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3

Market Outlook 2013 년 증시전망 : 내년초 강세장을 준비하는 기간이다

하이투자증권 리서치센터. Market Outlook 2013 년 증시전망 : 내년초 강세장을 준비하는 기간이다. Head of Research / Chief Strategist / Quant Analyst 조익재 (Tel : 2122-9190) ijcho@hi-ib.com. 서론 : 글로벌 경기의 위치를 생각해야 할 시점이다 I. 미국 : 생각보다 나쁘지 않다 II. 중국 : 중국 경제의 세가지 문제점 III. 유럽 : 경기는 언제 , 어떻게 좋아질 수 있을까 ?

Download Presentation

Market Outlook 2013 년 증시전망 : 내년초 강세장을 준비하는 기간이다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하이투자증권 리서치센터 Market Outlook 2013년 증시전망 : 내년초 강세장을 준비하는 기간이다 Head of Research / Chief Strategist / Quant Analyst 조익재 (Tel : 2122-9190) ijcho@hi-ib.com

  2. 서론 : 글로벌 경기의 위치를 생각해야 할 시점이다 I. 미국 : 생각보다 나쁘지 않다 II. 중국 : 중국 경제의 세가지 문제점 III. 유럽 : 경기는 언제, 어떻게 좋아질 수 있을까? IV. KOSPI 전망과 섹터 전략

  3. 서론 : 글로벌 경기의 위치를 생각해야 할 시점이다 내년까지 놓고 볼 때 각국 경기의 저점은 어디인가 - 글로벌 경기에 대해 지난 10년을 되돌아 보면 근래 나타나고 있는 특징은 한마디로 ‘저성장 or 성장 동력의 상실’이라고 할 수 있음 - 분석의 초점은 ‘유동성과 정책’ 대신 ‘글로벌 실물 경기’가 증시를 계속 위로 끌고 갈 수 있는지를 중심으로 해야 함 <그림1> 채권의 시대 vs 주식의 시대 논쟁 : 결국엔 향후 경기의 방향성에 달려 있다. 미국은 주식의 반격이 시작되었다 <그림2> 지난 10년간을 돌이켜 보면 세계 증시는 ① ‘03~’07년에 걸친 글로벌 경기의 고성장 및 추세적 상승 국면과 ② ‘08년~현재에 걸친 저성장 및 변동성 국면을 지나왔다. 따라서 전자의 기간에는 경기와 기업이익이, 후자의 기간에는 정책과 유동성이 주가를 좌우했다고 볼 수 있다. 성장률의 전망치를 보면 내년부터 다시 상향 추세로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제 주가가 이러한 글로벌 경기 반등을 신뢰하고 반영해야 할 국면인지 테스트해 볼 시점이다

  4. 서론 : 글로벌 경기의 위치를 생각해야 할 시점이다 내년까지 놓고 볼 때 각국 경기의 저점은 어디인가 <그림3> 각국은 저성장의 시대에서 ‘성장’을 만들어 내기 위해 엄청난 유동성 공급 정책을 펼쳐 왔다. 글로벌 선행지수를 보면 그 효과에 대해 기대해 볼 시점에 다가가고 있다 <그림4> 각국이 금리 인하 등 유동성 팽창 정책을 펼치는 동안 최대 수혜를 입은 자산은 채권이다. 그러나 이미 사상 최고치에 도달했기 때문에 자산 배분 전환에 대한 고민을 낳고 있다 <그림5> 그러나 문제는 아직 경기가 약하다는 점이다. 주식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이제 유동성 보다 글로벌 경기가 중요하다

  5. 서론 : 글로벌 경기의 위치를 생각해야 할 시점이다 I. 미국 : 생각보다 나쁘지 않다 II. 중국 : 중국 경제의 세가지 문제점 III. 유럽 : 경기는 언제, 어떻게 좋아질 수 있을까? IV. KOSPI 전망과 섹터 전략

  6. I. 미국 : 생각보다 나쁘지 않다 최근 미국 경기에 대한 해석 : 내수 vs 수출 - 현재 미국 경기는 ‘수출 약화 vs. 내수 양호’의 대조적인 모멘텀이 혼재하고 있음 - 대외 부문이 부진하더라도 주택 경기 회복이 견인하는 내수 호전 으로 인해 미국 전체 경기가 앞으로도 양호하게 유지될 것 <그림6> 미국 ISM 제조업지수와 고용의 불일치 : 현재 미국 경기는 내수 & 서비스 중심으로 경기가 양호하기 때문이다 <그림7> 미국 내수를 이끌고 있는 주택 경기 : 재고 감소로 인해 가격이 상승하고 있는데 이는 소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7. 서론 : 글로벌 경기의 위치를 생각해야 할 시점이다 내년까지 놓고 볼 때 각국 경기의 저점은 어디인가 <그림8> 주택과 고용 : ‘07년 이후 미국 제조업 가동률은 전고점에 육박하고 있지만 고용은 그에 비해 매우 부진하다 <그림9> 이는 주택 관련 고용이 부진했기 때문인데, 최근 착공지표의 회복으로 볼 때 향후 고용 회복이 가능하다고 본다 <그림10> 주택 경기의 회복은 자재와 장비 수요를 낳고 있기 때문에 향후 미국의 전체 제조업 경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림11> 재정절벽 부담으로 기업의 투자가 위축되고 있으나, 주택 경기 호전으로 소비가 양호하게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소비재 주문 강세가 자본재 주문 약세를 상쇄하고 있다

  8. I. 미국 : 생각보다 나쁘지 않다 미국의 지역별 경기 분석 : 주요 경기 지표가 다시 회복될 수 있다 - 미국의 지역별 경기를 세분화해서 봤을 때 중요한 사실 ① 미국 내수의 지속적인 회복 가능성 : 자원 관련 산업이 호조를 보이는 서남부 지역 ② 대외 부문의 반등 가능성 : 동북부 지역의 FED지수가꼬리를 들기 시작 <그림12> 미국의 지역별 수출 : 유럽경기 침체로 북동부 지역이 안 좋지만 나머지 지역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13> 미국 지역별 경기 분석 : 한마디로 북동부 지역의 약세와 중부 & 남부 지역의 강세로 요약될 수 있다. 이것이 최근 미국 지표가 혼조세로 나오는 원인이며, 미국 경기에 대해 주의 깊은 해석이 필요한 배경이다. 최근 동부 지역의 제조업 지수가 반등하는 것을 볼 때 향후 미국 경기는 전체적으로 반등할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9. I. 미국 : 생각보다 나쁘지 않다 미국의 지역별 경기 분석 : 주요 경기 지표가 다시 회복될 수 있다 <그림13> 미국 지역별 경기 분석 : 한마디로 북동부 지역의 약세와 중부 & 남부 지역의 강세로 요약될 수 있다. 이것이 최근 미국 지표가 혼조세로 나오는 원인이며, 미국 경기에 대해 주의 깊은 해석이 필요한 배경이다. 최근 동부 지역의 제조업 지수가 반등하는 것을 볼 때 향후 미국 경기는 전체적으로 반등할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10. I. 미국 : 생각보다 나쁘지 않다 재정 절벽 : 대선과 정치에 좌우될 사항 - 재정 절벽은 크게 볼 때 경기 부양을 위해 시행했던 각종 감세안의 종료와 예산 자동 삭감에 의한 재정 지출의 감소라는 두가지 충격을 의미 - 감세안 연장만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재정적자 축소 규모가 GDP 대비 2.1%, 감세안 연장과 예산 자동 삭감 연기가 동시에 될 경우에는 GDP 대비 1.4%로 줄어들 것 - 주택 부문의 회복이 경기 회복에 영향을 미치면서 GDP 성장률을 약 0.7%p 정도 방어할 수 있음. 따라서 감세안 연장만이라도 이루어진다면 재정 절벽의 충격은 감 내할 수 있는 정도임 <그림14> 미국 CBO, IMF 등 기관 뿐만 아니라 주요 IB들은 재정절벽이 현실화될 경우 성장률이 크게 악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림15> 재정 절벽이 우려되는 이유는 크게 볼 때 감세안의 종료와 재정지출의 감소라는 두가지 충격이다. 두가지 모두 현실화되면 총 5,600억 달러의 재정적자가 축소될 전망인데, 이는 미국 GDP의 3.5%에 해당하는 규모이다. 당사는 일부 감세안이 재연장되고 재정지출 삭감이 연기된다면 GDP 대비 1~2%의 충격으로 축소될 것으로 보고 있다.

  11. 서론 : 글로벌 경기의 위치를 생각해야 할 시점이다 내년까지 놓고 볼 때 각국 경기의 저점은 어디인가 <그림16> 당사는 미국 주택경기가 내년에 주택 건설, 고용과 소비 유발 등을 통해 성장률 회복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림17> 미국은 현재 저축률이 높아지고 있는데, 주택가격의 회복으로 미국의 소비 성향이 조만간 다시 높아질 것으로 본다 <그림18> 재정수지의 문제는 결국 고용과 실업률의 문제이다. 실업률이 점차 낮아지고 있기 때문에 개선의 여지가 있다고 본다 <그림19> 결론적으로 최근 미국 경기는 불확실성 하에 있지만 이미 저점을 지났고 내년 1분기 이후 본격적으로 개선될 전망이다

  12. 서론 : 글로벌 경기의 위치를 생각해야 할 시점이다 I. 미국 : 생각보다 나쁘지 않다 II. 중국 : 중국 경제의 세가지 문제점 III. 유럽 : 경기는 언제, 어떻게 좋아질 수 있을까? IV. KOSPI 전망과 섹터 전략

  13. II. 중국 : 중국 경제의 세가지 문제점 예상보다 너무 나쁘다 : 계절성까지 깨지고 있는 상황 - 중국 경제는 예상보다 너무 안 좋은 상태 - 중국 경기가 최악의 상태이다 보니 국경절을 앞두고 3분기에 강세를 보이는 계절성마저 흔들리고 있음 <그림21> ‘09년과 ‘12년 회복 싸이클의 비교 : 일반적인 회복 싸이클은 소비↑→재고↓→신규주문↑→생산↑→가동률↑→투자↑이다. 중국은 ’09년에 이러한 회복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였으나, 올해에는 소비 확대부터 실패했기 때문에 모든 후행 싸이클이 정지된 상황이다 <그림20> 중국 경기가 최악의 상태이다보니 국경절을 앞두고 3분기에 강세를 보이는 계절성마저 흔들리고 있다

  14. II. 중국 : 중국 경제의 세가지 문제점 첫째, 수요 확대 정책이 약하다 - M2증가율을 보면 ’09년에 비해 올해의 반등 각도가 매우 완만하다 - 지금 물가도 낮은 편이기는 하지만, 물가가 마이너스였던 ’09년 당시 에 비해 통화정책에 대한 부담이 더 클 수 밖에 없고, 더구나 올해 4 분기에 중국 물가가 다시 3% 대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정책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그림22> 이처럼 ’09년과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첫째, 총수요 확대정책으로서의 통화 정책의 강도가 약했기 때문이다 <그림23> 이는 물가가 ’09년에 비해 높았기 때문인데, 4분기에 다시 높아질 물가를 감안하면 금리정책이 제한될 수 있다

  15. II. 중국 : 중국 경제의 세가지 문제점 첫째, 수요 확대 정책이 약하다 <그림24> ‘09년에 비해 크게 상승한 부동산 가격이 전반적으로 최근 중국의 통화정책의 여력을 제한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 최근 미약하나마 부동산이 다시 상승하는 조짐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경기가 최악의 상태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추가 부양책을 쓰는데 조심스런 입장을 취하고 있음 - 중국은 ’09년부터 그 이듬 해까지 가전 및 기차 하향 정책을 통해 소비를 강력하게 부양했는데, 올해 시행한 하향 정책의 규모는 당시와 비교해 볼 때 너무나 작다 <그림25> 총수요 확대 정책으로서의 재정 정책의 강도 역시 ‘09년에 비해 약했다는 점도 소비 부진의 원인이라고 판단된다 <그림26> ‘09년과 올해 하향 정책의 강도를 비교해 보면 올해 책정된 보조금의 규모는 당시의 15%에 불과하다

  16. II. 중국 : 중국 경제의 세가지 문제점 둘째, 공급 능력의 축소 즉, 구조 조정이 없다 - 더 큰 문제는 수요가 장기적으로 위축된 만큼 공급능력의 축소 즉, 구조조정이 있어야 하는데 중국은 이것이 원천적으로 쉽지 않은 ‘사회주의 국가’라는 점 - 기업의 주인이 나라이기 때문에 철강 시황이 아무리 어려워져도자본주의 국가에서처럼 기업의 도산이나 M&A 등을 통한 구조조정이 쉽지 않다 - 이는 경기의 둔화 국면에서 다음 회복 국면을 위해 거쳐야 할 가장 중요한 과정인 ‘재고 조정’이 안되고 있는 이유 - 결론적으로 구조조정이 없기 때문에 중국의 주요 자본재 산업의 침체가 장기화될 것으로 판단됨 <그림27> 중국의 철강산업에서 고용자수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을 볼 때 구조조정이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28> 중국 경기가 부진한 두번째 이유는 구조조정이 없기 때문이다. 철강을 예를 들면 대부분이 국영기업이기 때문에 원천적으로 구조조정이 불가능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17. II. 중국 : 중국 경제의 세가지 문제점 둘째, 공급 능력의 축소 즉, 구조 조정이 없다 - 더 큰 문제는 수요가 장기적으로 위축된 만큼 공급능력의 축소 즉, 구조조정이 있어야 하는데 중국은 이것이 원천적으로 쉽지 않은 ‘사회주의 국가’라는 점 - 기업의 주인이 나라이기 때문에 철강 시황이 아무리 어려워져도자본주의 국가에서처럼 기업의 도산이나 M&A 등을 통한 구조조정이 쉽지 않다 - 이는 경기의 둔화 국면에서 다음 회복 국면을 위해 거쳐야 할 가장 중요한 과정인 ‘재고 조정’이 안되고 있는 이유 - 결론적으로 구조조정이 없기 때문에 중국의 주요 자본재 산업의 침체가 장기화될 것으로 판단됨 <그림29> 수요가 침체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조강 생산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이는 재고 소진이 쉽지 않음을 뜻한다 <그림30> 재고가 많기 때문에 제품가격 하락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철강 기업의 이익이 크게 악화되고 있다

  18. II. 중국 : 중국 경제의 세가지 문제점 셋째,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다 <그림31> 중국 FDI와 자본수지 : 올해 들어 외국기업들의 이탈과 자본의 이탈이 가속화되고 있다 - 중국 경제의 새로운 문제점은 앞서 언급한 구조적인 약점들이 드러나면서 서서히 경쟁력을 잃고 있다는 점 - 지난 수년간 중국은 토지가격과 임금 등이 많이 올랐고, 게다가 위안 화도 꾸준하게 상승하였음. 이러한 요소 가격의 상승이 중국의 경쟁 력을 약화시킴 <그림32> 중국은 임금, 지가 등 요소가격이 크게 상승했고, 환율도 중국의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33> 중국에서 이탈한 글로벌 자본의 일부가 동남아로 이탈하면서 이 지역 경기는 상대적으로 호황을 누리고 있다

  19. II. 중국 : 중국 경제의 세가지 문제점 신정부에 기대를 거는 수 밖에 없다 - 중국의 문제점들이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구조적인 것들이다 보니 향후에도 경기가 불투명 - 결국 이런 상황에서는 정부의 부양책이 획기적으로 전환될 수 있는 신정부의 등장을 기다릴 수 밖에 없음. 정부가 모든 공급 능력을 쥐고 있고 이를 축소하려는 의도가 없기 때문에 이 상황에서 균형을 되찾는 방법은 정부가 충분 한 수요를 창출하는 방법 밖에는 없다는 뜻임 - 중국 경기의 저점은 올 연말 혹은 내년 초 정도라고 판단된다. 현재 컨센서스는 여전히 지난 2분기가 성장률 기준 으로 저점이었다고 형성되어 있지만, 신정부가 본격적인 행보를 할 것으로 예상되는 내년 1분기말 직전이 경기의 저점이 될 것으로 보는 것이 옳다는 판단임 <그림34> 결국 중국 경기가 돌아서기 위해서는 정부 주도의 투자 부양책이 회복되는 것이 필요하다. 신정부가 들어서면 공격적인 정부 투자가 시작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35> 중국이 갖고 있는 부양 카드는 중서부 개발이 될 것으로 보인다. ‘09년이후 이 지역에 대한 신규 프로젝트가 감소하고 있는데, 최근 8천억 위안에 해당하는 부양책이 승인되었다

  20. II. 중국 : 중국 경제의 세가지 문제점 신정부에 기대를 거는 수 밖에 없다 - 중국의 문제점들이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구조적인 것들이다 보니 향후에도 경기가 불투명 - 결국 이런 상황에서는 정부의 부양책이 획기적으로 전환될 수 있는 신정부의 등장을 기다릴 수 밖에 없음. 정부가 모든 공급 능력을 쥐고 있고 이를 축소하려는 의도가 없기 때문에 이 상황에서 균형을 되찾는 방법은 정부가 충분 한 수요를 창출하는 방법 밖에는 없다는 뜻임 - 중국 경기의 저점은 올 연말 혹은 내년 초 정도라고 판단된다. 현재 컨센서스는 여전히 지난 2분기가 성장률 기준 으로 저점이었다고 형성되어 있지만, 신정부가 본격적인 행보를 할 것으로 예상되는 내년 1분기말 직전이 경기의 저점이 될 것으로 보는 것이 옳다는 판단임 <그림36> 향후 중국 경기를 볼 때 자본재 부문의 출하-재고 증가율의 반전 여부가 매우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중국이 지금까지 언급된 문제점을 해소한 정도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림37> 중국 경기는 성장률 기준으로 지난 2분기에 저점을 친 것으로 평가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체감되는 경기 회복은 신정부가 들어서는 내년 1분기부터라고 판단된다

  21. 서론 : 글로벌 경기의 위치를 생각해야 할 시점이다 I. 미국 : 생각보다 나쁘지 않다 II. 중국 : 중국 경제의 세가지 문제점 III. 유럽 : 경기는 언제, 어떻게 좋아질 수 있을까? IV. KOSPI 전망과 섹터 전략

  22. III. 유럽 : 경기는 언제, 어떻게 좋아질 수 있을까? 금융 쇼크 : 또 한번 ECB의 역할을 기대한다 - 유럽 위기는 국채시장 중심의 ‘금융쇼크’와 경기침체의 ‘실물쇼크’가 진행 중 - 최근 드리기 총재의 국채매입 발언은 ‘금융쇼크’의 관점에서 볼 때 진정될 것 <그림38> ECB 드라기 총재의 국채 무제한 매입 발언으로 지난 LTRO 시행 당시처럼 유럽의 ‘금융 쇼크’는 크게 완화될 것 <그림39> 독일이 여전히 반대하고 있지만 ECB는 다른 중앙은행과 비교해 볼 때 채권 매입 여력이 크다고 판단된다

  23. III. 유럽 : 경기는 언제, 어떻게 좋아질 수 있을까? 금융 쇼크 : 또 한번 ECB의 역할을 기대한다 - 유럽 위기는 국채시장 중심의 ‘금융쇼크’와 경기침체의 ‘실물쇼크’가 진행 중 - 최근 드리기 총재의 국채매입 발언은 ‘금융쇼크’의 관점에서 볼 때 진정될 것 <그림40> 이번 ECB의 매입 정책으로 남유럽 국가들의 국채 부담이 크게 완화될 전망이다. 외국인의 이탈로 인해 국채시장이 악화되어 있었는데, 이를 ECB가 메꿔줄 전망이다 <그림41> 이로써 우려되었던 남유럽 국채 만기 도래 규모의 증가 문제도 해결될 전망이다. 독일의 ESM 합헌 결정 등 난제가 남아 있지만 ‘금융 쇼크’는 다시 수면 아래로 내려갈 전망이다

  24. III. 유럽 : 경기는 언제, 어떻게 좋아질 수 있을까? 실물 쇼크 : 글로벌 공조와 유로화 약세에 기대 <그림42> 크게 위축되고 있는 유럽의 내수 경기 : 재정 긴축으로 인해 실업률이 상승하고 소비가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 - 유럽 문제의 본질은 결국 실물경기의 문제 - 이것이 뚜렷하게 개선될 때까지 근본적인 해결은 없다고 보는 것이 옳음 <그림43> 스페인의 사례에서 보듯 유럽은 재정을 긴축해야 하기 때문에 경기가 살아나기 쉽지 않다 <그림44> 모든 국가들이 ’14년까지 재정적자를 크게 줄여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성장률이 크게 타격을 입을 전망

  25. III. 유럽 : 경기는 언제, 어떻게 좋아질 수 있을까? 실물 쇼크 : 글로벌 공조와 유로화 약세에 기대 <그림45> 유럽의 수출의존도 : 전체 평균은 약 40%이며, 독일의 Non-EU 의존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 유럽의 내수가 안 좋기 때문에 대외부문의 호전이 중요 - 유럽도 환율 약세를 통한 대외부문의 호조가 성장률 악화를 방어할 것 - 작년 4분기부터 Non-EU에 대한 수출 모멘텀이 강화되고 있음 - 대외부문의 호조세는 환율 폭락이 중요 - ‘불황형’ 흑자 누적이 향후 내수를 다시 살려낼 에너지로 작용 - 유럽 역시 이러한 논리가 중요함 <그림46> ‘망했던’ 국가들의 회복 싸이클 : 한국을 예를 들면 환율 폭락→수출 양호 & 수입 위축→무역수지 개선 및 누적→수입(내수 소비) 개선의 순서로 나타난다 (15개월 소요) <그림47> 유럽은 수출의존도가 높지 않고 역내 수출이 많아 같은 맥락에서 보기 어렵지만, 작년 하반기 이후 유로화 약세로 인해 Non-EU 수출이 상대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26. III. 유럽 : 경기는 언제, 어떻게 좋아질 수 있을까? 실물 쇼크 : 글로벌 공조와 유로화 약세에 기대 - 국가별로 보면, 독일을 비롯한 주요국들의 Non – EU 수출이 상대적으로 양호 - 작년 4분기 내지 1분기부터 무역수지 개선 흐름이 나타남 - 제조업 기반이 약한 스페인/포르투갈은 관광객 입국자도 크게 증가 <그림48> 유럽 주요국의 수출입과 무역수지 동향 : Non-EU 수출 부문의 개선으로 인해 무역수지가 뚜렷하게 개선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제조업이 취약한 남유럽 국가들의 무역수지 및 여행수지가 개선되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27. III. 유럽 : 경기는 언제, 어떻게 좋아질 수 있을까? 실물 쇼크 : 글로벌 공조와 유로화 약세에 기대 - 결론적으로 유럽경기는 숫자상으로는 올 3분기가 저점 형성 시기 - 그러나 체감적으로 본다면 성장률이 플러스 영역으로 올라오는 내년1분기부터 개선 <그림49> 이러한 대외 부문의 개선으로 남유럽 국가들의 성장률은 올 연말경 최악을 통과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50> 대외부문의 전체적인 경기 흐름를 감안할 때 유럽 경기는 3분기에 저점, 내년 1분기부터 반등할 것으로 판단된다

  28. 서론 : 글로벌 경기의 위치를 생각해야 할 시점이다 I. 미국 : 생각보다 나쁘지 않다 II. 중국 : 중국 경제의 세가지 문제점 III. 유럽 : 경기는 언제, 어떻게 좋아질 수 있을까? IV. KOSPI 전망과 섹터 전략

  29. IV. KOSPI 전망과 섹터 전략 : 4분기는 내년 초 강세장을 준비하는 기간 4분기는 내년 초 강세장을 준비하는 횡보 기간 - 지금까지의 증시는 ‘정책과 유동성’에 좌우됨, 향후에는 ‘경기와 기업이익’의 방향성이 좌우할 것 - 숫자상으로 저점은 2~3분기이나, 이번 경우는 이같은 일반론적인 판단에 신중을 기해야 함 - 실제로 글로벌 경기 회복을 체감할 수 있는 위치는 시간적으로 더 뒤에 있음 <그림51> 글로벌 경기의 향후 저점은 언제인가? 주요국의 경기선행지수는 저점에서 반등하고 있지만 확신하기 어려운 상황 <그림52> 숫자상으로의 저점은 G2가 2분기, 유럽이 3분기이지만 실질적으로 회복되는 시점은 내년 초부터라고 판단된다

  30. IV. KOSPI 전망과 섹터 전략 : 4분기는 내년 초 강세장을 준비하는 기간 4분기는 내년 초 강세장을 준비하는 횡보 기간 - 글로벌 경기 회복을 실제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시기는 내년 1분기 정도 - 그 근거는 1) 중국경기 회복은 신정부 출범 이후, 2) 미국의 대선+재정절벽+QE3 시행여부, 3) 유럽은 G2의 경기 모멘텀에 연동될 것 - 더불어 우리나라 기업이익 모멘텀이 4분기에 다시 약화될 것으로 전망 <그림53> 한국 기업이익 분기별 전망 : 3분기는 증익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4분기는 다시 이익이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그림54> 우리나라는 경기선행지수의 반등에도 불구하고 이익조정비율이 계속 하향되고 있다

  31. IV. KOSPI 전망과 섹터 전략 : 4분기는 내년 초 강세장을 준비하는 기간 4분기는 내년 초 강세장을 준비하는 횡보 기간 <그림55> MSCI AC World와 KOSPI : 최근 들어 우리나라 증시가 세계 증시를 underperform - 주가는 이익을 반영하는 것이 정상 .그러나 KOSPI는 작년보다 EPS가 상향되었으나, 증시는 오히려 하락 - 이러한 Valuation 하락은 중국 익스포져가 높기 때문 - 그러나 중국 경기가 내년 초부터 살아날 수 있다는 기대감으로 4분기 하단이 1850pt (forward PER 8배)를 쉽게 깨지 않을 것 <그림56> 주가는 이익을 반영하는 것이 정상 : 각국 증시의 작년 고점, 올해 상반기 고점, 현재의 위치를 보면(그림55 참조) 각 시점마다의 EPS 흐름과 대체적으로 일치함. 우리나라는 작년 이후 이익이 개선된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하락했는데, 이는 ‘중국 discount’라고 판단되며, 내년 초부터 해소될 것으로 판단된다.

  32. IV. KOSPI 전망과 섹터 전략 : 4분기는 내년 초 강세장을 준비하는 기간 4분기 섹터전략 : 분기후반으로 갈 수록 자본재 - MSCI Korea의 EPS 상승을 주도한 것은 반도체/자동차 중심의 소비재, 주가하락은 자본재가 주도 - 주가 상승 탄력 회복을 위해서는 자본재와 금융주의 주가 모멘텀이 필요하나, 이익조정비율(ER)의 약세로 볼 때 당분간 어려울 듯 - 그러나 글로벌 경기 위치를 감안할 때 4분기 후반으로 갈 수록 자본재에 베팅하는 것이 유효 <그림57> 이번 내수주들의 강세는 소비 부진에도 불구하고 소득 회복에 기반을 두고 발생하였다 <그림58> ‘11년 KOSPI 고점 이후 섹터별 주가와 이익의 추이 : MSCI Korea의 EPS 상승은 반도체와 자동차 중심의 소비재 때문이고, 주가 하락은 자본재와 금융주 때문이다. 이렇게 볼 때 향후 KOSPI가 상승하기 위해서는 후자의 주가 모멘텀이 회복되는 것이 필요한데, 이는 중국 경기 반등과 QE3 가능성이 높아지는 4분기 후반에 본격화 될 전망이다.

  33. IV. KOSPI 전망과 섹터 전략 : 4분기는 내년 초 강세장을 준비하는 기간 4분기 섹터전략 : 분기후반으로 갈 수록 자본재 - 글로벌 소비재 대비 자본재의 상대강도를 결정하는 팩터 움직임을 볼 때 일부 방향 반전이 시도되고 있음 - 그러나, 전반적으로 지표들의 시그널이 초입 국면이므로 4분기 동안 더 관찰해볼 필요가 있음 - 따라서 4분기는 자본재 내 우량주를 저점매수하는 시기 <그림59> 자본재의 상대강도 시그널 정리 : ① 달러 하락 시도, ② 원자재 가격 모멘텀 반등, ③ 미국 소비재 대비 브라질 자본재 ER의 반등 등 자본재 반등 시그널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 모멘텀의 지속성을 주는 미국 QE3, 중국 부양책 등 각국의 정책에 대한 관찰이 더 필요하다고 본다. 지금은 자본재 우량주만을 저점 매수할 시기라고 판단된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