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0 likes | 923 Views
SCM 추진을 위한 파트너 십. - 목 차 -. 제조업자와 유통업자의 협업. 공급사슬관리 전략. SCM 추진 유형. 현장 사례 : 한국방송광고공사의 KOBAnet. 파트너십에 의한 고객사 관리. - 서울 종합 금속 - 김포시 하성면에 위치한 알루미늄 압출 형재 제조업체 성공 이유 - 다양하고 건실한 업체를 고객사 채널로 확보 인본 주의에 입각한 신뢰경영. 제조업자와 유통업자의 협업. 제조업체와 유통업체의 연결. 제조업자와 유통업자의 협업.
E N D
- 목 차 - • 제조업자와 유통업자의 협업 • 공급사슬관리 전략 SCM 추진 유형 현장 사례 : 한국방송광고공사의 KOBAnet
파트너십에 의한 고객사 관리 - 서울 종합 금속 - 김포시 하성면에 위치한 알루미늄 압출 형재 제조업체 • 성공 이유 - • 다양하고 건실한 업체를 고객사 채널로 확보 • 인본 주의에 입각한 신뢰경영
제조업자와 유통업자의 협업 제조업체와 유통업체의 연결
제조업자와 유통업자의 협업 공급체인 기업의 파트너십 추진 성과
제조업자와 유통업자의 협업 파트너십의 특성
제조업자와 유통업자의 협업 • LG생활건강 • 1947년 국내 최초의 화장품인 동동구리무를 생산한 기업으로 현재 죽염치약을 비롯한 인체용품, 한스푼, 자연퐁 등 가정용품, 이자녹스, 라끄베르 등의 화장품을 생산·판매하고 있음 • LG생활건강의 CRP 추진배경 • LG생활건강은 성장시장에서 고객과 상생(win-win)할 수 있는 핵심역량을 확보하여 고객만족도를 극대화하기 위해 공급사슬관리 계획을 수립하였다. • 즉, 공급사슬관리의 효율화를 위해 협력업체들과의 협력 기반을 구축하고, 업무 프로세스 효율화를 달성함으로써 재고를 줄이면서도 매장 내 품절을 줄이고자 하였다 • CRP (Continous Replenishment Programs) 추진 예상 효과 • 실시간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재고 감축 • 미납율 및 결품율 축소를 통한 서비스 수준 향상 • 판매기회 확대를 통한 매출 신장 • 업무처리 표준화를 통한 자원의 최적활용을 통해 이익을 증대 • 관리비용을 절감.
제조업자와 유통업자의 협업 • CRP 추진 효과 • LG 생활건강 • 수주 프로세스를 제거한 후에도 발주빈도와 발주량을 통제하면서 • 경제적 규모로 공급을 할 수 있게 되었음. 이를 통해 납품서비스가 향상 • 공급비용이 감축되었으며 롯데마트와 신뢰관계를 돈독히 하게 됨 • 롯데마트 • 발주 프로세스를 제거하여 취합-정리-발주입력-전송처리 단계를 • 생략하게 됨으로써 발주에서 납품까지의 사이클타임을 축소 • 매장 품절이 감소하고, 매장 재고 회전일이 단축되었으며 • 수발주 업무비용이 절감
목표 설립 제조업자와 유통업자의 협업 파트너십 제도화 파트너십 정의 파트너십 유지 파트너 탐색
제조업자와 유통업자의 협업 • 네트워크형 협력 • 두 기업이 대등한 입장에서 자유의지에 의한 발주-수주 계약 체결을 통하여 수요자-공급자의 관계를 맺고 있는 기업간 협력방식 • 가부장형 협력 • 발주기업이 수주기업보다 기업규모나 기술수준, 자본력, 판매능력 등에서 우위에 있는 경우 • 양자의 거래 관계는 안정적이지 못하며, 거래과정에서는 강용와 착취가 보편화 • 본점지향형 협력 • 전속성이 높은 자산을 장기간에 걸쳐 규칙적으로 거래하는 경우에 나타난다. • 양자관계가 본점-지점으로 이해될 수 있는 상태
기업간 파트너십 형성을 통해 얻을 수 있는 • 수익성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한다 전략분석 단계 • 자신의 기업에게 최적의 성과를 가져다 • 줄 수 있는 파트너를 선택하는 단계 협력업체 평가 및 선정 단계 • 선정된 기업이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 실질적인 협업을 하는 과정 파트너십 수립 단계 • 기업의 지속적인 파트너십 유지 및 • 새로운 파트너의 생성단계 유지 단계 제조업체와 유통업체의 협업 공급체인 파트너 선정
공급사슬관리 전략 Q R (Quick Response) 이 란 ? QR은 1985년 미국의 패션 어패럴 산업에서 공급사슬의 상품 흐름을 개선하기 위하여 소매업체와 제조업체의 정보공유를 통해 효과적으로 원재료를 보충하고 제품을 제조하고 유통함으로써 효율적인 생산과 공급사슬 재고량을 최소화시키려는 공급사슬 관리 전략이다.
공급사슬관리 전략 • ECR 이란 (Efficient Consumer Response) • 공급사슬관리 전략 중 하나로 1990년대 초 미국에서는 미국 슈퍼마켓에서 공급사슬의 비효율적인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노력에서 출발. 효율적으로 소비자에 대응하는 관련업체들의 공동전략 • ECR 추진 동향 • 미국에서는 제2의 산업혁명으로 불릴 정도로 산업계에서 부각되고 있으며, 일본과 유럽에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유럽에서는 18개 다국적 기업이 참여하여 1990년대 중반 전 유럽 식품업체의 운영비를 연간 미화 270억 달러나 절감하고 총재고량도 40%나 줄이는 효력을 나타냈다. • 한편 우리나라에는 1999년 11월 국SCM민관합동추진위원회가 발족 하였다. • ECR 추진기관 • FMI (Food Marketing Institute) • GMA (Grocery Manufacturers of America) • UCC (Uniform Code Council) • AMI (American Meat Institute)
공급사슬관리 전략 ECR 추진 로드맵 ECR 요소 기술 ECR 성과 ECR 목표 카테고리관리 CRP ACB CAO 크로스도킹 EDI 효과적인 구색 촉진적인 활동 효율적 상품도입 효과적 상품 재충원 고객가치 창조
공급사슬관리 전략 QR과 ECR의 비교
공급사슬관리 전략 자라 (ZARA) 스페인의 대표 브랜드인 ZARA는 1974년 설립되었다 ZARA의 디자인 마인드는 한번 출고된 제품은 인기와 관계없이 다시 출고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ZARA가 초고속 대량생산이 가능한 것은 자사 일괄생산체제와 물류, 정보시스템 3박자가 맞아 떨어지기 때문이다. 소비자들을 사로잡는 비결은 합리적인 가격과 감도 있는 디자인, 스피드 이다.
공급사슬관리 전략 S P A Specialty store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 사전적 의미로는 SPA브랜드란 생산부터 소매, 유통까지 직접 맡는 패션 업체를 말한다. 백화점 등 고비용 유통을 피해 대형 직영매장을 운영, 비용을 절감시킴으로써 싼 가격에 제품을 공급하고, 동시에 소비자의 요구를 정확하고 빠르게 캐치하여 상품에 반영시키는 신 유통업체이다. SPA의 시초는 1986년 GAP 사에서 새로운 사업체제를 정의하면서 언급되었어요. 대표적 브랜드로는 GAP, 유니클로, 자라, 망고, H&M, 밸리걸 등이 있어요
공급사슬관리 전략 • 카테고리란 ? • P&G의 상품의 특성에 따른 브랜드 관리에서 유래한다. •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소비자가 상호 연관된 것 토는 대체할 수 있다고 인지하는 명확하게 관리 가능한 상품 및 서비스 그룹 • 카테고리관리란 ? • 유통업체 및 공급업체가 소비자들에게 가치를 전달함으로써 • 경영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카테고리를 전략적 사업 단위로 • 관리하는 프로세스
비즈니스 프로세스 • (핵심요소) 전략 (핵심요소) 거래파트너간의 • 협력관계 • (기반요소) 스코어 카드 (기반요소) • 정보기술 • (기반요소) 조직역량 • (기반요소) 공급사슬관리 전략 카테고리관리 구성요소
공급사슬관리 전략 삼성 테스코: 유사 아이템 모아 마케팅 대형 할인점인 홈플러스를 운영하는 삼성 테스코가 발 빠르게 CM를 도입했다. 홈플러스 매장의 고객 정보와 제조업체가 축적한 마켓정보를 서로 공유함으로써 상품의 구색, 진열, 가격,행사에 대한 전략을 새롭게 세워보자는 것이다 고객이 원하는 상품을 가장 싼 비용으로 적재 적소에 공급해 고객만족을 최대화하기 위한 것 홈플러스는CM은 물론 EDI와 향후 실행할 CMI (공동 재고 관리) 를 통해 궁극적으로 최고 수준인 CRFR을 구현해 고객가치를 증대시켜 나갈 방침
상품 흐름의 • 원활화 유통업체와 제조업체 간의 상품 공급망의 유지비용 감소 • 상품의 • 적시 공급을 통한 • 재고비용 절감 상품의 결품 예방 고객 서비스 수준향상 공급사슬관리 전략 CRP (Continuous Replenishment Programs) (지속적 보충 프로그램) • 소비자 수요에 기초하여 획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제조업체가 • 상품을 자동으로 보충하는 방식 CRP 추진 이유
공급사슬관리 전략 CPFR (Collaborative Planning, Forecasting, & Replenishment) 제조업체가 유통업체와의 협업전략을 통해 상품의 생산에 있어 공동으로 계획하고 생산량 예측하고, 상품의 보충을 구현하는 방안 CPFR 성과 • 판매기반을 확보 • 예측 에러가 감소 • 회전율 증가 • 예측을 위한 장기 계획이 가능 • 투자수익률(ROI)의 증대 • 재고감축 • 현금흐름 개선 효과 • 결품 감소 • 다양한 구색으로 소비자를 만족 • 판매상품에 대한 원가절감과 판매 및 일반관리비용 절감 • 파트너 관계와 협업수준 향상으로 안정적인 판매기반을 확보
공급사슬관리 전략 • E-프로큐어먼트 • E-프로큐어먼트는 공급 파트너간 원재료 및 물품의 구매와 관련해 대금의 지불, 조직의 운영에 이르는 전 과정을 포함하는 공급사슬 관리 방안 • E-마켓 플레이스 • 기업간의 네트워크 협력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공급사슬관리상의 공통가치의 극대화를 지향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인터넷 상의 새로운 시장 • 오늘날의 E-마켓 플레이스는B2B와 B2C E-마켓 플레이스로구분 • 호탈(horizontal portal): 수직적 통합을 지원 • 보탈(vertical portal) : 수직적 통합을 지원 • 메가 마켓 (mega market): 호탈과보탈의 종합적 특성을 보유한 통합적 • E-마켓 플레이스
공급사슬관리 전략 CAO (Cross Assistant Ordering) 크로스 도킹 (Cross-Docking) CAO & 크로스 도킹 유통업체의 제품보충을 위한 물류 지원 정보시스템 상품정보를 분석해 자동으로 발주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파렛트 크로스 도킹 유통업체와 제조업체의 정보 공유가 기반이 되기 때문에 파트너십이 주요 케이스 크로스 도킹 EDI 기반 정보시스템이기 때문에 EDI와같은 소프트웨어를 통한 데이터베이스의 변화 요구 공급업체 크로스도킹
공급사슬관리 전략 EDI (Electronic Data Interchange) POS (Point Of Sale) EDI & POS POS 데이터와 관리기관으로 EAN과 UCC 표준화된데이터의 전자문서교환 한국에서 바코드 체제는 KAN에서 관리 1960년대 말 미국의 운송업계의 문서체계에서 기원 대형 할인매장인 유통업체나 슈퍼마켓 등에서 EAN-13사용 공급사슬 기업간 전자조달 체제의 가속화 EAN-13은 국가 코드, 제조업체 코드 상품 코드, 체크디지트로 구성
공급사슬관리 전략 공급망 가시화 재고 최적화 S & OP 및 수요관리 SCM 분야에서 조명 받고 있는 기술 생산계획 및 라인스케줄링 수배송 관리 (TMS) 창고관리
3. SCM(공급사슬관리) 추진 유형 ※ 파트너십과SCM 추진유형에 따른 특징 ●전략적 제휴형 ● 유통업체 제휴형 ● 제조업체 주도형 ● 시장 매커니즘형
※ 공급사슬 네트워크의 영향력과 역동성에 따른 분류 [그림] SCM 네트워크 유형
※기술력과 협업에 따른 SCM 메트릭스 [그림 6] 기술력과 협업에 따른 SCM 매트릭스
※읽어보기 ◆그린파트너십(Green Partnership)이란? 대기업이 자본력과 기술력을 동원해 협력업체인 중소기업의 청정생산 기술 등 환경 경영체제 구축을 지원하는 사업. 장점: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신뢰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거래관계를 구축 할 수 있다. 다양한 환경전문기관을 참여시켜 환경경영기법과 유해물질관리에 대한 노하우 공유 이러한 이유로 그린 파트너십은 통상적으로 친환경공급관리(SCEM)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 탄생배경 전 세계적으로 환경규제가 강화되면서 환경경영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생김 ◆ 국내에서도 지원 확대 현대자동차, 삼성전자, LG전자, 삼성SDI, SK, 포스코, 유한킴벌리, 풀무원
4. 현장사례: 한국방송광고공사의 KOBAnet [그림7] KOBAnet의 아키텍쳐 출처 : KOBAnet시스템 성과분석 연구보고서
※한국방송광고공사의 광고소재 운영방식의 문제점 비용 및 업무처리의 비효율성 방송사고의 가능성 상존 모니터활동의 정확성, 신속성 낮음 업계공유의 자산 인프라화의 어려움
※방송광고 소재전송시스템 도입의 필요성 및 도입배경 [그림10] 한국방송광고공사의 단계별 e-비즈니스 추진전략 출처 : KOBAnet시스템 성과분석 연구보고서
※ KODEX 도입을 위한 선결 과제 및 고려사항 첫째. 광고소재 디지털화 단계에 앞서 업계가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소재코드 의 표준화가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광고소재에 대한 각 업계의 업무영역 수정과 함께 책임 및 관리에 대한 명확 한 법적 제도적 검증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업무 협의를 통해 향후 구축 및 운영에 관한 방안과 재원에 대한 업계의 합의 가 선결되어야 한다. 넷째.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협의회가 구성되어야 한다.
※KOBAnet구축을 통한 업무 프로세스의 변화 [그림11] 예상되는 업무 프로세스 변화
※ 방송광고 소재전송시스템의 운영 프로세스 [그림13] KODEX의 개념적 아키텍처 [그림 12]방송광고 소재전송시스템의 프로세스
※ 방송광고 소재전송시스템의 운영 프로세스 [그림 14] KODEX의 업무 프로세스
※ KODEX 주요 업무 및 프로세스 [표 7] 방송업무 특성
※ KODEX 주요 업무 및 프로세스 [그림 15] KOBAnet데이터 교환 체계도
※ KODEX의 활용성과 첫 째. 방송광고 업계 네트워크화 추진 둘 째. 광고 영업의 본격적 e-비즈니스화 셋 째. 광고소재 전송의 온라인화 넷 째. 광고업무 효율 및 과학성 제고 다섯째. 광고 콘텐트 활용 극대화 및 광고 산업의 과학화 여섯째. 방송광고업계에서의 표준코드의 확산 일곱째. KODEX를 통한 업무 통합에 따른 비용절감 여덟째. 제도개선 유발 효과 및 고객 서비스 제고 아홉째. KODEX를 통한 시스템 후방효과 창출
※KODEX 주요 성공요인 첫째. 공급망 혁신 성공요인은 적극적인 업무혁신을 위한 조직 구성원 및 관련 분야 사람 들의 참여 및 인적 네트워킹강화에 있다. 둘째. 한국방송광고공사의 장기적인 계획 하에 체계적인 공급망 혁신을 위한 정보시스템 수립 계획 및 장기적 IT투자애 있다. 셋째. 과거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던 업무를 정보기술에 통해 디지털화함으로써 한국방송 광고공사와 관련 기업들의 업무 프로세스를 근본적으로 인터넷 자료교환을 통해 업무가 이루어지도록 디지털화시킴으로써 혁신시킴으로써 경영성과를 개선 한데 있다. 넷째. 정보기술의 활용을 위한 한국방송공사와 관련 기업들의 정보기술 인프라에 대한 공동 의 구축 노력에 있다.
※ 질문과 답변 Q &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