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9

제 6 장 rhBMP-2 의 생물학 및 임상적 적용

제 6 장 rhBMP-2 의 생물학 및 임상적 적용. 1.BMP 의 family • BMPs 는 골에서 정제된 골유도 추출물이 존재함을 근거로 발견함 . • 부분적인 단백질 분리과정을 거친후 molecular cloning 을 이용하여 BMP 의 유전자가 확인됨 . • 첫 번째 유전자의 DNA 순서는 BMP-2 에서 BMP-7 까지의 연관된 물질이 골추출물에 존재함을 나타냄 . • 아미노산 순서에 의해 BMPs 는 TGF-β 의 subgroup 을

kenaz
Download Presentation

제 6 장 rhBMP-2 의 생물학 및 임상적 적용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6장rhBMP-2의 생물학 및 임상적 적용

  2. 1.BMP의 family •BMPs 는 골에서 정제된 골유도 추출물이 존재함을 근거로 발견함. •부분적인 단백질 분리과정을 거친후 molecular cloning을 이용하여 BMP의 유전자가 확인됨. •첫 번째 유전자의 DNA순서는 BMP-2에서 BMP-7 까지의 연관된 물질이 골추출물에 존재함을 나타냄. •아미노산 순서에 의해 BMPs는 TGF-β의 subgroup을 형성함 (그림 6-1) • BMPs는 보다 큰 전구체로 합성됨. 세포외 유출을 허가해주는 secretory leader sequence와 하나의 큰 propeptide domain active or mature part를 구성하는 100-130 amino acid residues 의 카르복시 말단부 (그림 6-2)

  3. 2.BMP와 골유도(Osteoinduction) •진정한 골유도란? 기존의 골부위 ( orthotopic ) 가 아닌 이소성( ectopic ) 부위에서의 골형성능력. •일반적으로 골유도물질은 carrier matrix material 과 결합되는데, 이것은 식립부위에 BMP를 움직이지 않게 도와주며 골이 형성될 부위를 한정시켜줌. •조직학적 특성 골형성의 일련의 과정 1. 간엽세포가 매식체로 침윤 2. 간엽세포가 연골아세포로 분화 (그림 6-3) 3. 세포들이 증식하고 석회화 되며, 연골성 조직은 제거됨 4. 골형성 (rhBMP-2 가 다량 식립된 경우에는 일찍 일어남)

  4. • Bone derived BMP를 포함하는 system 의 특징 rhBMP-2 주입후에는 5일만에 골이 관찰 rhBMP-2가 중간의 연골기를 거치지 않고 간엽에서 직접 골을 형성하는 막내골화를 유도한다는 것을 의미함. • BMP-2,4,5,6,7을 포함하여 몇 개의 다른 BMP molecules 은 Osteoinductive 함. :모두 유사한 과정에 의해 골을 유도함 • BMP는 dimeric proteins 이기 때문에, 다른 BMP polypeptide subunits을 가지는 heterodimer 가 형성될 수 있음. (어떤 heterodimeric molecules은 homodimeric form 보다 더 높은 활성을 가짐.) •어떤 종류의 BMP는 연골이나 골을 형성하지 않으며, 다수의 기능은 불확실함. (다른 결합조직의 형성에 관여할 것임.) 예) GDF5,GDF6/BMP-13 또는 GDF7/BMP-12의 매식시에 건과 인대를 닮은 치밀한 결합조직의 형성을 유도함.

  5. 3.BMP의 세포활동 • BMP는 세포에 대해 특정한 분화기능을 갖는 유일한 폴리펩티드 성장인자임. 예) multipotential mesenchymal cell 에 대해 rhBMP-2를 적용시키는 경우에 제2형 교원질과 aggrecan 과 같은 연골아세포 표현형의 발현을 야기함. •BMP의 부가적인 작용 1. 골아세포성 세포들에 대한 화학주성작용이 보고됨. -> BMP 가 매식되는 부위로 세포들을 유도하는데 도움을 줌. 2. 세포분열을 촉진 ( 예, 일차성 두개골 유래 세포) but, BMP는 많은 세포에 대해 분열을 촉진시키지 않음 (진정한 성장인자와 구분되는 점)

  6. 4.BMP와 배아발육 •BMP family 의 구성원 등은 embryonic body plan의 형성계획을 결정하는 signaling molcule 로써 중요한 역할을 함. •BMP 의 역할 중배엽 유도와 발달 초기의 형상화, 골격발달과 사지의 형상화 , 신장, 치아, 폐, 피부를 포함하는 장기계통의 영역 발달을 포함.

  7. •포유류가 BMP family에 20개 이상의 유전자들을 가지는 반면, 초파리인 Drosophila(fruit fly) 는 단지 3개 만을 갖음. •이중 decapentaplegic(dpp) 은 포유류 유전자의 BMP-2/BMP-4 subfamily의 유사체(analogue)임. 1.close amino acid sequence homology와 2.gene structure 의 similarity를 볼때, • dpp 유전자는 배아발육 초기에 등-배의 분화를 도움. (dpp의 돌연변이는 ventralized embryos) •추가로 dpp는 imaginl disks의 형성, 사지의 외적형성 (limb outgrowth),내장을 포함한 기관구조의 형성에 관여함. •포유류의 BMP와 Drosophila dpp 의 Cross - functionality(교차-기능성) : 인간의 BMP-4 gene sequence dpp 돌연변이체를 구조(rescue) 하는 능력 recombinant DPP를 쥐의 이소성 매식체계에 매식한 경우 bone을 형성하는 능력

  8. • Xenopus(개구리)에서 BMP는 중배엽 형성기동안 axis specification 에 관여함. : BMP-4 는 강력한 ventralizing factor임. • Dorsalizing factor인 다른 분자들은 BMP-4의 작용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임. 예) Noggin 은 BMP-4와 결합하여 비활성화 시켜서 BMP-4가 활동하는 영역을 제한하고BMP-4 activity 의 gradient를 형성함. Chordin 은 BMP-4의 ventralizing activity를 억제함. noggin, sog와 동질성인 Drosophila protein 은 DPP의 ventralizing activity를 억제함. •이러한 억제성의 분자들이 성인 포유류에서 BMP의 작용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지는 불확실.

  9. 포유류의 발달과정에서의 BMP의 역할 : BMP의 삭제나 변이는 폭넓은 표현형의 다양성을 나타냄. • Bmp2 또는 Bmp4 genes 의 삭제는 embryonic lethality를 가져옴. •대부분의 Bmp4 null mice는 낭배형성시기에 죽음. • Bmp5 와 Gdf5 유전자들이 비활성화 되면 살아남기는 하지만 뚜렷한 골격의 결손을 나타냄. • Bmp5 genes 의 기능의 상실은 짧은 귀, 늑골의 결손, 연골성 구조물의 감소 •골격결손부위는 Normal embryos에서 BMP-5 mRNA expression이 관찰되는 부위와 관련있음 but, short-ear mice에서 embryonic expression의 다른 많은 부위는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보임. (다른 BMP molecules 이 특정부위의 BMP-5의 결여 를 기능적으로 대체함을 의미) • Gdf5 의 결여는 관절의 기형적 변형과 같은 brachy-podism을 나타냄. Gdf5 transcripts 가 발달과정에서 많은 관절부위에서 정상적으로 보이지만, 특정 관절만이 Gdf5 null mutant에서 발견되는 표현형을 나타냄.

  10. • BMP는 다른 다양한 조직과 기관의 형성에 필요함 예) BMP-7 null mice 의 표현형은 정상적인 신장발달의 실패 ( 배아발육후기동안 BMP-7의 mRNA expression 의 중요한 부위) BMP-4 는 치아발달로 이어지는 중배엽과 상피의 상호작용시에 신호를 보내는 분자 BMP8b genes 의 붕괴는 정자생산의 결함을 나타냄.

  11. 5.Bone repair를 위한 동물모델에 있어서 rhBMP-2의 연구 rhBMP-2 의 생산 •Recombinant protein(재조합 단백질)은 세포의 발현체계중 하나에서 생성됨. • rhBMP-2 는 포유류의 세포발현 체계를 이용하여 생산됨. • rhBMP-2- expression cell line을 생산. (BMP-2 coding sequence 나 cDNA 가 strong promotor 와 selective marker와 연결됨 -> 숙주세포내로 주입 -> selectable marker를 사용하여 coding sequence를 포함하는cell이 선택됨. -> cell line 생성됨) •생성된 cell line은 높은 수준의 protein을 expression 함.

  12. rhBMP-2 의 안전성 •현재 rhBMP-2의 임상적 적용은 Absorbable collagen sponge(ACS)와 함께 매식 사용함. •한번 or 여러번 투여되는 정맥내 투약연구는 쥐와 beagle dogs에서 임상적 사용량을 훨씬 초과하여 사용 -> 부작용 관찰안됨. 약간의 연골형성 or 골형성이 주입부에서 관찰됨. ( 단백질의 약리학적 작용과 일치) 생식계, 임신이나 embryonic growth & development 에 영향 없음. •rhBMP-2/ACS의 잠재적인 국소적 독성 평가 방법: 6개월간 beagle dogs, 설치류의 하악과 악안면골결손부위 매식연구 결과 : 기대했던 매식재료의 국소적 골유도작용, 염증 없음, 전신적 독성없음.

  13. • Chinese hamster ovary(CHO)를 숙주로 선택 • CHO는 포유류의 세포로 다양한 성장인자를 합성하므로 active BMP를 만들고 분비함. 이과정에서 precursor polypeptide chains 의 합성, 이 사슬들의 정확한 refolding 과 dimerization , 단백질의 glycosylation 등의 과정이 있음. (그림 6-4) •단백질은 세포를 나와서 조절된 배지로 배출됨. (이과정에서 propeptide 가 mature region으로부터 제거됨) •재조합단백질의 약학적 생산을 위해 rhBMP-2 cell line은 master cell bank에서 확장되고 동결됨. ( 점차 큰 부피의 성장배지로 비율을 늘린다) •세포는 걸려지고 제거되며, rhBMP-2는 배지에서 column chromatography 단계를 거쳐 98%이상의 순도로 정제됨. 최종 rhBMP-2 용액은 멸균후 동결건조됨.

  14. •약리학적 연구와 흡수,분배, 대사, 배설 연구 -> rhBMP-2의 독성효과 결여를 뒷받침함. : 전신적으로 투약된 rhBMP-2는 재빨리 간과 망상내피계에서 제거됨. ( 약 1분의 distribution t1/2 와 약 7분의 elimination t1/2를 나타냄) • ACS 와 rhBMP-2를 매식한후 , rhBMP-2의 존재시간 : 매식부위의 형태, 혈류공급량 에 의존 •설치류에서의 동소성(orthotopic) or 이소성(ectopic) 매식 연구. 평균존재시간 : 3-7일 ( 매식부위로부터 rhBMP-2가 비교적 느리게 방출됨) 느린방출과 rhBMP-2의 빠른 전신제거율로 전신적으로 노출되는 비율을 매우 낮게함. ->연구결과 전신적으로 측정된 rhBMP-2의 최대량은 식립된 양의 0.1%임.

  15. •어떤 생물학적 활성재료는 종양의 성장을 유도하거나 증진시킬 가능성을 높인다. •인간의 세포계에 대한 rhBMP-2의 영향 1.골육종을 포함한 모든 세포계에서 세포성장이나 세포성장의 억제에 대한 영향 없음. 2.alkaline phosphatase의 생성은 가끔 증가. 3.soft agar에서의 primary human tumor cell 의 종양형성능력 실험에서 rhBMP-2는 효과없거나 억제성임. 결론: rhBMP-2가 성장인자보다는 분화인자로 작용한다는 사실과 일치 종양세포의 성장을 돕기보다 종양세포를 분화시키는 것으로 예측됨.

  16. 6.구강악안면 영역에서의 재건술에 대한 임상적 연구 • rhBMP-2와 같은 골유도단백질의 능력은 구강악안면 수술에 대한 다양한 임상적용이 가능함. 예) 외상이나 외과적 절제로 인한 골결손을 대체하는데 사용. 치과용 임플란트와 같은 보철적 수복을 위해 상/하악골의 증대가 시행됨. 치과용 임플란트 식립시에 Osseointegration 에 필요한 시간을 감소 시키거나 안정성을 증가시키위해 Osteoinductive protein을 적용 •치주질환에 이차적을 흡수된 골의 재생은 현재의 치료법으로는 불완전함. :이상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 bone formation 이외에 다른 tissue type 의 regeneration이 요구됨. (치주인대/ 백악질의 재형성을 포함한 치주부착기구의 재건)

  17. 연구1 목적: 개에서 결손길이 3cm 의 전층 하악골 결손을 형성 -> rhBMP-2에 의한 골유도를 관찰. 탈회되어 추출된 개의 골기질과 poly(D,L-lactide-co-glycolide)(PLGA) microspheres, ACS를 포함하는 몇가지 기질재료와 혼합된 rhBMP-2를 사용하여 성공적인 재건이룸. 식립후 4주만에 결손부의 신생골형성이 명확히 관찰됨, 수개월에 걸쳐 방사선 밀도 증가

  18. 연구2 0.005-2.0mg/mL 용량의 rhBMP-2 가 ACS 와 같이 실험. 초기의 하악골 안정성을 위해 사용되는 고정판은 rhBMP-2 처치후 8-10주만에 제거될수 있었음. 결론: rhBMP-2/ACS 에 의한 골재생은 임상/방사선학적으로 증명됨. 연구3 rhBMP-2/ACS 에 의한 골유도의 과정을 자세히 관찰하기 위해서 사용한 실험모델임. rhBMP-2/ACS의 식립후 3, 5, 10, 14, 21, 28일에 동물을 안락사. 조직학적 평가결과 임플란트 주변의 골형성이 5일만에 관찰됨 ( 그림 6-5a) 성공적인 경우) ACS 운반체가 제거되면서 임플란트 내부로 골형성이 계속됨. 이연구에서는 연골형성은 관찰되지 않았고, 오직 direct bone formation (막내골형성)만 관찰됨 ( 그림 6-5b) 이연구에서 연골중간기를 가지며 연골내골화과정을 통한 골과 막내골화 과정을 거치는 골모두에서 BMP의 형성유도능력이 입증됨. ->두가지 경로의 상대적인 분포를 결정하는 요인 (불명확) 1. 적용된 BMP의 용량 ( 많을수록 직접 골형성이 증가됨) 2. 식립위치와 그부위의 세포반응 3. 식립부위의 혈관밀도 4. 운반재료의 성질

  19. 연구4 rhBMP-2/ACS 는 사람이외의 영장류에서도 큰 불연속성의 결손부를 회복함. 예) Macaca fasicularis 원숭이에서 2.2-3.0cm 의 하악골 결손을 0.2-0.8mg/ml 농도 사이의 rhBMP-2를 포함하는 rhBMP-2/ACS로 처치함. 임상적으로 새로 형성된 골은 식립후 5주가 지나면 손으로 만져질수 있음. 방사선밀도는 술후 6-8주에 명확히 관찰됨. 조직학적 분석은 결손부의 상부변연에서 특별히 발견되는 피질골 개조를 포함하는 결손부 전체에 걸친 골형성을 보여줌. 0.4-0.8mg/ml 농도의 rhBMP-2 적용은 0.2mg/ml를 적용하는 경우보다 형성된 골의 양과 분포 면에서 더 우수한 골형성을 나타냄.

  20. 연구5 1)사람이외의 영장류 모델과 개의 하악골 결손부에서 rhBMP-2로 유도된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를 위치시키는 능력을 보여줌. 2)사람이외의 영장류모델을 사용한 임플란트주위염에 의해 형성된 결손부에서 rhBMP-2에 의한 골재생과 골유착의 촉진이 증명됨. ( 그림 6-6 a , b) 결론 : rhBMP-2가 치주질환과 유사하게 골이 소실된 상황에서 골을 재생시키는 능력뿐 아니라, rhBMP-2/ACS 가 식립후 16주만에 골과 임플란트 사이의 접촉량 증가를 보임. 연구 6 치과영역에서 rhBMP-2가 골을 재생하는 능력이 있다는 것이 증명됨. 예) 개모델에서 5mm 깊이의 결손부는 rhBMP-2와 PLGA microspheres 와 자가혈액을 혼합한 것을 적용하여 회복시킴 , 치주인대와 백악질의 본질적 재생도 관찰됨. (rhBMP-2의 직접/간접적 효과에의함)

  21. 8.경쟁적 치료 (Competing Therapies) •GTR(조직유도재생술)은 세포 차폐막을 사용하여 골재생을 허용하고 섬유조직의 ingrowth를 막는것. •재생은 결손부에 존재하는 세포들에 의존함. -> 재생되는 골의 양은 제한적임. •치주조직치유에서의 임상적 활용으로 비흡수성/흡수성 차폐막의 발달. •부가적인 외과적 술식이 결과에 많은 영향을 주고, 많은 경우에서 재생은 불완전하게 나타남.

  22. •골재생(Bone regeneration)을 위해 많은 골이식재료가 사용됨 : 자가골 이식이 가장 성공적인 결과를 보임. •자가골 이식의 장점 1. bone-forming cells 제공 2. Osteoconductive properties ( new bone 의 deposition과 expansion을 허용하는 표면) 3. Osteoinductive components (BMPs) 의 제공. •자가골 이식의 단점 1. 골이식의 양이 제한적 2. 부가적인 외과적 술식이 필요함.

  23. •여러 가지 형태의 동종골 이식(입자형, 피질골판 등)이 사용됨 장점: Osteoinductive qualities ( 재료의 물리적 성질에 의존) Osteoinductive activity 의 잠재력을 제공. 단점 : 처리과정에서 질환의 전달, 항원성의 위험. • DFDBA ( Demineralized freeze-dried bone allogrft ) 치주수술에 널리 사용됨. 골의 탈회는 BMP 요소들의 접근을 허용하여 골이식의 Osteoinductive qualities를 증가시킨다고 추정. 무기물과 탈회된 동종이식재료들의 동물연구에서 무기질 재료들은 흡수되는 반면 칼회된 재료들은 신생골 형성을 유도함. ( Contravacy 함) 다른 의견: DFDBA 가 치주적 재생에서 임상적 성공이 BMP의 결과인지, 단지 골전도성인지는 불명확함. • DFDBA 의 원료와 처리기술에 의해 골유도능력의 양은 다양함. 예) 6개의 다른 골은행에서 무작위로 고른 DFDBA의 표본 14개를 1-2개월 동안 쥐의 피하와 근육내에 매식 결과 : 피하에 위치시켰을 때에는 신생골은 어떤 쥐에서도 나타나지 않음. 근육내 매식부위에서 3개의 골은행에서의 표본에서 골이 생겼고, 한개의 골은행에서 골유도가 나타나지 않음.

  24. • DFDBA에서 유용한 BMP의 양은 적다. 설치류에서보다 영장류에서 골을 형성하는데 대단히 많은 BMP의 양이 필수적임. DFDBA가 환자에서 실제로 골유도를 타나내는지는 비관적. •다른 골성장인자와 호르몬을 사용한 임상적 시험. (골세포에서 TGF-β가 골기질에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효과에 대한 광험위한 연구시행됨. ) 1.TGF-β는 골아세포에 의해 골기질 형성을 증가시킴. 실험) 설치류에 TGF-β를 골에 인접하여 주사할 경우 골형성을 자극함. 2.Ostoid의 광물화(mineralization)을 방해 3.섬유화와 면역억제 효과 • BMP가 TGF-β의 superfamily 에 있지만 서로 다른 수용기에 붙어서 다른 기능을 수행함. 예) rhBMP-2는 많은 cell type에서 osteocalcin production을 자극 ( 분화된 골아세포의 marker) TGF-β는 이러한 protein 의 expression을 억제. • TGF-β가 bone에 매식체의 고정을 증가시킨다는 임상전 연구가 있음.

  25. • Insulin-like growth factors 는 bone cells 에 의해 생성된 폴리펩타이드 이며 , 골기질에 존재함. 1.골아세포계열의 세포증식을 자극 2.differentiated function을 증가시킴 ( collagen matrix secretion) •또 다른 세포분열 유도인자 PDGF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 : 골기질과 창상 치유환경에서 나타나는 혈병에의해 나타남. IGF와 PDGF 는 어떤 세포유형에서 상승효과를 보임. PDGF 와 IGF or PDGF 와 dexamethasone 의 복합치료 -> 치주조직의 치유의 임상전 연구에서 기대되는 결과를 얻음.

  26. 9.rhBMP-2의 임상연구 •BMP-2 와 BMP-7(OP-1)에 대한 정형외과적 연구와 구강외과 영역에서 몇 개의 운반체와 관련된 연구. •BMP-2의 초기연구 목적: 1. BMP-2가 포함된 매식체 재료의 준비 용이성. 2. 매식체 식립의 용이성 ( 매식체의 안정성 확립) 결론: 골을 형성하는 rhBMP-2 의 능력에 대한 정보를 모음. (다른 부분에서 )

  27. 연구1 목적: 상악동저의 증대를 유도하는 rhBMP-2/ACS 의 능력을 시험. 상악구치부의 골의양이 임플란트를 식립하는데 불충분한 상태. 한가지 농도 (0.43mg/ml) 의 rhBMP-2가 12명의 환자에서 ACS와 함께 시험됨. 일차적 목적:1. rhBMP-2의 국소적/전신적인 안전성, 2. 매식체의 조작능력 3. 골유도를 측정하는 가장 좋은 수단을 확인하기 위함. ( 치근단 방사선 사진 or 컴퓨터단층촬영) 결과 : rhBMP-2/ACS 재료는 쉽게 매식됨 ( 우수한 조작점수 ) serum chemistry 또는 hematology parameter 의 변화없음. ->어떤 환자도 rhBMP-2에 대한 항체가 발견안됨 : 한 환자에서 low-titer anti-bovine collagen Ab 가 나타났으나, anti-human collagen Ab는 아님. 매식 16주후, 12명의 모든 환자는 상악동안에 방사선밀도로 골형성의 증가를 확인

  28. 연구 2 새로운 골의 생검 표본을 얻음 , ( 16주의 골유도후 여러기간에 얻어짐. )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가 위치함. 새로운 골소주 (trabecular bone ) 형성이 상악 피질골 형성에 앞선다. (그림 8a) 새로운 골은 많은 활동성 표면을 가지고 있고, Osteoblast가 명백히 침착된 Osteoid 와 정상과 같은 골수요소를 가짐. (그림8b) 골소주의 두께와 층판골의 상대적 양의 증가가 있음. 어떤 표본에도 ACS 는 관찰안됨. 결과 rhBMP-2/ACS가 재형성 되는 골을 유도함으로 매식부와 결합한다.

  29. 연구 3 목적: 치조제 보존 or 증진을 위해 rhBMP-2/ACS 의 사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한 연구 rhBMP-2/ACS 는 발치후 발치와에 적용하였을 때 골의 재형성이 신속히 일어남. 상악동기저부 증대를 포함하는 몇몇의 치조제 증대술과성에서 다양한 농도의 rhBMP-2가 ACS와 결합되어 관찰됨.

  30. AVN ( avascular necrosis )의 한가지 치료법 -> core decompression • subtrochanteric region에서부터 실활골까지 뻗어있는 뼈의 중심속을 제거하여 재혈관화를 자극하는 것. •이 중심속 부위에 rhBMP-2를 위치시키면 신생 골형성과 신생 혈관생상, 괴사조직의 생활골로의 대체 결과를 얻음. 1. 혈행의 촉진에 의한 신생골형성 2. sclerotic bone의 제거를 돕고, 생활골로 대체시킴 AVN 환자를 1.무작위로 core decompression만 시행. 2.core decompression 과 자가혈액으로 형성된 0.1mg/mL 의 rhBMP-2를 이식. :rhBMP-2와 blood mixture(10mL)는 생체밖에서 2시간 동안 응고, core defect에 위치, 피질골 plug와 bone wax로 봉해짐

  31. •평가수단: 자기공명영상(MRI)를 사용하여 AVN의 범위와 부피 심각성을 결정. 수술전, core compression 후 4, 10, 16주 후에 얻어짐 •치료군과 대조군이 비슷한 비율로 core volume의 감소를 보임. •rhBMP-2/Blood 로 치료받은 군은 16주후에 괴사부위 부피가 34% 감소 대조군에서는 28% 증가. •결과 : 괴사 부위에서의 rhBMP-2의 효과를 확실히 제시함. rhBMP-2/blood를 받은 환자는 core decompression을 시작한 부위부터 이소성(heterotopic) 골형성의 증거를 보임 ->1.혈액이 rhBMP-2의 이상적인 운반 시스템이 아님 2. 외과적 술식이 rhBMP-2가 위치된 부위를 적절히 폐쇄하지 못함. 그러므로 : rhBMP-2를 특정 부위에 국소화 시킬수 있는 운반체계와 연계되어 core decompression에 보조적으로 사용될때 , 골치유가 가속화 됨.

  32. 10. 결론 BMP 는 •세포분화, 증식, 형태분화와 같은 세포과정을 조절하는 단백질 인자의 모임. •배아체 형성기 동안 몸 부위를 결정, 많은 조직과 기관계의 발달을 조절함. • rhBMP-2와 같은 몇몇 BMP가 다양한 영역에서 골유도성을 보임. • rhBMP-2/ACS 복합체는 골형성유도능력을 보였음. ( 임상전 단계의 동물연구에서 골결손부를 치유함.)

  33. 6-1 골에서 추출된 골유도물질로 알려진 골형태형성 단백질 분자간의 아미노산 배열 관계와 함께 TGF-β superfamily의 다른 구성원도 보이고있음. 이 그림은 Genetic Computer Croup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인 PileUp을 이용 하여 제작. 첫 보존된 cysteine으로부터의 아미노 배열을 이용해 carboxy 말단에서 사람 분자의 성숙된 부분을 남김.  수평길이는 단백질이나 단백질 그룹간의 차이와 동일. (짧은 선은 아미노산 배열이 더 근접한 관계라는 의미: BMP-2와 BMP-4는 아미노산 차이가 별로 없는 반면 BMP-2와 TGF-β는 많은 차이가 있음.)

  34. 6-2 TGF-β superfamily 구성원간의 아미노산 배열관계. 표시 되지 않은 것은 모두 사람의 배열이다. 그림2는 그림1에서 기인한 것 임. BMP (Bone Morphogenetic protein), GDF( growth and differentiation factor)

  35. 6-3 연골내 골화를 보이기 위한 rhBMP-2/ACS 체외 매식의 조직학적 단면. 미분화간엽세포, chondrocyte, hypertrophic chondrocyte , osteoblasts 의 존재

  36. 6-4 BMP-2 의 합성과정

  37. 6-5a rhBMP-2/ACS 를 하악 견치 결손부에 이식하고 10일 후에 형성된 골의 조직학적 단면 직접골형성이 매식체 주변에 형성됨을 보임 6-5b 고배율 사진 매식체에 많은 혈관 있음. 활성 골아세포가 유골을 기저에 깔고 있는 상태가 관찰됨. 일부 골의 광물화 보임

  38. 6-6b 원숭이에서의 임플란트 주위 염증 상태의 조직학적 단면 A)buffer/ACS 로 매식된 부위 B)rhBMP-2/ACS 로 매식된 부위 화살표) 골간의 접합부와 새로운 골의 형성 • 6-6a • 사람이 아닌 영장류에서 • rhBMP-2/ACS 에 의한 임플란트 주위염의 회복 • A)임플란트 주위 염증을 형성한 상태에서의 골소실 • B)rhBMP-2/ACS 를 위치시킴. • C)매식 16주 후 골개조 상태

  39. 6-8b 고배율 현미경 사진 rhBMP-2/ACS로 유도된 골이 교직골에서 층판골로 개조됨 6-8a rhBMP-2/ACS가 매식된 환자의 상악에서 채취된 core biopsy specimen의 조직학적 단면 (매식 28주후 임플란트를 위치시킬때 얻음) 새로운 골과 예전의 골간의 융합에 주목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