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7

루마니아 시장 동향 및 진출 전략

루마니아 시장 동향 및 진출 전략. KOTRA 부쿠레슈티무역관. 2007. 8. 30 . 목 차. 1. 루마니아 개요 및 시장규모 2. 루마니아시장 특성 3. EU 가입의 영향 및 효과 4. 투자지역으로서 루마니아 평가 5. 루마니아 진출 전략. 1. 루마니아 개요 및 시장 개요. 가 . 개요. 나 . 시장 규모. ㅇ 연령별 고른 인구구성 - 40 세미만 인구가 전체인구의 55%. ㅇ 높은 농촌인구 비율. (2005 년 기준 , 루마니아통계청 ).

lynn
Download Presentation

루마니아 시장 동향 및 진출 전략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루마니아 시장 동향 및 진출 전략 KOTRA 부쿠레슈티무역관 2007. 8. 30

  2. 목 차 1. 루마니아 개요 및 시장규모 2. 루마니아시장 특성 3. EU가입의 영향 및 효과 4. 투자지역으로서 루마니아 평가 5. 루마니아 진출 전략

  3. 1. 루마니아개요 및 시장 개요 가. 개요

  4. 나. 시장 규모 ㅇ연령별 고른 인구구성 - 40세미만 인구가 전체인구의 55% ㅇ높은 농촌인구 비율 (2005년 기준, 루마니아통계청)

  5. ㅇ소득별 분포 (Gross salary 월급여 기준) 단위 : RON

  6. 2. 루마니아 시장 특성 가. 지리적, 역사적 배경 ㅇ 로마가 다치아제국을 점령한 이후, 헝가리, 게르만, 러시아, 터키 등의 지배, 간섭으로 인해 동구의 Melting pot으로 불릴 만큼 다양한 민족, 문화 보유 ㅇ타민족이나 이문화에 대한 거부감이 적은 편이며 동양인에 대한 반감도 다른 EU국가에 비해 낮은 편 나. 민족성, 바이어 성향 ㅇ 강한 라틴기질: 동구권의 슬라브 민족들에 둘러싸인 라틴국가 ㅇ 쉽게 친해지고 대화를 좋아하나, 실질적인 거래와 무관한 경우 빈발, 따라서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접근 필요

  7. 다. 서구지향적 교역 구조 ㅇ 주요 수출국가/ 금액 분포(한/중/일 비교) 단위: 백만유로 - 중국 25위, 일본 35위, 한국 63위

  8. ㅇ 2006년 주요 수입국가/ 금액 분포(한/중/일 비교) ㅇ 서구지향적 교역의 특성 - 패션, 디자인 등 서구화된 입맛을 보유하고 있어 일정수준의 품질을 요구하면서 상대적인 구매력 저하로 가격은 낮게 요구 단위: 백만유로 출처: NSI

  9. 라. 한-루 교역현황 ㅇ 2006-2007년 대루마니아 주요 수출품목과 금액 (단위: 천불, %) 자료원: Kotis, 2007. 8

  10. ㅇ 2006-2007년 대루마니아 주요 수입품목과 금액 (단위: 천불, %) 자료원: Kotis, 2007. 8

  11. 3. EU 가입의 영향 및 효과 가. EU체계 편입, EU규범 적용 ㅇ각종 사회, 경제적 기준이 EU법에 근거하여 재정립됨으로써 투명성, 공정성 제고 ㅇ특히, 관세법이 EU관세법으로 통일됨으로써 기존 루마니아의 역외상품 관세율이 10-15% 대폭 인하 - 평균관세율 : 15.9~39.9% → 5.4~15.1% 나. 시장 확대 ㅇ EU에 편입, 직접적인 시장 확대 - 루마니아(22백만명) → EU내 동구 12개국(103백만명) → EU 27개국(496백만명)

  12. ㅇ EU와 무관세협정 체결경제권으로 간접적 시장 확대 - EEA(European Economic Area; 아이슬란드, 리히텐스타인, 노르웨이등 12백만명 시장)체결(1994) : 농업과 수산업제외 전분야 자유무역협정 - 터키(71백만명)와 관세동맹(Customs Union)체결(1995) : 농산물, 서비스, 정부조달분야 제외한 모든 공산품, 농업가공품 - EU-남아공(48백만명)간 TDCA(Trade, Development and Co- operation Agreement)체결(1999) : 2012년까지 FTA 체결추진 - EU-칠레(16백만명)간 Association Agreement 체결(2003) - EuroMed Association Agreement 진행중: 알제리, 이집트, 이스라엘,요르단, 레바논,모로코, 팔레스타인,시리아, 튀니지,터키 참여로 2010년까지 자유무역지대 설립 목표 (해당국별 수출품의 EU무관세, EU제품의 해당국별 관세 점진 철폐) - SSA(Stablilzation and Association Agreements; 교역안정화협정) : 마케도니아, 크로아티아, 알바니아와 체결,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보스니아, 헤스체고비나와 협상중

  13. 단위:백만유로 다. 지속성장 전망 ㅇ EU기금 투입 본격화로 경제활력 - 전체 사업예산중 EU기금의 투입율이 약 70%에 이르고 있어 루마니아 경제개발의 기폭제로 작용할 전망 - 루마니아 정부는 각 프로젝트를 EU 집행위에 제출, 승인받은 후 국제입찰을 통하여 사업자 선정 - 주택, 상가, 관광지 개발 본격화로 건설경기 성장률은 31.4%로서 EU평균 10% 의 3배 수준 - 루마니아 정부는 인프라 구축분야의 정부참여 부분을 민간에 개방, PPP(Public-Private-Partnership)방식으로 추진한다고 공표

  14. ㅇ 외국인투자 안정화 - 연도별 추이 (단위: 백만유로) 출처: 루마니아 국립은행 • 신규투자법 개정으로 투자유치 활성화 전망 : 특정 분야 투자시 • 선별적 지원과 혜택(Facilities)을 제공할 수 있는 근거법 개정 추진 • 07년 1-6월중 산업생산은 7.1%, 노동생산성은 10.1% 증가 • 2007년, 2008년의 외국인 투자액은 각각 72억유로, 70억유로로 • 전망

  15. ㅇ 소비활성화 (추세) - 개인소비자들의 소비욕구 분출 + EU가입계기로 한 전시효과 - 16% 단일소득세 적용(2004) <- 기존 18~40% 누진세 - 은행의 가계대출 활성화(개인월급생활자 2만유로, 부부 8만유로) . 민간은행의 가계대출총액은 2007.4월말기준 18.3억불로서 2006년말의 대출총액 15.1억불대비 21% 신장 - 대형할인매장의 할부판매개시(Vodaphone, Flamingo등)와 크레딧카드 사의 영업본격화 (Master, Visa) - 소매업 성장세 : 2006년(38억불)→ 2008년(52억불)→ 2010년(64억불) - 연간 1인당 소비지출액이 헝가리, 체코의 3,000유로 수준대비 루마니아는 1,700유로수준으로 소비지출은 지속 확대 가능 (배경) - 부동산 가격상승: 100(10년전) → 150(3년전) → 200~300(2007) - 실질임금 상승: 2004-06년간 평균임금 인상율은 9.5%, 2007년 상반기중 평균 25% 인상 - GDP 지속 성장 : 2002(5.1%) → 2003(5.2%) → 2004(8.4%) → 2005(4.1%) → 2006(7.7%) → 2007(6.5% 전망) →2008(5.5%전망)

  16. ㅇ 소비패턴 변화 - 다국적 대형할인매장 진출활성화 * Hyper market: Carrefour, Cora, Ochan, Kaufland, Delhaize * Cash & Carry : Meto, Selgros * Supermarket : Villa, Megaimage, Tesco * Discount Shop : XXL, Plus, Penny - 고급소비재 전문매장 확대: 부유층, 중산층 확산으로 내구소비재, 호텔 및 식당, 여가 등에 대한 지출 비중이 급격히 늘고 있음 (Loui Vuitton 직영매장이 9월 중 JW Marriott 호텔내 최초 개점 예정) - EU내 여행자유화 유행과 패션이 급격히 서구화: 의류, 가구류 이외 자체 생산소비재가 적어 외제품 선호경향

  17. 라. 신규투자지로 부상 ㅇ 최근 3년간 투자집중 - 1990~2006년간 총 외국인투자액 260억 유로중 최근 3년간 180억유로가 집중, 전체투자액의 70% 차지 - 주요 투자기업은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프랑스,독일, 이태리 등 서구기업 ㅇ 2007년 72억유로, 2008년 70억유로 외국인 투자 지속전망 - Nokia: Cluj Napoca지역에 모바일제조설비 1.5억유로 투입, 1단계로 6천만유로 투입과 3,500명 고용 창출 ㅇ 향후 2~3년이내 동구시장의 중심시장 전망 - Ernst&Young 설문조사(2006.11): 투자진출 외국기업 대표 200명의 68%가 향후 동구시장의 중심국가로 루마니아 지목 ㅇ 경쟁국 투자진출 본격화 - 중국 BYD: Cluj Napoca지역의 Nokia단지내 핸드폰부품 조립공장 1.5억불 투자 - 중국개발은행 CDB(China Development Bank): 인프라분야 금융지원을 위해 루마니아 지점 설치 추진

  18. 4. 투자지로서 루마니아 평가 가. 일반적인 장점 및 단점

  19. 나. 검토항목별 평가

  20. 5. 루마니아 진출 전략 가. 시장확대에 따른 상품수요 증대에 맞추어 우리상품 수출 확대 ㅇ적극적, 공격적 마케팅 및 홍보 필요 - 대기업의 동구진출전략차원의 지속적인 기업 및 상품 마케팅 - 대우, 삼성, LG 등을 중심으로 높은 기업이미지 확보 - 정기적인 국가홍보활동 병행으로 일류상품과 국가이미지의 시너지효과 제고

  21. ㅇ 대루마니아 수출 유망 품목 Source: KOTIS 수출통계 기준 선정

  22. 나. 전략적 현지투자 필요 ㅇ루마니아의 투자 장점 최대한 활용 - 루마니아 자체시장뿐만 아니라 EU전체시장 및 EU와 무관세 협정국가 겨냥 - 훈련가능한 중급인력 활용 가능 - 루마니아의 투자유치 노력, 특히 지자체의 적극적인 투자유치 태세로 선별적 혜택 수혜가능 - EU법 적용에 따른 경제, 사회적 안정 ㅇ EU기금 투입에 따른 관련 프로젝트 참여 확대 - Bind Fund: EU내 유력기업 발굴, 컨소시엄 구성, Sub contracting 참가 - Non-Binding Fund: 국제입찰에 직접 참가, 수주 ㅇ 플랜트수출, 기술수출, 기술협력 추진 - 제조업 활성화에 따라 관련 플랜트 수요 증가 - 제조분야 기술수출, 기술협력 가능성 증대

  23. ㅇ 투자 유망 분야

  24. 다. KOTRA의 현장마케팅 인프라 적극 활용 ㅇ 우리기업의 현장 마케팅 지원 전담 공공 네트웍으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활용 필요 ㅇ KOTRA주관 전문전시회 한국관 참가 - 기업홍보, 제품인지도 제고에 최적의 맞춤사업 사례) 2007 루마니아보안장비전시회 국가관(10개사) 참가 ㅇ정형화된 현장마케팅 사업 활용 - 현지시장 조사대행 : 품목별 시장동향, 전문바이어발굴, 특정 산업, 특정품목, 산업별 현지 시장 심층조사 사례) 유럽자동차부품 A/S시장, 루마니아정부조달 시장 등 - 시장개척단 파견 : 현장 1:1 매치메이킹 상담회를 통한 직수출기회 창출 - 선별적인 무역상담활동 지원 : 개별 세일즈출장 지원, 특정분야 조사단(협력단, 위원회) 활동 지원 등

  25. ㅇ고객의 수요에 맞춘 선별적인 지원시스템 - PBS (Project Base Service) 사례) 부쿠레슈티무역관은 동구시장 진출거점을 찾고 있는 경북도와 토탈마케팅협약을 체결, 경북도 추천 유망품목별 현지 시장 조사, 바이어알선, 상담주선, 특별전시회 개최 ㅇ 해외투자 진출지원 서비스 활용(신규 사업) - 기초적인 투자환경조사, 투자지 실사, 관련기관 알선 등 현지투자 진출지원을 위한 종합센타 기능 - 특정기업의 특정분야 진출을 전담지원

  26. 감사합니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