), 대전시 노은동(115㎎/㎏)까지 포함하면 모두 11개 지자체 23곳에서 TPH나 BTEX가 기준치를 웃돌았다. 이는 육군 TKP사업단이 토양오염전문기관인 자연환경연구소에 위탁해 2006년 9월부터 지난 7월까지 철거 대상인 348㎞ 주변지역에 대한 조사 결과에 따른 것이다.
오존층파괴(ex:[올해노벨상]오존층이 파괴되는 이유가 멀까) • 화학상 / 게르하르트 에르틀 물질표면서 일어나는 화학반응 규명 • 스웨덴 왕립과학원은 표면화학의 지평을 세운 업적을 인정해 독일 막스플랑크재단 프리츠하버연구소 게르하르트 에르틀 교수(71)를 올해의 노벨화학상 수상자로 선정했다. 요소비료 제조와 자동차 배기가스 정화 등에 이용돼 온 화학반응을 좀 더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표면화학을 획기적으로 발전시켰다는 것이다. 에르틀 교수는 질소와 수소를 철 표면에서 반응시키면 철이 질소 분자와 수소 분자 간 결합을 끊어 각각 원자상태로 존재하게 만든 뒤 다시 결합시켜 암모니아를 만든다는 것을 규명해 낸 것이다. 에르틀 교수 연구가 직접 산업화나 상품화로 연결되는 개발이나 발견은 아니지만 화학반응을 더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표면화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영역을 발전시킴으로써 화학반응의 효율성을 높이고 새로운 물질을 합성하는 화학공업 발전에 더 기여했다는 평가다.
끝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