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 likes | 743 Views
ICU case study. 08802018 배혜인. 문헌고찰. 1. 질환명 : 만성 폐쇄성 폐질환 (COPD) 2. 질환의 정의 - 폐를 손상시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호흡이 힘들어지는 질환들의 그룹을 일컫음 - COPD 의 가장 흔한 두 가지 형태는 만성기관지염과 폐기종임. 3. 이론적 고찰 ① 원인 - 정확한 원인 알 수 없음 - 흡연 , 만성기관지염 , 폐 감염 , 공기공해 , 진폐증과 그 외 직업
E N D
ICU case study 08802018 배혜인
문헌고찰 • 1. 질환명: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 2. 질환의 정의 • - 폐를 손상시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호흡이 • 힘들어지는 질환들의 그룹을 일컫음 • - COPD의 가장 흔한 두 가지 형태는 만성기관지염과 • 폐기종임
3. 이론적 고찰 ① 원인 - 정확한 원인 알 수 없음 - 흡연, 만성기관지염, 폐 감염, 공기공해, 진폐증과 그 외 직업 - 과민성 인자, 유전인자, 노화, 혈관변화 등이 원인이거나 악화시키는 요인 ② 증상 - COPD의 조기 증상은 서서히 발생하며 천천히 진행됨 - 호흡곤란, 간헐적 기침, 활동 후 피로(흔히 있는 3대 증상) - 호흡특징: 힘들여 호기를 하여 심한 경우, 공기를 허겁지겁 마시는 것처럼 보임 - 천명음(wheezing) - 체중감소, 전신쇠약, 비정상 혈액 가스치
③ 진단검사 • -폐기능 검사, 혈액검사, 흉부 X선 촬영, 심전도(EKG), 가래검사, • 운동부하검사 • ④ 치료 • 환경변화: 외부 공기오염, 독성물질에 노출을 피함 • 약물: 기관지확장제, 부신피질H., 항생제, prednisone • 운동프로그램: 호흡기 재활 프로그램 등 • 영양: 균형잡힌 식사, 물 충분히 섭취 • 보조적 산소요법: 운동 능력↑, 심부전 완화, 정신 상태 호전 • 폐용적감소술 • 폐 이식/ 심장이식
⑤ 간호 • 기도 청결을 위한 간호: 금기가 아닌 이상 적어도 하루에 8~10잔 수분섭취, 효과적 기침법 교육, 기침 전, 후 호흡음 확인, 자세 배액과 진동요법 같은 폐 물리요법 실시 • 호흡양상 조절 간호: 호흡수, 깊이, 호흡양상 자주 관찰, 반좌위, 산소투여 등 • 영양 증진 간호: 식사 전 또는 필요시마다 구강간호실시, 소량씩 자주, 열량 높은 유동식 섭취, 음식섭취량, 체중변화 관찰 등 • 가스교환증진간호: 기도 청결하게 유지, 기관지확장제 투여등 • 그 외, 감염예방 간호, 활동 내구성 증진 간호, 불안 감소 간호, 수면증진 간호, 성기능 증진 간호
간호사정 Ⅰ. 환자사정 일반적 배경(general background) 환자명: 남OO 입원일: 2010. 4. 29 진단명: COPD, pneumonia 연령/성별: 84세/F 종교: 기독교 학력: 초졸
2. 건강력(health history) 가계도 가족관계 모름, 가족력 모름 → 환자의 의사소통 장애로 인해정보제공을 손녀가 하였는데, 모른다고 함 2) 과거력(past history) -과거질환: ① 고혈압 (약 20년 전 발병) → (+) ② 당뇨 (약 20년 전 발병) → (-) ③ 결핵 → (-) 완치 ④ 녹내장 (약 15년 전 발병) ⑤ CHF - Gastric ulcer로 입원경험 있음(04년)
3) 현병력(present health state) • ① 발병당시– 입원 전 • CHF, HTN, COPD로 medication 중이며, 요양병원에서 • medicaltreatment 중이셨음. • 4월 22일 요양병원에서 타인과 부딪혀 뒤로 넘어진 후 발생한 • hippain으로이후 condition 저하되었음. • 내원5일 전부터 mentailty지속적으로 저하되어 내원2~3일 전 • 부터는 말도 거의 하지 않음. • Poororal intake, general weakness 보임. • Decreasedmentality로 큰 병원 권유 → 논산 백제 병원 방문 → • brain CT상 특이소견 보이지 않아 본원 ER로 옴.
② 입원 – 간호사정 당시 • 4월 28일 MICU로 입원 • COPD: 내원 당시 saturation84%였으나, ventilator 사용및 • O₂ supply로 95%로 호전 • initial에비해 wheezing 현저히 호전됨 • Pneumonia: CXR상 cardiacborder, diaphragm, blurring. • cough/sputum (+/+) : 평소에도 있었다고 함 • fever (-), leukocytosis(-) • Pul. Congestion과 관련된 CHF: cardiomegaly, • 약 5일간 poorintake, CVP:4 • Decreased mentality: 내원 당시에비해 eye opening되고 • 소리내는 등 호전 • 4) 주증상(chief complains) • Vomiting • General weakness
3. 신체검진(physicalexamination) • 키: 160cm / 체중: 40kg • 활력징후: 110/59 – 17 – 80 – 37 • 소화기계: 치아상태; 틀니(위, 아래) • 오심; (-) 구토; (+) 통증; (-) • 설사; (+) 비위관 영양; (+) 배변습관; 불규칙적 • 장음; dec. 완화제 사용; (+) • ↘시멘트같이 딱딱히 굳은 대변을 빼냄 • 심혈관계: 이상 없음 • 비뇨기계: 도뇨관 삽입, 1일 소변량; 7-8회/1일 (양: 50-250cc) • 근골격계: 보행X (sedation 상태) • 신경계: 의식; O 언어능력; X 운동; X • 감각; O 마비; X 반사; O • 피부계: 피부색 pale하고, L-tube feeding 중이라 구강으로 섭취 X, • special mouse care 통해서 구강점막 양호하게 유지 중
4. 영양 • - 1일 식사량: 900cal(2배 농축) • 식이형태: SLD • 알러지 음식 없음 • 5. 개인위생(ADL 평가) • - 의식은 있으나 자가활동이 되지 않아 개인 위생이 이루어지지 않음 • 6.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 - 의사소통 장애 • 7. 정서적 상태 • - 입원과, 질병과 관련된 정서적 반응 알 수 없음 • - 지지체계: 손녀
8. 활동 및 수면 • - 운동 할 수 없으며, 수면양상은 정상 • 9. 건강관리 • - 입원 전 요양병원에서 관리 • 음주(-), 흡연(-) • 10. 성적 및 영적 욕구 • - 의사소통 장애로 측정불가
Ⅱ. 진단적 검사 ①일반혈액검사 (5/10)
④ 촬영검사 Chest PA (4월 28일) Cardio thoracic ratio, C-T ratio가 0.5 이상인 상태로 보여져 cardiomegaly(심장비대) 알 수 있었다. 2. Brain CT (5월 10일) 별 다른 이상 없었음.
간호진단 질병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 양상 (5월 10일) - 근거자료 ① 주관적 자료: 숨을 헐떡거리면서 쉬시고, 힘겨워 보임 ② 객관적 자료: PCO₂, PO₂ 감소, 기침 시 가래가 많음 wheezing(천명음) 나타냄
2. 부동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 위험 (5월 11일) - 근거자료 ① 주관적 자료: 등 부위와 기저귀를 착용한 부위가 불그레함 움직이지 못하고 계속 누워있어, 피부탄력도가 떨어져 보임 ② 객관적 자료: 욕창위험요인 사정도구(braden scale) 검사결과 감각인지3 (약간 제한), 습기3 (약간 젖음), 활동1 (침상에 국한), 기동성2 (매우 제한), 영양3 (양호), 마찰과 쏠림2 (잠재적 문제) → 총점 14점으로 욕창관리가 필요하다.
3. 부동과 관련된 목욕 자가간호 결핍 옷 입기 자가간호 결핍 음식섭취 자가간호 결핍 용변 자가간호 결핍 (5월 11일) - 근거자료 ① 주관적 자료: 침상에만 계시며,혼자서는 움직이지 못하심 ② 객관적 자료: limb movement 결과가 다음과 같으므로 움직임X → 자가간호 결핍 +1 +1 +1 +1 Rt. 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