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1 likes | 1.79k Views
[ 학습 목표 ]. 빛과 색의 원리를 알고 색을 활용할 수 있다 . 색의 3 속성을 알고 활용할 수 있다. [ 빛과 색채 ]. 1) 빛의 정체 : 빛은 색 지각을 일으키는 데 필수 요건으로 , 어두운 곳에서는 아무리 아름다운 색상이라도 색을 잘 감지 하지 못한다. 2) 스펙트럼 : 1660 년 뉴턴이 발견하였다 . 태양광선을 프리즘에 통과시켜 가시광선들이 파장의 길이에 따라 다른 굴절률로 분광되어 무지개 색과 같은 연속된 색 띠를 말한다.
E N D
[학습 목표] • 빛과 색의 원리를 알고 색을 활용할 수 있다. • 색의 3속성을 알고 활용할 수 있다.
[빛과 색채] 1) 빛의 정체: 빛은 색 지각을 일으키는 데 필수 요건으로, 어두운 곳에서는 아무리 아름다운 색상이라도 색을 잘 감지 하지 못한다. 2) 스펙트럼: 1660년 뉴턴이 발견하였다. 태양광선을 프리즘에 통과시켜 가시광선들이 파장의 길이에 따라 다른 굴절률로 분광되어 무지개 색과 같은 연속된 색 띠를 말한다. 3) 가시 광선: 방사되는 수많은 전자파 중에서 눈으로 지각 할 수 있는 빛에 대한 명칭이다. 프리즘을 통과한 6색의 스펙트럼을 가시광선이라 한다.
[빛과 색채] • 물체의 색 • 표면색(表面色) : 표면에서 빛을 반사하여 나타내는 색. • 투과색(透過色) : 색유리와 같이 빛을 투과하여 나타내는 색. • 빛을 받아 흡수, 반사, 투과 하는가에 따라 색채가 결정됨 • 예) 우리의 눈에 사과가 빨갛게 보인다는 것은 다른 색은 흡수 • 되고 빨간 색만 반사되기 때문이다.
[빛과 색채] • 광원의 연색성 • 색은 환경에 따라 변한다. 즉 색이 있는 사물은 그 사물에 제공되어지는 주위환경의 빛에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어떤 물체의 색이 조명에 따라 달라져 보이는 것을 “광원의 연색성”이라고 부른다. • 예) 백화점에서 물건을 고를 때 조명으로 인해 물체의 색깔을 잘 판별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정확한 색을 판별 하자면 일정한 조명을 필요로 한다.
[빛과 색채] 빛의 반사와 흡수 (물체의 색이 보이는 원리) 빨강 파장만 반사 파랑 파장만 반사 검정 전부흡수 흰색 전부반사 * 회색 - 일부 파장은 흡수, 일부의 파장은 반사할 때
[ C. I. E 색체계 ] • CIE표준 표색계:맥스웰(J.C.Maxwell 1831-79) 이 빛의 삼원색에 대해 시각적으로 대응하는 특정한 색자극인 원(原)자극의 값들을 3자극치라 하여 만든 RGB 표색계를 수학적으로 변환하여 XYZ 표색계를 만들었다. 이 XYZ 표색계를 1931년 CIE가 받아 들여 표준화한 표색계이다. • C.I.E.(chromaticity diagram(색도도) : X,Y,Z의 좌표상에서 모든 혼색의 위치 표시가 가능하다. 표준화된 3색광은 3변의 꼭지점에 위치하며, 중간에 백색광이 위치한다. 컬러 인쇄로는 완전히 보여 줄 수 없으며, 오르지 그 개념만을 이해하도록 할 뿐이지만, 표색계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대단히 중요하다. 컴퓨터로 작업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색의 분류] 1. 무채색 :하양, 회색, 검정색( 색의 3요소 중 명도만 있다. ) 2. 유채색:무채색을 제외한 모든 색( 색상, 명도, 채도가 있다 )
[색의 분류] • 유채색에는 순색(純色)· 청색(淸色)· 탁색(濁色)으로 나눌 수 있다 • 순색 :순색은 각 색상 중에서 채도가 가장 높은 색을 말한다. • (무채색이 전혀 섞이지 않은 색) • 청색 :순색에 하얀색이나 검정색을 혼합한 색 • - 명청색 :순색 + 하얀색(명도는 높아지고 채도는 낮아짐) • - 암청색 :순색 + 검정색(명도 · 채도가 모두 낮아짐) • 탁색 :순색 + 회색을 섞을 때 나오는 색을 말한다. - 탁 색 :순색 + 회색(채도가 낮아진다) - 탁 색 :청색 + 회색 (채도가 낮아진다)
[색의 3요소(3속성)] • 색의 3 요소: 색상, 명도, 채도 • 먼셀 표색계에서는 색을 H V/C(즉, 색상 명도/채도)와 같이 표기한다. • 우리가 색채를 보고 느끼는 세가지 요인 • *색상(hue) : 빛의 파장 자체를 나타내는 것 • *명도(value) : 밝고 어두운 정도를 나타내는 것 • *채도(chroma) : 색 파장의 순수한 정도를 나타내는 것. • 어떤 색상을 지각할 때 항상 이 세 가지 요인을 함께 느낀다.
[색 상(HUE)] • H로 표시하며, 다른 색과 구별되는 그 색만이 갖는 독특한 성질을 말한다. • 색상은 유채색에만 있으며, 표준 20색을 둥글게 배열한 것을 색상환이라고 한다. • - 3 원색 • 빛 – 빨강,초록,파랑, 색료- 시안, 마젠타, 노랑 • - 기본 5색상 :빨강, 노랑, 초록, 파랑, 보라 • - 주요 12색상 :빨강(赤), 주황, 노랑(黃), 연두, 초록(綠), • 청록, 파랑(靑),남색(藍), 보라, 자주(紫),분홍, 갈색
[색상환(10색)] Red 빨강(赤) Yellow Red 주황(黃) 자주(紫) Red Purple 보라 Furple Yellow 노랑 남색 (藍) Purple Blue Green Yellow 연두 파랑 (靑) Blue Green 초록 (綠) Blue Green 청록
[명도 (Value)] • V로 표시하며,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말한다. • 유채색, 무채색에 모두 있다. • 명도 단계는 11단계로 구분한다. • 검정은 0으로 명도가 제일 낮고, 흰색은 • 10으로 명도가 가장 높다.
[채도 (chroma)] • C로 표시하며 색의 맑고 깨끗하며, 순수한 정도를 말한다. 유채색에만 있다. • 한 색상 중에서 채도가 가장 높은 색을 순색이라고 함. • 채도의 단계는 무채색이 섞여진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채도가 낮은 색은 그만큼 무채색이 많이 섞여진 색이다. • 채도 단계는 14단계로 구분하며, 가장 낮은 채도가 1도이고, 가장 높은 채도는 14도가 된다.
[채도 단계] 채도가 높아짐
[색명(色名)법] • 색명이란 색 이름에 의하여 색을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 색명에는 일반색명과 관용색명이 있다. 일반색명 • 일반 색명은 계통 색명(systematic color name) 라고도 하는데, ‘빨강, 빨간 주황, 진한 빨강’ 등과 같이 모든 색을 계통적으로 분류해서 표현할 수 있도록 한 색이름 체계로 기본 색이름과 수식형용사의 체계적인 결합에 의해 색을 기술하는 방식
관용색명 • 옛 부터 전해 내려오며, 습관상으로 사용하는 고유 색명으로, 동·식물, 자연현상·광물 ·인명 ·지명 등의 이름을 따서 붙인 것 • 우리말로 된 것 - 하양, 검정, 빨강, 파랑, 노랑 등의 이름 • 동물에서 따온 색명 - 쥐색 • 식물에서 따온 색명 - 살구색, 복숭아색, 밤색, 풀색, 팥색 • 광물에서 따온 색명 - 금색, 은색, 호박색, 고동색, 진사, • 철사,주사 • 자연에서 따온 색명 - 하늘색, 무지개색, 눈색, 바다색, 땅색 • 지명·인명에서 따온 색명- Prussiau bluer ·Bordeaux 등.
[색맹 (Color Blindness)] • 모든 색을 볼 수 없는 완전한 색명(색약)은 매우 드물다. • 일반적으로 색명이라 하면, 어느 한 쌍의 색이 모두 회색으로 보이며, 색을 구별 못하는 것을 말한다. • 가장 흔한 색맹은 빨강(R)과 초록색(G)을 구별하지 못하는 것이다. 즉 R과 G인식하는 세포조직기관이 일반인과의 차이를 뜻 하는 것이다. 우리 눈이 인식하는 색은 역시 빛의 삼원색 R,G,B의 세가지의 비율 조합에 의하여 인식되고 색을 인지하는 세포조직도 역시 세가지 뿐임을 영국의 과학자가 발견하였다.
[형성 평가 1] • 색의 삼속성이란 ? • 다음 중명도와 채도가 모두 높은 • 색은 무엇인가? • ① 하양 • ② 노랑 • ③ 빨강 • ④ 검정 • ⑤ 자주 색상, 명도, 채도
[형성 평가 2] • 파랑 색에 하얀색을 섞었을 때의 변화로 옳은 것은 ? • ① 명도와 채도가 변함이 없다 • ② 명도는 낮아지고, 채도는 높아진다 • ③ 명도는 낮아지고, 채도로 낮아진다 • ④ 명도는 높아지고, 채도도 높아진다 • ⑤ 명도는 높아지고, 채도는 낮아진다
[형성 평가 3] • 무채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 ① 색입체에서는 중심축에 해당된다 • ② 0∼10까지의 11단계로 구분된다 • ③ 색상, 명도, 채도를 모두 갖추었다 • ④ 하양, 회색, 검정의 세 종류가 있다 • ⑤ 모든 색의 명도를 재는 기준이 되는 색이 무채색이다
[관련 사이트] http://members.tripod.lycos.co.kr/~ahngi/html/one-1.htm 색의3요소 http://home.cein.or.kr/~hongpol/arts/main/main.htm http://www.koreacolor.net/color/color_c.asp http://ssamyicolor.wo.to/ 색채이론 http://home.dreamx.net/skyls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