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6

Code Pseudorange Positioning

X i , Y i , Z i. R3. R4. R 2. R 1. Ux,Uy,Uz. Code Pseudorange Positioning. R j = 의사거리 X i ,Y i ,Z i = 위성의 위치 Ux,Uy,Uz = 사용자 위치 C r = 수신기 시계오차. (X1-Ux) 2 + (Y1-Uy) 2 + (Z1-Uz) 2 = (R1-Cr) 2 (X2-Ux) 2 + (Y2-Uy) 2 + (Z2-Uz) 2 = (R2-Cr) 2

heman
Download Presentation

Code Pseudorange Positioning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Xi, Yi, Zi R3 R4 R2 R1 Ux,Uy,Uz Code Pseudorange Positioning Rj = 의사거리 Xi,Yi,Zi = 위성의 위치 Ux,Uy,Uz = 사용자 위치 Cr = 수신기 시계오차 (X1-Ux)2+ (Y1-Uy)2+ (Z1-Uz)2 = (R1-Cr)2 (X2-Ux)2+ (Y2-Uy)2+ (Z2-Uz)2 = (R2-Cr)2 (X3-Ux)2+ (Y3-Uy)2+ (Z3-Uz)2 = (R3-Cr)2 (X4-Ux)2+ (Y4-Uy)2+ (Z4-Uz)2 = (R4-Cr)2

  2. 왜 4대의 위성이 필요한가? • 1/1,000,000초 오차발생시 빛의 속도가 약 300,000km이므로 300m의 거리 오차 야기함 • 위성은 원자시계 사용하며, 위성시계보정항이 있지만, 수신기는 수정시계 장착하므로 수신기 시계오차 보정이 필요 • 4개의 미지수 존재 • 미지점의 3차원 좌표와 수신기시계보정량

  3. : 반송파 맥놀이 위상 관측값, : 파장 : 실제거리, : 위성 주파수 : 미지정수, : 위성과 수신기 시계오차의 조합항 Carrier Phase Positioning • 실제 관측되는 반송파 위상 • 임의 순간에 대한 반송파 맥놀이 위상의 우수리 부분 • 반송파 위상 방정식

  4. Carrier Phase Positioning -계속- • 반송파 위상 방정식의 양변에 파장 λ를 곱하면 거리 단위의 방정식 형성됨 • 반송파 위상의 우수리 부분 관측값과 미지정수 해결을 통해 위성과 수신기간 정밀거리 계산

  5. GPS 오차 • GPS 시스템 오차 • DGPS, 상대측위로 보정 가능 • 위성시계오차, 위성궤도오차, 전리층 굴절오차, 대류권 굴절오차, SA에 의한 오차 • GPS 수신기 오차 • DGPS, 상대측위로 보정 불가 • 위성의 배치상태에 따른 오차 • DOP(GDOP, PDOP, etc)

  6. GPS 시스템 오차

  7. GPS 시스템 오차 -계속- • 위성시계오차와 궤도오차 • 위성의 궤도력에 포함된 오차로 인해 야기됨 • 전리층 굴절오차 • 위성신호가 전리층을 통과하면서 굴절되어 야기됨 • 방송궤도력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대략적인 보정 가능(약 50%) • L1신호와 L2신호가 전리층에서 굴절되는 비율이 서로 다르기때문에 L1/L2 선형조합을 통해 전리층 굴절 보정가능

  8. GPS 시스템 오차 -계속- • 대류권 굴절오차 • 중성자로 구성된 대기의 영향에 따라 위성신호가 굴절하여 야기됨 • 중성자는 15GHz 이하의 주파수를 갖는 라디오파에 대해 비확산 매개물로 존재하므로 대기권에 대한 전자파의 전달은 주파수에 무관하게 되며, 이주파 수신기를 이용해도 소거 불가능 • 대류권 모델 • Saastamoinen, Modified Hopfield, Hopfield • 10~20cm의 정확도로 대류권 지연량 결정

  9. GPS 시스템 오차 -계속-

  10. GPS 시스템 오차 -계속- • SA(Selective Availability) • 적대국의 GPS 사용을 제한하기 위해 C/A 코드에 인위적으로 궤도오차 및 시계오차를 첨가 • 전세계적으로 폭발적인 증가를 보인 GPS의 민간수요에 따라 SA 해제에 대한 필요성 꾸준히 제기 • 유럽을 중심으로 계획되고 있는 새로운 위성항법시스템인 갈릴레오(GALILEO) 프로젝트에 대한 대응 • 2000년 5월 2일 SA 해제

  11. GPS 시스템 오차 -계속- • SA에 따른 위치정확도 변화

  12. GPS 수신기 오차 • 수신기 Channel Noise • 수신기 자체가 갖는 전기적 잡음 • Calibration 과정을 통해 channel biases 결정하고 모든 연속적 측정값에 이를 적용

  13. GPS 수신기 오차 -계속- • 다중경로(Multi-path) • 측지용 수신기는 안테나에 Ground-Plane을 장착하고 있어 이러한 영향 최소화함 •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다중경로의 원인이 되는 장애물에서 멀리 떨어져 관측

  14. V DOP(Dilution of Precision) • 수신기와 위성들간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계산 • GPS 수신기가 계산하는 측위 결과의 정도(Qualility)를 가늠케하는 지수 • 다른 차원(Dimensions)으로도 표시 가능 • 예: GDOP, PDOP, HDOP, VDOP, TDOP DOP h C / V

  15. V DOP(Dilution of Precision)-계속- • 수신기와 위성들간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계산 • GPS 수신기가 계산하는 측위 결과의 정도(Qualility)를 가늠케하는 지수 • 다른 차원(Dimensions)으로도 표시 가능 • 예: GDOP, PDOP, HDOP, VDOP, TDOP DOP h C / V

  16. DOP(Dilution of Precision)-계속- • 추적위성수(Satellite Visibility)와 DOP의 관계를 이용해 GPS 관측이 양호한 시간대 계산 가능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