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0 likes | 1.23k Views
경 영 품 질 론 Q Cost 품질비용. 품질비용의 정의. Juran – 품질비용이란 제품과 공정이 완전하다면 발생하지 않았을 비용 , 비적합성의 비용 Gryna – 불량품과 관련되어 발생되는 비용 , 즉 불량품의 생산비용 불량품 발견 및 개선대책비로서 양품의 생산비용은 제외 Crosby – 근본적으로 잘못된 계획 하에 발생되는 비용으로 정의 , 잘못된 장비구입 시설확장 인원확대 등으로 발생되는 비용. 품질비용의 정의. 3M 의 정의 – 품질비용은 실제비용에서 무실패비용을 뺀 것 .
E N D
품질비용의 정의 • Juran –품질비용이란 제품과 공정이 완전하다면 발생하지 않았을 비용, 비적합성의 비용 • Gryna –불량품과 관련되어 발생되는 비용, 즉 불량품의 생산비용 불량품 발견 및 개선대책비로서 양품의 생산비용은 제외 • Crosby –근본적으로 잘못된 계획 하에 발생되는 비용으로 정의, 잘못된 장비구입 시설확장 인원확대 등으로 발생되는 비용
품질비용의 정의 • 3M의 정의 –품질비용은 실제비용에서 무실패비용을 뺀 것. • Groocok –제품의 생산 및 판매활동에 소요된 실제 원가에서 생산이나 사용중 불량이 있을때와 불량의 가능성이 없을때 발생하는 비용의 차이
품질비용의 중요성 • 제조업체의 경우 총 매출액의 20~30% 서비스업체의 경우 30~50%가 품질비용 • 1980년대 미국의 품질비용은 총수입의 25%, 일본은 5% 에서 미국에서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기 시작함 • 만약 미국 기업들이 품질경영(TQM)을 국가 차원에서 도입한다면, 무려 3천억 달러의 지출을 줄일 수 있다. 이 액수가 미국 국민총생산의 약 7%의 규모이며 경쟁력 제고를 위해 품질에 관심
COQ 시스템의 중요성 • 경영성과를 화폐단위로 측정 • 도입비용이 많지 않다 • 개선할 품질문제를 제시 • 고객만족을 향상 : 기업경쟁력 강화 • 품질문제를 돈으로 환산 : 계층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함 • 미래의 금전적 상황에 대해 사전경고
품질비용의 유형 • 통제비용 (불량 제거 활동 비용) • 예방비용 : 불량의 원인분석 제거 • 평가비용 : 규격에 적합한지 측정,평가 • 실패비용 (품질미달로 발생되는 비용) • 내부실패비용 • 외부실패비용
숨겨진 실패비용 • Hidden Quality Costs • 기업에게 상당한 손실을 발생시키지만 경영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비용 • 측정과 파악이 상당히 어려워 대부분 파악이 되지 않음
재 작 업 반 환 품 회계상으로 파악 할 수 있는 손실 (5 - 8%) 폐 기 재검사 비용 사기저하 생산성 저하 잔업증가 회계상으로 파악 할 수 없는 손실 (15 - 20%) 재설계 비용 종업원 이직 재고증가 변경되는 소프트웨어 비용 경영자시간 낭비 배달지연 고객 불만족 제조 공정 변경 비용 품질불량으로 인한 손실
품질과 비용과의 관계 • 1987년 Harrington • 매출을 2배로 증가시키기 보다는 품질비용을 반으로 줄이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 전통적 관점 • 품질수준이 향상되면 품질비용은 증가한다. • 현대적 관점 • 품질수준이 향상될 수록 품질비용은 적어진다.
품질비용에 대한 견해 • 고품질은 곧 고비용이다. • 성과나 특성 같은 품질의 속성은 노동, 물자, 디자인, 기타 비용발생 자재에 비해 비용이 더 든다. 품질향상에 따른 부수적인 이득은 추가적인 비용을 보상할 수 없는 수준이다. • 품질향상 비용은 그 결과에 의한 비용절감보다 작다. • Deming이 처음 제기한 이 개념은 일본 제조업계에 널리 전파되었다. 절약은 재작업과 불량의 감소와 불량품의 발생에 따른 기타 직접적인 비용의 감소에서 온다. 이 견해는 일본 기업의 장점이라고 할 수 있는 지속적인 개선에 초점을 둔 것이다. • 품질비용은 정확하게 제대로 처음에 제품이 만들어지고 서비스가 수행될 경우에 발생하는 비용을 초과하여 발생하는 비용이다. • 이 견해는 품질경영 철학의 의견을 결집한 것이다. 품질의 비용에는 불량에 의한 직접적인 비용뿐만 아니라 고객의 상실, 시장점유율의 하락, 현대의 원가회계 시스템으로도 명확히 밝혀낼 수 없는 숨은 비용이나 상실한 기회 등이 모두 포함된다.
품질비용에 대한 관점비교 전통적 견해 현대적 견해
품질비용 통제의 효과 • 1-10-100 원칙 • 예방에 1원을 투자하면 내적실패비용을 10원 줄일 수 있고, 외적실패비용을 100원까지 줄일 수 있다는 것 •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는다”의 교훈 • 1970년초 HP社 품질비용측정 결과 - 매출액의 25%를 절감할 수 있었음을 발견. • 1986~90 Motorola 품질운동실시 결과 –제조공정결함감소, 15억달러 비용절감 • 1981~89 불량율 100배 향상 (6000ppm - 60ppm) 1989년 Xerox MB상 수상당시 품질비용 10억(매출의 20%) COQ(Cost of Quality)프로그램도입 1년후 5300백만달러 감소
품질비용 통제의 효과 • 감소 항목 :재고회전, 납기, 전환, 재공품, 완제품 재고, 창고면적,주문처리시간, 적재장소 • 향상 항목 ;총자산수익률, 투자수익률, 유통업자 관계, 수송, 학습효과, 규모의 경제, 일정계획, 생산성
1-10-100의 원칙 • 휴렛 팩커드의 컴퓨터 시스템 사업부의 부장 • 먼저 불량을 찾아내고 예방할수록 더 큰 절약을 할 수 있다. 2달러짜리 불량 저항기를 사용 전에 찾아내서 제거하면 단지 2달러만 손해 본다. 만약 그 불량 저항기를 찾아내지 못해서 컴퓨터 부품에 용접이 된 후에는 그 부품을 수리하는데 10달러가 든다. 만약 컴퓨터 부품이 판매될 때까지 저항기의 불량을 찾아내지 못하면, 수리비용으로 수백 달러가 든다. 실제로 5천 달러짜리 컴퓨터를 수리해야 한다면, 수리비용이 제조비용보다 더 크게 될 수도 있다
ABM의 정의 • 기업의 중요한 활동에서 프로세스, 제품, 품질비용을 추적하여 얻은 재무 및 운영 성과정보를 수집하여 품질비용을 계산하는데 활용 가능한 방법 • ABM은 관리철학의 하나로 회계제도 전반에서 활동을 주된 관리 대상으로 하는 사상을 가리킨다. 따라서 BPR을 반드시 후속 활동개념으로 정의해야 한다. • ABC와 ABB(Activity-Based Budgeting)가 기본 구성요소이고 최근에는 ABA(Activity-Based Accounting)도 구체화되고 있다.
Activity-Based Costing (ABC) • 기업이 활동을 하는 궁극적 목적은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해 재화(goods)나 용역(service)을 생산하는 것으로, 기업은 제반 활동을 통해서 자사가 지닌 유한한 자원을 소모하게 되는 데, ABC에서는 각 기업 활동별로 보다 정확하게 자원소모액을 측정하여 자원소모액을 화폐가치로 측정한 것이 바로 코스트라고 본다. • ABC는 정확한 코스트계산 이외에도 코스트동인에 관심을 두게 됨에 따라 사전적인 코스트관리가 가능하게 되며, 각 활동을 부가가치 창출활동(value-added activity)및 비부가가치 창출활동(non value-added activity)으로 구분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코스트절감및 코스트통제에 유효성을 거두는 방안의 모색을 가능케 하는 추가적인 장점을 지니고 있다.
ABC의 특징 • 자원에 대한 소비를 측정 • 활동자체를 원가동인으로 보고 활동을 통제하여 원가관리 • 활동에 대한 정보 제공으로 활동이 원가에 미치는 영향 파악가능 • 제품의 수명주기 단계에 따라 제품원가에 대응하는 가격결정이 가능 • 활동 그 자체와 활동에 배분하는 자원의 변경을 통해 원가관리
ABC가 유용한 경우 • 문제발생에 따른 비용 추정 • 문제발생의 원인, 그 원인의 추적 가능성, 추적결과의 분석 • 문제에 따른 비용을 줄이기 위한 프로세스 개선의 방법 • 프로세스 개선 비용과 보증비용의 감소 사이에 존재하는 상충관계 • 품질비용에 따른 전략적 시사점의 도출이 필요한 경우
ABC의 단점 • 활동분석에 따른 소요비용이 크다 • 활동을 명확히 정의하고 구분하는 기준이 존재하지 않는다 • 원가동인의 선택이 자의적, 본질적으로 원가동인을 발견하기 힘듬 • 소품종 대량생산을 주로하고 제조간접비 비중이 낮은 기업에 적합하지 않음 • 간접부문의 원가가 생산량의 증감에 비례할 경우 필요가 없음 • 모든 원가를 각각의 원가동인에 대한 변동비로 간주한다
서비스업체의 품질비용 • 인건비 최고 77%까지 차지 • 총영업비의 30~50% 가량 차지 그 중 약 70% 정도가 실패비용으로 추정 • Crosby –수행업무의 25% 재작업 • Pande –품질비용이 총매출액의 약 50%
서비스업체의 품질비용 • 예방비용 • 시장조사, 교육훈련, 품질시스템감사, 품질설계 등 • 평가비용 • 내부감사, 업무검토, 외부평가비용, 오자파악 등 • 실패비용 • 불평, 오류시정, 재작업, 반환, 교체, 법률고소 등 • 숨겨진 실패비용 • 서비스불만족 고객이탈, 종업원이직, 사기저하 등
서비스품질 특성 • 무형성 • 제품과 소비의 불가분성 • 품질에서의 이질성 • 높은 소멸성 • 수요의 유동성 • 노동집약성 • 고객접촉성 • 대량생산 불가능 • 품질관리과정 통제 한계성 • 가격의 복잡성
서비스품질 측정의 어려움 • 인간의 행동이 포함 • 독창성 • 설계, 공급, 관리가 쉽지 않음 • 수요예측의 어려움 • 대인기술을 요구 • 재고가 없음 • 표준화의 어려움
COQ 도입 배경 • 최고경영자의 강력한 의지 • 품질 성과에 대한 새로운 기준 • 성공 사례 • "품질은 공짜이다 - 품질은 제값을 한다"
COQ 시스템의 도입 • 경영진의 동의 • CFT구성 • 품질비용의 유형결정 • 품질비용 수집 • 자료 분석 • 보고서 작성 • 개선책 수립 • 정기적 COQ시스템 감사
품질비용분석의 목적 • 품질비용은 품질개선을 촉진시킨다. • 품질비용은 투자의 정당성을 측정하는 도구로 사용된다 • 품질 개선활동의 우선 순위 결정 및 투자부문의 선택을 통해 제한된 자원을 합리적으로 배분할 수 있다. • 품질비용은 예산설정과 비용통제의 도구로 사용된다. • 품질비용은 기업의 모든 부문에서 동기유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품질비용의 측정 • 노동지수 - 노동시간과의 비교 • 비용지수 - 제조원가와의 비교 • 매출액지수 - 매출액과의 비교 • 생산지수 - 생산단위와의 비교
적정 품질비용은? • Tom Peters의 저서 ‘혼돈속의 번영’(Thriving on Chaos) 제조업 25%정도 서비스업 40%수준 • Juran, Gryna –총매출액의 20% 이상 • Crosby –기업 매출액의 20 ~ 40% • 품질관리를 한후 3% ~ 5% • 총매출액의 2.5% 이하로 규정 (Crosby)
COQ 도입시 주의사항 • 프로그램 실시 전 개념 교육, 훈련 • 수익을 실현 • 경과 체크, 개선여부 확인 • 팀워크를 이용 • 팀을 중시하는 기업문화 조성 • 충분한 자원을 지원 • 간접비에 대한 명확한 규정
참고자료 • http://www.seri.or.kr/ • http://jokuna.com.ne.kr/qcost/qcost.htm • http://www.itmast.com/sem/sem_main.html • 품질경영론, 조재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