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 likes | 765 Views
서양 체육의 발달 가 . 고대의 체육 (1) 그리스의 체육 - 체육은 중요한 부분으로 제전 경기를 통해 전 그리스의 친선과 단결 도모 - 대표적인 4 대 제전 경기는 피디아 (Pydia), 이스트미아 (Isthemia), 네메아 (Nemea), 올림피아 (Olympia) ① 고대 올림피아 경기의 특징 - 경기 기간에는 전쟁을 중지하고 제전경기에 참가하므 로써 평화 기여 - 도시국가간의 친목을 도모하고 범 그리스정신 앙양 - 타민족 침공 시 단결 하여 방어하는 역할을. ② 경기종목
E N D
서양 체육의 발달 • 가. 고대의 체육 • (1) 그리스의 체육 • -체육은 중요한 부분으로 제전 경기를 통해 전 그리스의 친선과 단결 도모 • -대표적인 4대 제전 경기는 피디아(Pydia), • 이스트미아(Isthemia), 네메아(Nemea), 올림피아(Olympia) • ① 고대 올림피아 경기의 특징 • -경기 기간에는 전쟁을 중지하고 제전경기에 참가하므 • 로써 평화 기여 • - 도시국가간의 친목을 도모하고 범 그리스정신 앙양 • - 타민족 침공 시 단결하여 방어하는 역할을
② 경기종목 초기 : 달리기 종목만 실시 후기 : 권투, 레슬링, 마차경기, 판크라치온(권투와 레슬링의 복합경기), 5종 경기(경주, 도약, 투창, 투원반, 레슬링), 소년 경기등 25개 종목 ③ 경기시간 :초기 1일에서 3일, 나중에는 5일 ④ 실시기간 : BC 776년∼AD 393년(293회)로 4년마다 한번씩 개최 ⑤ 폐지 : 로마 황제 데오도시우스 1세가 기독교를 보호 하기 위해서 폐지.
(2)스파르타 체육 -도리아인이 세운 도시국가로서 체육의 목적은 강인한 신체를 가진 용감한 병사를 기르는 데 목적 - 7세 :국립 공동교육소에 입소하여 기초체력교육 -20세 : 병역의무 -30세에 시민권을 획득 - 여자도 튼튼한 아이의 출산을 위한 강인한 신체 훈련실시, -체육내용 : 달리기, 뜀뛰기, 수영, 판크라치온, 공놀이, 투원반, 투창, 무용 등
(3) 아테네의 체육 -이오니아인이 세운 도시국가로서 심신의 조화적인 발달을 통한 훌륭한 시민양성이 교육의 목적 (체육을 통해 심신 수련과 개성의 발전을 꾀함, 즉, 미적 이고 이상적인 인간 형성 강조) - 7세 :팔레스트라(사립훈련소)에서 체육을 배우고 다디스칼레움에서 교양교육 - 16세 : 짐나지움에서 체육을 연마 - 18세 - 20세 : 병역의무를 필 한 이후 자유시민 - 여자는 부모에 의해 가정교육만을 받았다. -체육내용 : 5종 경기, 수영, 레슬링, 판크라치온, 전차경기
(4) 로마의 체육 - 로마는 라틴민족의 도시국가로서 충성스럽고 강인한 군인의 육성에 중점, 체육도 전투 기술을 육성하는 데 주력 - 초기 로마는 이러한 청소년 교육으로 인하여 대제국 건설에 성공하는 밑거름 - 체육 내용: 달리기, 뜀뛰기, 권투, 씨름, 수영, 유희 등과 제전무용, 전투무용 행함
- 대제국 건설 후 후기 로마 제국 때 원형경기장(Circus maximus)과 콜롯세움(Colosseum)을 세워 격투, 마상, 창시합, 전차경기 등 자극적이고 잔인한 경기를 즐겼으며 데르메(Therme)라는 공동 목욕탕을 건립 -이후 로마는 그리스 문화를 중심으로 헬레니즘 문화의 영향으로 소박·강건한 로마 정신은 사라지고 개인주의 팽배로 사치와 향략등 타락적인 생활로 점차 쇠퇴.
▶중세의 체육 - 후기 로마의 스포츠가 지나치게 비열하고 잔인함 - 로마의 스포츠 이교도와 밀접한 관계 당시 기독교의 금욕주의와 스콜라 철학의 영향으로 인하여 신체보다 정신의 육성으로 체육활동은 체육의 암흑기. 중세는 봉건제도(영주, 기사)로 형성되어 있었으며 그 중 기사계급에 의해 체육은 그 명맥이 유지, - 체육의 내용 : 주로 마술, 검술, 수영 등이었고 특히, 마상시합은 호화찬란한 행사였으며 토나멘트 경기 방법으로 행함.
▶근세의 체육 (1) 문예 부흥기의 체육 - 14-15세기에 걸쳐 발생한 르네상스 운동은 신(神) 중심주의에서 인간중심으로 사고를 바꾸도록 하여 인간의 존엄성 회복 주장하였으며 체육도 심신의 조화적 발달과 체육의 가치를 중요시 함. - 인문주의 학자들은 개인의 능력 차나 청소년 교육에 신체활동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게임, 놀이, 체조가 인간 육성에 중요하다고 강조.
(2) 근세 체육의 선구자 ① 몽테뉴, 코메니우스, 로크 : 실제적 경험에 의한 학습을 강조하여 인간 교육에 있어서 체육의 중요성을 이론적으로 강조하는 실학주의 사상가 ② 루소(프랑스): 자연주의 사상가, 범애학파의 대표적인 인물로 저서<에밀>에서,"건전한 신체에 건전한 정신이 깃 든다"라고 주장하여 신체 단련의 중요성을 주장. ※ 汎愛主義 : 18세기 독일에서 일어난, 인류애를 기초로 한 계몽주의적 교육 운동. 교육의 전능과 인간성의 선(善)을 믿고 심신의 조화와 훈육에 중점을 두었음.
③ 바세도우(독일) : 1774년 범애학교를 창설하여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실현을 최초로 실천한 근대적 교육자 ④ 잘쯔만(독일) : 바세도우의 범애학교를 보급시켰으며 가장 유명한 시네펜탈 범애학교를 설립 ⑤ 구츠무츠(독일) : 체육을 이론과 실제의 두 방면으로 체계화한<근대 체육의 아버지>이며 최초의 체육교사. <청년을 위한 체조> <청년을 위한 유희>등 많은 근대적인 체육저서 편찬. ⑥ 링(스웨덴) : 생리적·해부학적인 기초로 체조를 실시한 스웨덴식 체조의 창시자.
⑦ 나하데갈(덴마크) : 율동성과 심리적인 요소를 강조한 덴마크식 체조의 창시자. ⑧ 야안(독일) : 체육을 통해 독일인의 강건한 신체와 정신을 육성하여 독일국민의 부강을 꾀함. 수고하셨습니다.